심평원, 위암 등 3대암 결과 공개…"유방암·폐암 등 평가 확대"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51개 병원이 위암과 대장암, 간암 사망률이 낮은 1등급 의료기관으로 선정됐다.
반면, 세브란스병원과 조선대병원 등은 암별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2등급의 불명예를 안게 돼 파장이 예상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은 22일 발생빈도가 높은 위암과 대장암, 간암 수술을 실시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수술 사망률 평가결과를 첫 공개했다.
이번 사망률 평가는 2010년 1년간 3개 암 수술 실적이 있는 302개 병원의 진료기록을 수립·분석한 결과로, 수술 사망률은 암 수술 후 입원 중 또는 30일 이내 사망한 비율을 의미한다.
우선, 연간 10건 미만 수술 의료기관의 경우 위암 51.6%, 대장암 52.6%, 간암 46.1%를, 수술사망률(실제사망률)은 위암 0.92%, 대장암 1.63%, 간암 1.88% 등으로 나타났다.
등급 기준은 수술 후 실제 발생한 사망률인 '실제사망률'과 해당 의료기관의 환자 위험요인을 보정한 '예측사망률'을 비교, 분석했다.
또한 예측사망률을 기준으로 신뢰구간 95%로 설정했다.
다만, 연간 수술건수가 10건 미만인 의료기관을 '등급제외' 기관으로, 의무기록에서 암 병기, 동반수술 등 위험요인 기록이 확인되지 않은 의료기관은 '평가제외' 기관으로 분류했다.
실제사망률이 예측사망률 보다 낮으면 의료의 질이 높다는 의미로 '1등급' 병원으로, 실제사망률이 예측사망률 보다 높으면 상대적으로 의료의 질이 낮다는 의미로 '2등급' 병원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게 심평원의 설명했다.
1등급에 해당하는 의료기관은 위암 93개 기관, 대장암 122개 기관, 간암 56개 등이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위암 1등급은 서울성모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부산대병원, 길병원, 전남대병원, 경북대병원, 충남대병원, 원주기독병원, 아주대병원, 경상대병원, 전북대병원, 단국대병원, 충북대병원 등 대부분이 포함됐다.
반면, 세브란스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순천향대부천병원 등은 2등급으로 분류됐다.
대장암의 경우도 경희대병원, 강북삼성병원, 순천향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중앙대병원, 한양대병원, 고신대병원, 부산백병원, 인하대병원, 대구가톨릭병원, 을지대병원, 춘천성심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원광대병원, 순천향천안병원 등 41개 병원이 1등급이다.
2등급에는 강남세브란스병원, 상계백병원, 조선대병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
상대적으로 사망률이 높은 간암은 병원 간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조선대병원과 충북대병원이 2등급에 배치됐다.
이대목동병원과 상계백병원, 춘천성심병원, 전남대병원, 순천향대천안병원 등은 등급제외(수술건수 10건 미만)로 분류됐다.
심평원 관계자는 "이번 사망률 공개는 사망원인 1위 질환으로 병원별 차이가 커지고, 사회적 공개요구가 높아 추진하게 됐다"면서 "병원별 실제사망률과 예측사망률은 23일 오전 9시 홈페이지(www.hira.or.kr)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심평원은 올해 진료분 자료를 토대로 암 수술사망률 2차 평가결과를 내년에 공개함과 동시에 유방암, 폐암 등으로 평가 확대한다는 방침이여서 병원계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반면, 세브란스병원과 조선대병원 등은 암별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2등급의 불명예를 안게 돼 파장이 예상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은 22일 발생빈도가 높은 위암과 대장암, 간암 수술을 실시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수술 사망률 평가결과를 첫 공개했다.
이번 사망률 평가는 2010년 1년간 3개 암 수술 실적이 있는 302개 병원의 진료기록을 수립·분석한 결과로, 수술 사망률은 암 수술 후 입원 중 또는 30일 이내 사망한 비율을 의미한다.
우선, 연간 10건 미만 수술 의료기관의 경우 위암 51.6%, 대장암 52.6%, 간암 46.1%를, 수술사망률(실제사망률)은 위암 0.92%, 대장암 1.63%, 간암 1.88% 등으로 나타났다.
등급 기준은 수술 후 실제 발생한 사망률인 '실제사망률'과 해당 의료기관의 환자 위험요인을 보정한 '예측사망률'을 비교, 분석했다.
또한 예측사망률을 기준으로 신뢰구간 95%로 설정했다.
다만, 연간 수술건수가 10건 미만인 의료기관을 '등급제외' 기관으로, 의무기록에서 암 병기, 동반수술 등 위험요인 기록이 확인되지 않은 의료기관은 '평가제외' 기관으로 분류했다.
실제사망률이 예측사망률 보다 낮으면 의료의 질이 높다는 의미로 '1등급' 병원으로, 실제사망률이 예측사망률 보다 높으면 상대적으로 의료의 질이 낮다는 의미로 '2등급' 병원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게 심평원의 설명했다.
1등급에 해당하는 의료기관은 위암 93개 기관, 대장암 122개 기관, 간암 56개 등이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위암 1등급은 서울성모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부산대병원, 길병원, 전남대병원, 경북대병원, 충남대병원, 원주기독병원, 아주대병원, 경상대병원, 전북대병원, 단국대병원, 충북대병원 등 대부분이 포함됐다.
반면, 세브란스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순천향대부천병원 등은 2등급으로 분류됐다.
대장암의 경우도 경희대병원, 강북삼성병원, 순천향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중앙대병원, 한양대병원, 고신대병원, 부산백병원, 인하대병원, 대구가톨릭병원, 을지대병원, 춘천성심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원광대병원, 순천향천안병원 등 41개 병원이 1등급이다.
2등급에는 강남세브란스병원, 상계백병원, 조선대병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
상대적으로 사망률이 높은 간암은 병원 간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조선대병원과 충북대병원이 2등급에 배치됐다.
이대목동병원과 상계백병원, 춘천성심병원, 전남대병원, 순천향대천안병원 등은 등급제외(수술건수 10건 미만)로 분류됐다.
심평원 관계자는 "이번 사망률 공개는 사망원인 1위 질환으로 병원별 차이가 커지고, 사회적 공개요구가 높아 추진하게 됐다"면서 "병원별 실제사망률과 예측사망률은 23일 오전 9시 홈페이지(www.hira.or.kr)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심평원은 올해 진료분 자료를 토대로 암 수술사망률 2차 평가결과를 내년에 공개함과 동시에 유방암, 폐암 등으로 평가 확대한다는 방침이여서 병원계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