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총 이어 참실련, 치개협 왕성한 활동…"집행부 견제·공조"
의료계에 전국의사총연합회가 있다면 한의계에는 참의료실천연합회, 치과계에는 대한치과개원의협회가 있다.
최근 이들 단체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젊은 층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의총 전 노환규 대표가 60%의 지지를 받으며 당당히 의사협회장에 당선되자 참실련과 치과개원의협회에 자극제 역할을 하면서 이들의 활동에 더욱 탄력이 붙고 있다는 분석이다.
3개 단체의 공통점은 젊은 의사 중심으로 각 직역에서 비판적인 목소리를 낸다는 점이다.
또한 의사협회, 한의사협회, 치과의사협회 등 집행부를 공조 내지 견제하면서 일선 개원가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 또한 유사하다.
이들 단체들은 간혹 강경한 입장을 대변하는 과정에서 다소 과격하다는 지적도 있지만 답답한 의료 현실에 항변한다는 점에서 건전한 비판 창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평가도 적지 않다.
현 집행부 견제 역할…강경 대응도 불사
사실, 현 집행부 이외에 별도의 목소리를 내는 단체는 과거에도 있었다.
의료계에는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인의협)' 한의계에는 '청년한의사회' 치과계에는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가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이들은 각 직역의 이익을 대변하기 보다는 국민의 건강권, 의료인의 양심 회복 등에 초점을 맞춰왔지만 전의총, 참실련, 치과개원의협회 등은 이익단체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실제로 전의총은 의료계 현안에 대해 의협 집행부는 물론 정부기관에도 다양한 형태로 압박을 가해 왔다.
전의총은 리베이트 쌍벌제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제약사를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하는가 하면, 민초 개원의들의 부당한 행정처분에 맞서 고발, 고소하는 등 적극 대처해왔다.
또 의료계의 진료영역을 넘보는 것에 대해서도 강경하게 대응해왔다. 카운터 약국, 한의원의 불법 의료행위를 고발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참실련은 전의총과 유사한 행보를 하고 있다.
얼마 전 의사협회가 한의사에게 초음파장비를 판매해선 안 된다고 지적하자 참실련은 성명을 통해 "의협이 의료계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한의사와 약사 등 보건의료인의 권한을 자의적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맞섰다.
이와 더불어 한의협에도 현안을 제대로 챙기지 못하고 있다며 거듭 압박해 가고 있다.
치과개원의협회 또한 얼마 전 불법 치과네트워크가 확산됨에 따라 개원시장의 부작용을 공론화 하는데 역할을 하며 치과계 내에서 목소리를 키우고 있는 상황이다.
"집행부, 이익 대변 못한다…우리 목소리 내자"
그렇다면 의·치·한의계에서 이 같은 변화가 나타나는 이유가 뭘까?.
의·치·한의계 관계자들은 "개원 환경이 악화되면서 목소리를 내야한다는 욕구가 강해졌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의사협회 관계자는 "과거와 달리 개원환경이 척박해지는 반면 제도권에 있는 협회가 자신들의 이익을 대변해줄 수 없다는 한계를 느끼면서 이 같은 단체가 결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다만 "자신들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은 좋지만 타 단체와 반목과 갈등을 키우는 것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치과의사협회 한 임원은 "개원경쟁이 과열되면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견제한다는 측면에서도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의료시장이 잘못된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낸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라고 밝혔다.
한의사협회 임원 역시 "집행부에서 일할 때 부담스러운 측면은 있지만 긍정적인 요인이 더 많다"고 전했다.
최근 이들 단체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젊은 층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의총 전 노환규 대표가 60%의 지지를 받으며 당당히 의사협회장에 당선되자 참실련과 치과개원의협회에 자극제 역할을 하면서 이들의 활동에 더욱 탄력이 붙고 있다는 분석이다.
3개 단체의 공통점은 젊은 의사 중심으로 각 직역에서 비판적인 목소리를 낸다는 점이다.
또한 의사협회, 한의사협회, 치과의사협회 등 집행부를 공조 내지 견제하면서 일선 개원가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 또한 유사하다.
이들 단체들은 간혹 강경한 입장을 대변하는 과정에서 다소 과격하다는 지적도 있지만 답답한 의료 현실에 항변한다는 점에서 건전한 비판 창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평가도 적지 않다.
현 집행부 견제 역할…강경 대응도 불사
사실, 현 집행부 이외에 별도의 목소리를 내는 단체는 과거에도 있었다.
의료계에는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인의협)' 한의계에는 '청년한의사회' 치과계에는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가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이들은 각 직역의 이익을 대변하기 보다는 국민의 건강권, 의료인의 양심 회복 등에 초점을 맞춰왔지만 전의총, 참실련, 치과개원의협회 등은 이익단체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실제로 전의총은 의료계 현안에 대해 의협 집행부는 물론 정부기관에도 다양한 형태로 압박을 가해 왔다.
전의총은 리베이트 쌍벌제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제약사를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하는가 하면, 민초 개원의들의 부당한 행정처분에 맞서 고발, 고소하는 등 적극 대처해왔다.
또 의료계의 진료영역을 넘보는 것에 대해서도 강경하게 대응해왔다. 카운터 약국, 한의원의 불법 의료행위를 고발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참실련은 전의총과 유사한 행보를 하고 있다.
얼마 전 의사협회가 한의사에게 초음파장비를 판매해선 안 된다고 지적하자 참실련은 성명을 통해 "의협이 의료계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한의사와 약사 등 보건의료인의 권한을 자의적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맞섰다.
이와 더불어 한의협에도 현안을 제대로 챙기지 못하고 있다며 거듭 압박해 가고 있다.
치과개원의협회 또한 얼마 전 불법 치과네트워크가 확산됨에 따라 개원시장의 부작용을 공론화 하는데 역할을 하며 치과계 내에서 목소리를 키우고 있는 상황이다.
"집행부, 이익 대변 못한다…우리 목소리 내자"
그렇다면 의·치·한의계에서 이 같은 변화가 나타나는 이유가 뭘까?.
의·치·한의계 관계자들은 "개원 환경이 악화되면서 목소리를 내야한다는 욕구가 강해졌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의사협회 관계자는 "과거와 달리 개원환경이 척박해지는 반면 제도권에 있는 협회가 자신들의 이익을 대변해줄 수 없다는 한계를 느끼면서 이 같은 단체가 결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다만 "자신들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은 좋지만 타 단체와 반목과 갈등을 키우는 것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치과의사협회 한 임원은 "개원경쟁이 과열되면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견제한다는 측면에서도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의료시장이 잘못된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낸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라고 밝혔다.
한의사협회 임원 역시 "집행부에서 일할 때 부담스러운 측면은 있지만 긍정적인 요인이 더 많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