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의원, 이사회 구성 지적…"공공병원 역할 못해"
국립대병원이 공공병원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는 것은 병원 이사회 구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은혜 의원(민주당)은 28일 국립대병원 국감에서 각 병원의 이사 유형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며 이사회 구성의 개방성을 높여야한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대학병원 내부 구성원과 정부 인사로 구성된 당연직 이사가 상당수를 차지했다.

국립대병원 이사 유형별 비교
그는 또 지난 4월 이후 단 한례의 이사회도 소집하지 않은 것에 대해 지적했다.
오병희 병원장의 취임이 지난 6월이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새로운 경영진이 병원 운영을 맡은 이후 단 한번의 이사회 심의도 없이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는 게 유 의원의 주장이다.
유은혜 의원은 "비상경영이 노조파업의 한 원인을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사회가 열리지 않은 것은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의미"라면서 "이사회가 병원과 노조의 의견을 청취해 적극적인 중재에 나서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시민사회 참여를 통해 의료공공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이사회 구성의 개방성을 높여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은혜 의원(민주당)은 28일 국립대병원 국감에서 각 병원의 이사 유형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며 이사회 구성의 개방성을 높여야한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대학병원 내부 구성원과 정부 인사로 구성된 당연직 이사가 상당수를 차지했다.

오병희 병원장의 취임이 지난 6월이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새로운 경영진이 병원 운영을 맡은 이후 단 한번의 이사회 심의도 없이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는 게 유 의원의 주장이다.
유은혜 의원은 "비상경영이 노조파업의 한 원인을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사회가 열리지 않은 것은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의미"라면서 "이사회가 병원과 노조의 의견을 청취해 적극적인 중재에 나서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시민사회 참여를 통해 의료공공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이사회 구성의 개방성을 높여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