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심평포럼 개최…의료계 "문제점 찾아 재정비부터"
의료의 질 평가의 사각지대를 공략하기 위해서는 중소병원도 평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건강보험에만 국한된 질 평가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잇따랐다.
의료계는 질 평가의 방향성에 대해서 고민을 해봐야 할 때가 왔다며 불편한 시선을 보냈다.
심평원은 24일 본원 대강당에서 '건강보장 성과평가 체계 마련 및 발전뱡향'을 주제로 심평포럼을 열었다.
심평원은 의료의 질 관리 일환으로 적정성평가를 하고 있다.
이날 심평포럼에 참석한 발표자 및 토론자들은 적정성평가의 우수성을 칭찬하며 평가항목 및 지표의 확대를 주장했다.
심평원 심사평가연구소 박춘선 연구위원은 발표를 통해 적정성평가의 발전 방안으로 중소병원도 평가해야 한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박 연구위원은 "대형병원 보다는 규모가 작은 중소병원들의 질 관리가 잘 안되고 있다. 병원들이 적정성평가에 따라오기 힘들어 사각지대가 발생한다"며 "중소병원 평가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1000개가 넘는 병원의 기능을 세분화 해서 개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와함께 질 향상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박 연구위원은 평가지표 개발에 전문가 참여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평가 초반만 하더라도 질평가 지표개발을 외부에 못맡긴다는 인식이 팽배했다. 각 전문학회에서도 질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있는 만큼 지표개발에 전문가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자들은 적정성평가가 심평원의 '장점'이라며 극찬했다.
연세의대 박은철 교수는 "적정성평가는 심평원의 장점 중 하나다. 국가단위 모든 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것 자체가 긍정적이다.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건강보험에 너무 국한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심평원은 의료급여, 자동차보험 등을 위탁관리 하고 있다"며 적정성평가 영역의 확대를 주장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강희정 연구위원 역시 "(적정성평가가) 심평원의 가장 큰 장점이다. 공급자 단위의 성과평가에 대한 부분을 더 깊이있고 과학적으로 타당성을 높이는 노력을 해서 장점을 부각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면, 토론회에 초대받지 못한 의료계는 적정성평가를 바라보는 시선이 사뭇 달랐다.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문제점들을 찾아보고 재정비해야 할 단계가 왔다는 것이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환자안전이나 환자만족도 부분에 대한 평가를 개발해야 한다. 전문가들도 최신지견을 업데이트하기 바쁜데 그런 영역들을 전문가도 없이 평가하려는 방향은 조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다른 대학병원 교수는 "적정성평가를 통해 질이 좋아졌다는 식의 홍보방식이 아쉽다"며 "병의원의 협조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평가를 독점하는식의 방식은 지양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건강보험에만 국한된 질 평가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잇따랐다.
의료계는 질 평가의 방향성에 대해서 고민을 해봐야 할 때가 왔다며 불편한 시선을 보냈다.
심평원은 24일 본원 대강당에서 '건강보장 성과평가 체계 마련 및 발전뱡향'을 주제로 심평포럼을 열었다.
심평원은 의료의 질 관리 일환으로 적정성평가를 하고 있다.
이날 심평포럼에 참석한 발표자 및 토론자들은 적정성평가의 우수성을 칭찬하며 평가항목 및 지표의 확대를 주장했다.
심평원 심사평가연구소 박춘선 연구위원은 발표를 통해 적정성평가의 발전 방안으로 중소병원도 평가해야 한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박 연구위원은 "대형병원 보다는 규모가 작은 중소병원들의 질 관리가 잘 안되고 있다. 병원들이 적정성평가에 따라오기 힘들어 사각지대가 발생한다"며 "중소병원 평가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1000개가 넘는 병원의 기능을 세분화 해서 개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와함께 질 향상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박 연구위원은 평가지표 개발에 전문가 참여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평가 초반만 하더라도 질평가 지표개발을 외부에 못맡긴다는 인식이 팽배했다. 각 전문학회에서도 질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있는 만큼 지표개발에 전문가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자들은 적정성평가가 심평원의 '장점'이라며 극찬했다.
연세의대 박은철 교수는 "적정성평가는 심평원의 장점 중 하나다. 국가단위 모든 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것 자체가 긍정적이다.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건강보험에 너무 국한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심평원은 의료급여, 자동차보험 등을 위탁관리 하고 있다"며 적정성평가 영역의 확대를 주장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강희정 연구위원 역시 "(적정성평가가) 심평원의 가장 큰 장점이다. 공급자 단위의 성과평가에 대한 부분을 더 깊이있고 과학적으로 타당성을 높이는 노력을 해서 장점을 부각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면, 토론회에 초대받지 못한 의료계는 적정성평가를 바라보는 시선이 사뭇 달랐다.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문제점들을 찾아보고 재정비해야 할 단계가 왔다는 것이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환자안전이나 환자만족도 부분에 대한 평가를 개발해야 한다. 전문가들도 최신지견을 업데이트하기 바쁜데 그런 영역들을 전문가도 없이 평가하려는 방향은 조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다른 대학병원 교수는 "적정성평가를 통해 질이 좋아졌다는 식의 홍보방식이 아쉽다"며 "병의원의 협조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평가를 독점하는식의 방식은 지양해야 한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