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호 교수, 인공심박기 환자 조사결과 "인식 제고 시급"
대다수 노인 심장병 환자들이 서맥성(느린맥박) 부정맥을 잘 알지 못해 평균 2년 이상 병을 키우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노태호, 김지훈 교수팀은 최근 임공심박동기를 이식한 1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서맥성 부정맥 환자들의 질병에 대한 환자 이해도와 치료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처음으로 증상을 인지한 후 질병의 유일한 치료방법인 인공심박동기 시술까지 걸린 기간이 무려 평균 22.1개월이나 걸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증상을 느끼고 6개월 이내에 병원을 찾은 환자는 전체의 절반 가량인 59명에 불과했고 12개월이 경과해도 70% 정도만이 시술을 받을 수 있었다.
나머지 30%는 12개월 이후에나 진단을 받고 시술을 할 정도로 치료가 늦어졌다. 심지어 한 환자에서는 이 기간이 25년이나 소요된 환자도 있었다.
환자는 남자가 43%, 여자가 57%였고 연령은 40대 미만이 7%, 40대가 2%, 50대가 13%를 차지했다.
하지만 60대 부터는 26%인 32명, 70대는 36%인 43명, 80대 이상은 17%인 20명일 정도로 고령의 인공심박동기 이식 환자가 많았다.
환자 중 38명은 어지럼증, 실신, 호흡곤란, 무력감, 가슴 두근거림, 흉통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었고 24명은 실신, 20명은 호흡곤란, 7명은 흉통 증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에도 불구하고 이를 심장 부정맥으로 인식해 심장내과나 부정맥 전문의를 바로 찾은 환자는 37%에 불과했다.
순환기내과를 찾은 환자 44명 중 31%인 15명은 다른 질환 치료나 건강검진 과정에서 서맥을 진단받아 의뢰된 경우였다.
이로 인해 현재 서맥성부정맥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다고 답한 환자는 전체 응답자의 47%에 머물렀다.
알고 있다고 답한 58명중 37명(63.8%)은 병원 진단을 받고서야 서맥성 부정맥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답했으며 진단을 받기 전에 이미 이 질환에 대해 알고 있던 환자는 12명(20.7%)으로 전체 응답자의 10% 미만이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인공심박동기 이식 등 적절한 서맥성부정맥 치료를 받은 환자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45점으로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주변에 치료 권유 의사를 가진 환자는 93.4%인 114명에 달했다.
서맥성 부정맥은 심장 박동수가 감소해 혈액을 통해 뇌를 비롯한 주요 장기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줄면서 무기력증, 피로감, 운동능력 감소, 호흡곤란 등을 가져오는 질환이다.
발병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노화가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지적된다. 흔히 빈혈이나 저혈압, 단순 노화로 인한 무기력증으로 오인해 치료가 적시에 진행되지 않으며, 심하면 실신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 밖에 고혈압 약물인 베타차단제나 칼슘채널 차단제를 복용하는 경우, 장거리 육상 선수, 심근경색이나 심부전 같은 심장 질환을 앓은 경우에도 서맥성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다.
서맥성부정맥은 발생 원인은 다르더라도 치료 방법은 영구심박동기 삽입술이 유일하며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위와 같은 증상으로 인해 삶의 질이 심하게 저하된다.
또한 유병률 조사가 어려워 정확한 현황 파악이 되어 있지 않아 전 세계적으로 영구심박동기 시술 건수를 질환의 증감 여부를 가늠하는 기준으로 사용한다.
노태호 교수는 “대표적 노인성 심질환 중 하나인 서맥성 부정맥에 대한 이해도 심각하게 낮아 어지럼증 등 주요 증상을 나이가 많아지면 당연히 생기는 것으로 착각하기 쉬운 상태"라며 "이로 인해 발견이 늦고 기기 이식에 대한 거부감으로 진단 후에도 시술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맥성 부정맥은 적기에 치료만 받는다면 훨씬 높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다"며 "60세 이상에서 어지럼증이 나타나면 빈혈이나 저혈압 등으로 자가 진단하지 말고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노태호, 김지훈 교수팀은 최근 임공심박동기를 이식한 1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서맥성 부정맥 환자들의 질병에 대한 환자 이해도와 치료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처음으로 증상을 인지한 후 질병의 유일한 치료방법인 인공심박동기 시술까지 걸린 기간이 무려 평균 22.1개월이나 걸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증상을 느끼고 6개월 이내에 병원을 찾은 환자는 전체의 절반 가량인 59명에 불과했고 12개월이 경과해도 70% 정도만이 시술을 받을 수 있었다.
나머지 30%는 12개월 이후에나 진단을 받고 시술을 할 정도로 치료가 늦어졌다. 심지어 한 환자에서는 이 기간이 25년이나 소요된 환자도 있었다.
환자는 남자가 43%, 여자가 57%였고 연령은 40대 미만이 7%, 40대가 2%, 50대가 13%를 차지했다.
하지만 60대 부터는 26%인 32명, 70대는 36%인 43명, 80대 이상은 17%인 20명일 정도로 고령의 인공심박동기 이식 환자가 많았다.
환자 중 38명은 어지럼증, 실신, 호흡곤란, 무력감, 가슴 두근거림, 흉통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었고 24명은 실신, 20명은 호흡곤란, 7명은 흉통 증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에도 불구하고 이를 심장 부정맥으로 인식해 심장내과나 부정맥 전문의를 바로 찾은 환자는 37%에 불과했다.
순환기내과를 찾은 환자 44명 중 31%인 15명은 다른 질환 치료나 건강검진 과정에서 서맥을 진단받아 의뢰된 경우였다.
이로 인해 현재 서맥성부정맥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다고 답한 환자는 전체 응답자의 47%에 머물렀다.
알고 있다고 답한 58명중 37명(63.8%)은 병원 진단을 받고서야 서맥성 부정맥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답했으며 진단을 받기 전에 이미 이 질환에 대해 알고 있던 환자는 12명(20.7%)으로 전체 응답자의 10% 미만이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인공심박동기 이식 등 적절한 서맥성부정맥 치료를 받은 환자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45점으로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주변에 치료 권유 의사를 가진 환자는 93.4%인 114명에 달했다.
서맥성 부정맥은 심장 박동수가 감소해 혈액을 통해 뇌를 비롯한 주요 장기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줄면서 무기력증, 피로감, 운동능력 감소, 호흡곤란 등을 가져오는 질환이다.
발병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노화가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지적된다. 흔히 빈혈이나 저혈압, 단순 노화로 인한 무기력증으로 오인해 치료가 적시에 진행되지 않으며, 심하면 실신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 밖에 고혈압 약물인 베타차단제나 칼슘채널 차단제를 복용하는 경우, 장거리 육상 선수, 심근경색이나 심부전 같은 심장 질환을 앓은 경우에도 서맥성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다.
서맥성부정맥은 발생 원인은 다르더라도 치료 방법은 영구심박동기 삽입술이 유일하며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위와 같은 증상으로 인해 삶의 질이 심하게 저하된다.
또한 유병률 조사가 어려워 정확한 현황 파악이 되어 있지 않아 전 세계적으로 영구심박동기 시술 건수를 질환의 증감 여부를 가늠하는 기준으로 사용한다.
노태호 교수는 “대표적 노인성 심질환 중 하나인 서맥성 부정맥에 대한 이해도 심각하게 낮아 어지럼증 등 주요 증상을 나이가 많아지면 당연히 생기는 것으로 착각하기 쉬운 상태"라며 "이로 인해 발견이 늦고 기기 이식에 대한 거부감으로 진단 후에도 시술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맥성 부정맥은 적기에 치료만 받는다면 훨씬 높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다"며 "60세 이상에서 어지럼증이 나타나면 빈혈이나 저혈압 등으로 자가 진단하지 말고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