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세브란스 최의영 교수팀, DNA 염기서열 분석법 개발
혈액 검사 한번으로 심근경색에 대한 정밀 진단이 가능한 진단법이 나와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심장 MRI 하나만으로 조직 검사 없이 심근의 조직 상태를 알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해 주목된다.
연세대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최의영 교수팀(이경화, 정혜문, 이경아, 박철환, 박혜성)은 환자 혈액의 DNA 염기서열 분석 통해 심근증을 진단하는 새 진단법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와 함께 심장 MRI 지도영상 기법을 통해 조직검사 없이도 심근의 조직상태를 알아낼 수 있는 새 진단법의 가능성도 열었다고 전했다.
최 교수팀은 증례 연구를 위해 심근비후로 발견된 39세의 여성 심근증 환자의 혈액을 채취해 PCR 시퀀싱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내 전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환자의 DNA에서 심근증을 일으키는 3243A>G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심장 MRI 영상지도 기법으로 심근의 조직상태를 분석한 결과 실제 침습적 심장 조직검사를 통해 분석한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적 소견에 해당되는 결과를 거뒀다.
미토콘드리아 3243A>G 유전자 변이의 경우 일반인 300명중 1명에서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며 심근증의 경우 비후성 심근증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결국 비후성 심근증에서 미토콘드리아 유전변이 및 심장 MRI기법을 이용해 고위험군을 찾아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심근증은 심장이 확장되거나 두꺼워지거나 또는 지방침착이 생기는 등 심장근육 이상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 질환군을 통칭한다.
특히 비후성 심근증은 인구 500명당 1명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심근증으로 부정맥발생으로 인한 급사, 심기능 장애로 인한 운동 시 호흡곤란 및 말기 심부전으로의 진행, 심근허혈로 인한 흉통, 실신, 심방세동의 발생으로 인한 뇌졸중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이 같은 심근증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현재 혈액검사 및 엑스레이촬영, 심초음파, 조영술 등 다양한 검사 및 진단기법이 동원되고 있으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접 심장의 근육조직을 채취하는 조직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최 교수팀이 혈액 하나만으로 심근증을 진단하고 나아가 발병 가능성까지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내놓으면서 향후 진단법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최의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다소 위험한 침습적검사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또한 직접 조직을 채취하지 않고도 MRI를 이용해 심근의 조직상태를 알 수 있는 새 진단법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 성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를 통해 심근증 환자들의 개별화된 조직 특성 및 유전변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존의 약물치료와 함께 새로운 효소치료, 조기 이식형 제세동기 치료 등 맞춤 치료의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심장 MRI 하나만으로 조직 검사 없이 심근의 조직 상태를 알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해 주목된다.
연세대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최의영 교수팀(이경화, 정혜문, 이경아, 박철환, 박혜성)은 환자 혈액의 DNA 염기서열 분석 통해 심근증을 진단하는 새 진단법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와 함께 심장 MRI 지도영상 기법을 통해 조직검사 없이도 심근의 조직상태를 알아낼 수 있는 새 진단법의 가능성도 열었다고 전했다.
최 교수팀은 증례 연구를 위해 심근비후로 발견된 39세의 여성 심근증 환자의 혈액을 채취해 PCR 시퀀싱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내 전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환자의 DNA에서 심근증을 일으키는 3243A>G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심장 MRI 영상지도 기법으로 심근의 조직상태를 분석한 결과 실제 침습적 심장 조직검사를 통해 분석한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적 소견에 해당되는 결과를 거뒀다.
미토콘드리아 3243A>G 유전자 변이의 경우 일반인 300명중 1명에서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며 심근증의 경우 비후성 심근증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결국 비후성 심근증에서 미토콘드리아 유전변이 및 심장 MRI기법을 이용해 고위험군을 찾아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심근증은 심장이 확장되거나 두꺼워지거나 또는 지방침착이 생기는 등 심장근육 이상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 질환군을 통칭한다.
특히 비후성 심근증은 인구 500명당 1명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심근증으로 부정맥발생으로 인한 급사, 심기능 장애로 인한 운동 시 호흡곤란 및 말기 심부전으로의 진행, 심근허혈로 인한 흉통, 실신, 심방세동의 발생으로 인한 뇌졸중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이 같은 심근증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현재 혈액검사 및 엑스레이촬영, 심초음파, 조영술 등 다양한 검사 및 진단기법이 동원되고 있으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접 심장의 근육조직을 채취하는 조직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최 교수팀이 혈액 하나만으로 심근증을 진단하고 나아가 발병 가능성까지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내놓으면서 향후 진단법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최의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다소 위험한 침습적검사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또한 직접 조직을 채취하지 않고도 MRI를 이용해 심근의 조직상태를 알 수 있는 새 진단법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 성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를 통해 심근증 환자들의 개별화된 조직 특성 및 유전변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존의 약물치료와 함께 새로운 효소치료, 조기 이식형 제세동기 치료 등 맞춤 치료의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