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제도 개편 맞물려 다시 수면 위로 "정부 역할도 있다"
끝없는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PA(Physician Assistant)제도가 수련제도 개편 논의로 다시 도마 위에 오르면서 외과가 골머리를 썩고 있다.
호스피탈리스트 도입 등과 맞물려 PA제도가 유탄을 맞을까 우려하고 있는 것.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아예 이번 기회에 통합 논의를 진행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대한외과학회 관계자는 18일 "호스피탈리스트 도입이 구체화되면서 또 다시 PA제도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며 "이로 인해 지방, 중소 수련병원에서는 혹여 유탄을 맞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이같은 우려는 PA의 위태로운 신분 때문이다.
현재 PA에 대한 제도나 규정이 없는 만큼 엄격한 잣대로 이들의 업무를 평가할 경우 불법의 소지가 다분하다.
하지만 전공의 부족과 수술 건수 증가 등 외과의 어려운 현실을 반영해 암묵적인 동의 형태로 제도가 운영돼 온 것도 사실이다.
결국 논란이 일어날 때마다 PA로 겨우 수술방을 운영하고 있는 지방, 중소 수련병원들은 전전긍긍할 수 밖에 없다는 뜻이다.
A수련병원 외과 부장은 "우리 병원만 해도 PA가 100명이 넘어간다"며 "이들이 없으면 당장 수술방 운영이 힘든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우리 병원도 상황이 이런데 전공의 정원을 절반도 못채운 지방 병원들은 상황이 얼마나 심각하겠냐"며 "이들은 호스피탈리스트를 버리더라도 PA를 지켜야 할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 호스피탈리스트 도입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이유다.
그나마 자금 등 여력이 있는 병원들은 호스피탈리스트 도입이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그렇지 않은 병원들은 지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B대학병원 외과 교수는 "만약 호스피탈리스트와 PA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PA를 택하는 병원들이 훨씬 많을 것"이라며 "수가가 책정되고 의사 채용에 메리트가 있다 해도 비용적인 면에서 선택의 여지가 없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외과학회 등도 이러한 딜레마를 풀기 위해 머리를 싸매고 있다. 결국 언젠가 한번은 건드려야 하는 문제지만 그것이 지금인가에 대해 계산을 하고 있는 셈이다.
학회를 중심으로 정부의 역할을 주장하고 있는 것도 연장선이다. 결국 이러한 문제를 풀어내는 것은 정책적 접근 외에는 답이 없기 때문이다.
대한외과학회 노성훈 이사장은 "PA제도의 장단점은 이미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이제는 이러한 찬반 논쟁보다는 미래 방향성을 논해야 하는 시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병원마다 운영 형태와 역할이 모두 달라 학회조차 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며 "이러한 문제에 사회적 컨센서스를 이루고 이를 제도로 풀어내는 것은 결국 정부가 해아할 문제"라고 밝혔다.
호스피탈리스트 도입 등과 맞물려 PA제도가 유탄을 맞을까 우려하고 있는 것.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아예 이번 기회에 통합 논의를 진행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대한외과학회 관계자는 18일 "호스피탈리스트 도입이 구체화되면서 또 다시 PA제도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며 "이로 인해 지방, 중소 수련병원에서는 혹여 유탄을 맞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이같은 우려는 PA의 위태로운 신분 때문이다.
현재 PA에 대한 제도나 규정이 없는 만큼 엄격한 잣대로 이들의 업무를 평가할 경우 불법의 소지가 다분하다.
하지만 전공의 부족과 수술 건수 증가 등 외과의 어려운 현실을 반영해 암묵적인 동의 형태로 제도가 운영돼 온 것도 사실이다.
결국 논란이 일어날 때마다 PA로 겨우 수술방을 운영하고 있는 지방, 중소 수련병원들은 전전긍긍할 수 밖에 없다는 뜻이다.
A수련병원 외과 부장은 "우리 병원만 해도 PA가 100명이 넘어간다"며 "이들이 없으면 당장 수술방 운영이 힘든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우리 병원도 상황이 이런데 전공의 정원을 절반도 못채운 지방 병원들은 상황이 얼마나 심각하겠냐"며 "이들은 호스피탈리스트를 버리더라도 PA를 지켜야 할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 호스피탈리스트 도입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이유다.
그나마 자금 등 여력이 있는 병원들은 호스피탈리스트 도입이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그렇지 않은 병원들은 지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B대학병원 외과 교수는 "만약 호스피탈리스트와 PA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PA를 택하는 병원들이 훨씬 많을 것"이라며 "수가가 책정되고 의사 채용에 메리트가 있다 해도 비용적인 면에서 선택의 여지가 없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외과학회 등도 이러한 딜레마를 풀기 위해 머리를 싸매고 있다. 결국 언젠가 한번은 건드려야 하는 문제지만 그것이 지금인가에 대해 계산을 하고 있는 셈이다.
학회를 중심으로 정부의 역할을 주장하고 있는 것도 연장선이다. 결국 이러한 문제를 풀어내는 것은 정책적 접근 외에는 답이 없기 때문이다.
대한외과학회 노성훈 이사장은 "PA제도의 장단점은 이미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이제는 이러한 찬반 논쟁보다는 미래 방향성을 논해야 하는 시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병원마다 운영 형태와 역할이 모두 달라 학회조차 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며 "이러한 문제에 사회적 컨센서스를 이루고 이를 제도로 풀어내는 것은 결국 정부가 해아할 문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