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용편의성 의료진에게 어필…제미메트 등도 처방 순풍
1일 1회 DPP-4 억제제+메트포르민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기존 1일 2회 복용법을 1일 1회로 줄여 복용 편의성과 치료 효과 증대 두 마리 토끼를 잡다는 점이 의료진에게 어필한 결과다.
대표주자는 MSD '자누메트엑스알(시타글립틴+메트포르민)'이다.
IMS 데이터 기준 3분기 누계 처방액이 170억원(1분기 48억원, 2분기 57억원, 3분기 64억원)을 돌파했다. 작년 같은 기간(70억원)보다 정확히 100억원이 급증했다.
상승세를 감안하면 올해 250억원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자누메트엑스알' 만큼은 아니만 '제미메트(제미글립틴+메트포르민)'도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LG생명과학은 올해 '제미메트' 50/500mg 용량을 추가해 노른자 땅을 잡기 위한 노력에 나서고 있다. 현재 50/500mg 말고도 25/500mg와 50/1000mg가 있다.
DPP-4 억제제 후발주자 중에 후발주자 한독은 '테넬리아엠(테네리글립틴+메트포르민)'을 지난해 출시하며 몇 없는 1일 1회 DPP-4억제제+메트포르민 시장에 뛰어들었다.
출시는 늦었지만 대세인 복합제 시장에서도 대세로 급부상하고 있는 서방정 시장을 주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또 다른 1일 1회 DPP-4억제제+메트포르민 '콤비글라이자XR(삭사글립틴+메트포르민)'도 처방 확대를 노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어차피 당뇨병 치료는 병용법이다. 효과가 동일하다면 1일 1회처럼 먹기 편한 약을 선호하게 된다. DPP-4 억제제+메트포르민 시장도 서방정으로 흐름이 넘어왔다. 조금만 1일 2회 복합제 처방액을 대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IMS 데이터 기준 3분기 누계 처방액이 170억원(1분기 48억원, 2분기 57억원, 3분기 64억원)을 돌파했다. 작년 같은 기간(70억원)보다 정확히 100억원이 급증했다.
상승세를 감안하면 올해 250억원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자누메트엑스알' 만큼은 아니만 '제미메트(제미글립틴+메트포르민)'도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LG생명과학은 올해 '제미메트' 50/500mg 용량을 추가해 노른자 땅을 잡기 위한 노력에 나서고 있다. 현재 50/500mg 말고도 25/500mg와 50/1000mg가 있다.
DPP-4 억제제 후발주자 중에 후발주자 한독은 '테넬리아엠(테네리글립틴+메트포르민)'을 지난해 출시하며 몇 없는 1일 1회 DPP-4억제제+메트포르민 시장에 뛰어들었다.
출시는 늦었지만 대세인 복합제 시장에서도 대세로 급부상하고 있는 서방정 시장을 주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또 다른 1일 1회 DPP-4억제제+메트포르민 '콤비글라이자XR(삭사글립틴+메트포르민)'도 처방 확대를 노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어차피 당뇨병 치료는 병용법이다. 효과가 동일하다면 1일 1회처럼 먹기 편한 약을 선호하게 된다. DPP-4 억제제+메트포르민 시장도 서방정으로 흐름이 넘어왔다. 조금만 1일 2회 복합제 처방액을 대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