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인센티브 사라지고 직원 급여 동결…운신의 폭 축소
"선택진료 의사 수를 33%까지 감축하는 것은 67%와는 차원이 다른 얘기다."
21일 일선 병원에 따르면 선택진료 의사 수 감축으로 교수들의 불만은 물론이고 병원 운영에 있어서도 압박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앞서 정부는 현재 67%까지 감축한 선택진료 의사 비율을 오는 9월부터 33%까지 줄인다고 밝힌 바 있다.
복지부는 의료질평가지원금을 통해 선택진료 개편에 따른 보상해주겠다고 했지만, 기존의 선택진료비 보전책이 될 수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상황.
각 병원들은 "다수의 사립대 병원이 선택진료비로 병원에 재투자해왔는데 앞으로 어려울 것 같다"면서 운신의 폭이 좁아졌다고 입을 모았다.
지방의 모 대학병원 홍보실장은 "선택진료비가 33%까지 줄어드는 것은 병원 경영에 치명적일 것"이라면서 "새병원 건립 및 확장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이 클 것"이라고 토로했다.
선택진료 개편에 따른 보상방안이라고 추진 중인 의료질평가지원금 이외 다른 대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새어나오고 있다.
서울권 중소 대학병원 기조실장은 "의료질지원금은 빈익빈부익부가 극심하다. 선택진료비는 줄었는데 그에 따른 보상은 기약할 수가 없어 답답하다"면서 "다른 방식의 수가보전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병원의 쪼그라든 주머니 사정에 의사는 물론 행정직까지 표정이 어둡다.
선택진료 의사는 인센티브가 감소하고 행정직 또한 급여 인상이 어렵게 됐기 때문이다.
대형 대학병원 한 교수는 "9월 선택진료 의사 수를 더 감축하면 인센티브 감소로 급여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을텐데 씁쓸하다"고 전했다.
서울권 중소 대학병원 한 관계자도 "선택진료 축소에 따른 대책으로 지난해 전 직원 임금을 동결한 데 이어 올해도 임금인상폭은 동결 수준에 그쳤다"면서 "당분간은 임금 인상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의료질평가지원금에 기댈 수 밖에 없는 현실이 각 병원을 더욱 씁쓸하게 만들고 있다.
의료 질을 높이자는 것에는 찬성하지만 정부가 제시한 기준이 일선 의료기관이 감당하기에는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지방 국립대병원 기조실장은 "수익감소를 모면해보고자 의료질평가지원금이 요구하는 기준에 맞추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보전을 받는 것보다 수가를 받고자 투자가 더 큰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앞으로도 의료질평가지원금을 높여나가려면 지금은 마이너스라도 병원 재정을 쏟아부을 수 밖에 없다"면서 "지원금에 목 매야 하는 현실이 씁쓸하다"고 전했다.
지방 중소대학병원 한 보직자는 "정부의 의료질평가지원금 기준이 대형병원 위주라는 지적은 계속될 것"이라면서 "의료기관 규모별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등의 대안도 모색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21일 일선 병원에 따르면 선택진료 의사 수 감축으로 교수들의 불만은 물론이고 병원 운영에 있어서도 압박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앞서 정부는 현재 67%까지 감축한 선택진료 의사 비율을 오는 9월부터 33%까지 줄인다고 밝힌 바 있다.
복지부는 의료질평가지원금을 통해 선택진료 개편에 따른 보상해주겠다고 했지만, 기존의 선택진료비 보전책이 될 수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상황.
각 병원들은 "다수의 사립대 병원이 선택진료비로 병원에 재투자해왔는데 앞으로 어려울 것 같다"면서 운신의 폭이 좁아졌다고 입을 모았다.
지방의 모 대학병원 홍보실장은 "선택진료비가 33%까지 줄어드는 것은 병원 경영에 치명적일 것"이라면서 "새병원 건립 및 확장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이 클 것"이라고 토로했다.
선택진료 개편에 따른 보상방안이라고 추진 중인 의료질평가지원금 이외 다른 대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새어나오고 있다.
서울권 중소 대학병원 기조실장은 "의료질지원금은 빈익빈부익부가 극심하다. 선택진료비는 줄었는데 그에 따른 보상은 기약할 수가 없어 답답하다"면서 "다른 방식의 수가보전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병원의 쪼그라든 주머니 사정에 의사는 물론 행정직까지 표정이 어둡다.
선택진료 의사는 인센티브가 감소하고 행정직 또한 급여 인상이 어렵게 됐기 때문이다.
대형 대학병원 한 교수는 "9월 선택진료 의사 수를 더 감축하면 인센티브 감소로 급여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을텐데 씁쓸하다"고 전했다.
서울권 중소 대학병원 한 관계자도 "선택진료 축소에 따른 대책으로 지난해 전 직원 임금을 동결한 데 이어 올해도 임금인상폭은 동결 수준에 그쳤다"면서 "당분간은 임금 인상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의료질평가지원금에 기댈 수 밖에 없는 현실이 각 병원을 더욱 씁쓸하게 만들고 있다.
의료 질을 높이자는 것에는 찬성하지만 정부가 제시한 기준이 일선 의료기관이 감당하기에는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지방 국립대병원 기조실장은 "수익감소를 모면해보고자 의료질평가지원금이 요구하는 기준에 맞추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보전을 받는 것보다 수가를 받고자 투자가 더 큰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앞으로도 의료질평가지원금을 높여나가려면 지금은 마이너스라도 병원 재정을 쏟아부을 수 밖에 없다"면서 "지원금에 목 매야 하는 현실이 씁쓸하다"고 전했다.
지방 중소대학병원 한 보직자는 "정부의 의료질평가지원금 기준이 대형병원 위주라는 지적은 계속될 것"이라면서 "의료기관 규모별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등의 대안도 모색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