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과목별 이기주의 해석 분분…수련 내실화 논의는 뒷전
내과와 외과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수련기간 단축 논의가 전문과목별로 시각을 달리하면서 끝없는 공방을 지속하고 있다.
이로 인해 수련 내실화라는 명분은 사라지고 전문과목별로, 직종별로 극단의 이기주의가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문과목별 극단적 시각차…끝없는 논란 양산
A학회 이사장은 11일 "수련기간 단축 논의는 전문의 제도 개편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돼야 하는 문제"라며 "일부 과목 학회가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내과와 외과가 수련기간을 단축하면 다른 과목들도 결국 어떤식으로든 수련기간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며 "그러한 논의없이 자체적으로 수련기간 단축 문제를 들고 나온 것은 극단적 이기주의"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은 대한내과학회가 수련기간 단축 문제를 내놓은 시점이 전공의 미달 사태를 겪은 시점과 맞물리기 때문이다..
결국 전공의 미달을 피하고자 서둘러 수련기간 단축 문제를 들고 나온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
B학회 이사는 "사상 최초로 전공의 미달이 현실화되자 호스피탈리스트와 수련기간 단축방안이 나오지 않았느냐"며 "어떤 명분을 달아도 결국 전공의 미달을 피해보자는 미봉책"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그는 "내과가 치고 나가자 외과가 따라가며 수련기간 단축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른 것"이라며 "결국 내과와 외과 모두 즉흥적인 판단에 의해 수련제도를 뒤흔든 결과를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에 대해 내과와 외과는 억울하다는 반응이다. 이미 수련기간 단축 방안에 대해 충분한 논의를 거쳤으며 의학회와도 어느 정도 합의를 이뤘다는 것이다.
일부 학회들이 주장하는 전공의 미달 면피용 방안이 아니라는 것. 또한 수련기간 단축 문제를 모든 과목 학회들과 논의하는 것도 이치에 맞지 않다는 반응이다.
내과학회 이수곤 이사장은 "수련기간 단축 논의는 대부분의 내과 전문의들이 세부전문의 과정을 밟으면서 수련기간이 너무 길다는 지적에서 시작된 것"이라며 "이미 수년전부터 이사회를 통해 논의가 진행되던 사안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호스피탈리스트 도입과 맞물려 전공의들의 로딩을 줄이고 수련에 더 매진하면서 기간을 줄여보자는데 합의가 이뤄진 것"이라며 "3+2 수련제도는 그렇게 만들어진 산물"이라고 전했다.
수련 내실화 명분 물음표…전공의 쟁탈전만 가속화
그러나 이러한 논란에서 가장 큰 문제는 대의명분으로 내세운 수련 내실화에 대한 논의가 사라졌다는데 있다.
결국 수련제도 개편이 수련내실화보다는 전공의 확보전으로 변질되고 있는 셈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 송명제 회장은 "전공의 대부분이 수련제도 개편의 실효성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며 "수련제도 개편에 수련주체의 의견이 전혀 들어가 있지 않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현재 일고 있는 공방의 핵심은 '전공의 인력'로 압축된다. 내과와 외과가 수련기간을 단축하는 부분도, 타 학회에서 이를 반대하는 이유도 결국 전공의를 둘러싼 싸움이라는 의미다.
전공의 미달 사태를 겪은 내과를 중심으로 하는 일부 학회들이 이에 대한 대안으로 수련기간 단축 카드를 내놓자 혹여 전공의 지원율이 떨어질까 우려하는 학회들이 반대 의견을 내고 있다는 의미다.
C학회 이사장은 "수련기간 단축에 찬성하는 쪽도, 반대하는 쪽도 결국 전공의 지원율을 보고 있는 것"이라며 "외과가 3년으로 줄이면 비뇨기과, 산부인과 등이 자유로울 수 없고 내과가 줄이면 소아과 등이 직격탄을 맞지 않겠느냐"고 되물었다.
일차진료의사를 배출하겠다는 내과와 외과의 명분도 물음표를 던지는 의견이 많다. 과연 3년간의 수련으로 일차진료를 담당할 수 있겠냐는 의구심이다.
4년간 수련을 받으면서도 내시경조차 배우지 못하는 현실에서 3년 전문의로 개업이나 봉직이 가능하겠느냐는 지적이 많다.
대전협 송명제 회장은 "내과와 외과에서도 3+2 수련제라고 한다는 것은 결국 세부전문의를 사실상 수련과정으로 묶어서 가겠다는 의미 아니겠냐"고 말했다.
D대학병원 외과 주임교수는 "주당 80시간 근무제가 시행중인 상황에서 수련기간까지 3년으로 줄이면 제대로된 수련이 될지 의문"이라며 "학회 내에서도 이에 대해 찬반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사실 수련기간 단축방안을 내기 전에 3년제 수련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성 논의부터 진행하고 충분히 검증 과정을 거쳤어야 한다고 본다"며 "수련기간 단축에 대한 찬성의견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우려를 하는 전문의들도 많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내과와 외과의 의견은 이와 상반된다. 불필요한 잡무를 줄이고 수련에 집중하면 충분히 3년간 밀도높은 수련을 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대한외과학회 노성훈 이사장은 "4년간 수련기간동안 생각보다 수련이 아닌 일로 낭비하는 시간이 만만치 않다"며 "이러한 시간을 줄이고 수련프로그램을 내실화하면 충분히 3년내에 우수한 전공의를 키워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러한 논란을 잠재우고 효율적인 수련제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전인수를 멈추고 큰 틀에서 수련제도 개편의 효용성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문의 확보를 위한 근시안적인 미봉책 보다는 제대로된 전문의를 배출하기 위한 수련 내실화에 초점을 되돌려야 한다는 제언이다.
대한수련교육자협의회 관계자는 "수련기간 단축을 포함한 모든 수련제도 문제는 내실화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며 "단순히 수련기간을 3년으로 하냐 4년으로 하냐보다는 큰 틀에서 완성된 전문의를 배출하는데 무엇이 필요한가를 고민하는 것이 먼저"라고 밝혔다.
이로 인해 수련 내실화라는 명분은 사라지고 전문과목별로, 직종별로 극단의 이기주의가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문과목별 극단적 시각차…끝없는 논란 양산
A학회 이사장은 11일 "수련기간 단축 논의는 전문의 제도 개편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돼야 하는 문제"라며 "일부 과목 학회가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내과와 외과가 수련기간을 단축하면 다른 과목들도 결국 어떤식으로든 수련기간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며 "그러한 논의없이 자체적으로 수련기간 단축 문제를 들고 나온 것은 극단적 이기주의"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은 대한내과학회가 수련기간 단축 문제를 내놓은 시점이 전공의 미달 사태를 겪은 시점과 맞물리기 때문이다..
결국 전공의 미달을 피하고자 서둘러 수련기간 단축 문제를 들고 나온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
B학회 이사는 "사상 최초로 전공의 미달이 현실화되자 호스피탈리스트와 수련기간 단축방안이 나오지 않았느냐"며 "어떤 명분을 달아도 결국 전공의 미달을 피해보자는 미봉책"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그는 "내과가 치고 나가자 외과가 따라가며 수련기간 단축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른 것"이라며 "결국 내과와 외과 모두 즉흥적인 판단에 의해 수련제도를 뒤흔든 결과를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에 대해 내과와 외과는 억울하다는 반응이다. 이미 수련기간 단축 방안에 대해 충분한 논의를 거쳤으며 의학회와도 어느 정도 합의를 이뤘다는 것이다.
일부 학회들이 주장하는 전공의 미달 면피용 방안이 아니라는 것. 또한 수련기간 단축 문제를 모든 과목 학회들과 논의하는 것도 이치에 맞지 않다는 반응이다.
내과학회 이수곤 이사장은 "수련기간 단축 논의는 대부분의 내과 전문의들이 세부전문의 과정을 밟으면서 수련기간이 너무 길다는 지적에서 시작된 것"이라며 "이미 수년전부터 이사회를 통해 논의가 진행되던 사안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호스피탈리스트 도입과 맞물려 전공의들의 로딩을 줄이고 수련에 더 매진하면서 기간을 줄여보자는데 합의가 이뤄진 것"이라며 "3+2 수련제도는 그렇게 만들어진 산물"이라고 전했다.
수련 내실화 명분 물음표…전공의 쟁탈전만 가속화
그러나 이러한 논란에서 가장 큰 문제는 대의명분으로 내세운 수련 내실화에 대한 논의가 사라졌다는데 있다.
결국 수련제도 개편이 수련내실화보다는 전공의 확보전으로 변질되고 있는 셈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 송명제 회장은 "전공의 대부분이 수련제도 개편의 실효성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며 "수련제도 개편에 수련주체의 의견이 전혀 들어가 있지 않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현재 일고 있는 공방의 핵심은 '전공의 인력'로 압축된다. 내과와 외과가 수련기간을 단축하는 부분도, 타 학회에서 이를 반대하는 이유도 결국 전공의를 둘러싼 싸움이라는 의미다.
전공의 미달 사태를 겪은 내과를 중심으로 하는 일부 학회들이 이에 대한 대안으로 수련기간 단축 카드를 내놓자 혹여 전공의 지원율이 떨어질까 우려하는 학회들이 반대 의견을 내고 있다는 의미다.
C학회 이사장은 "수련기간 단축에 찬성하는 쪽도, 반대하는 쪽도 결국 전공의 지원율을 보고 있는 것"이라며 "외과가 3년으로 줄이면 비뇨기과, 산부인과 등이 자유로울 수 없고 내과가 줄이면 소아과 등이 직격탄을 맞지 않겠느냐"고 되물었다.
일차진료의사를 배출하겠다는 내과와 외과의 명분도 물음표를 던지는 의견이 많다. 과연 3년간의 수련으로 일차진료를 담당할 수 있겠냐는 의구심이다.
4년간 수련을 받으면서도 내시경조차 배우지 못하는 현실에서 3년 전문의로 개업이나 봉직이 가능하겠느냐는 지적이 많다.
대전협 송명제 회장은 "내과와 외과에서도 3+2 수련제라고 한다는 것은 결국 세부전문의를 사실상 수련과정으로 묶어서 가겠다는 의미 아니겠냐"고 말했다.
D대학병원 외과 주임교수는 "주당 80시간 근무제가 시행중인 상황에서 수련기간까지 3년으로 줄이면 제대로된 수련이 될지 의문"이라며 "학회 내에서도 이에 대해 찬반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사실 수련기간 단축방안을 내기 전에 3년제 수련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성 논의부터 진행하고 충분히 검증 과정을 거쳤어야 한다고 본다"며 "수련기간 단축에 대한 찬성의견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우려를 하는 전문의들도 많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내과와 외과의 의견은 이와 상반된다. 불필요한 잡무를 줄이고 수련에 집중하면 충분히 3년간 밀도높은 수련을 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대한외과학회 노성훈 이사장은 "4년간 수련기간동안 생각보다 수련이 아닌 일로 낭비하는 시간이 만만치 않다"며 "이러한 시간을 줄이고 수련프로그램을 내실화하면 충분히 3년내에 우수한 전공의를 키워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러한 논란을 잠재우고 효율적인 수련제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전인수를 멈추고 큰 틀에서 수련제도 개편의 효용성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문의 확보를 위한 근시안적인 미봉책 보다는 제대로된 전문의를 배출하기 위한 수련 내실화에 초점을 되돌려야 한다는 제언이다.
대한수련교육자협의회 관계자는 "수련기간 단축을 포함한 모든 수련제도 문제는 내실화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며 "단순히 수련기간을 3년으로 하냐 4년으로 하냐보다는 큰 틀에서 완성된 전문의를 배출하는데 무엇이 필요한가를 고민하는 것이 먼저"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