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직 전문의 1명→3명·간호3등급→1등급 껑충…여전히 인력 부족
신생아 집중치료실 병상수 상승, 연간 미숙아 및 고위험신생아 연간 600여명, 초극소 저체중출생아 증가.
충남대병원은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 운영을 시작한 지난 2009년부터 최근까지의 진료실적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병상규모는 24병상에서 34병상으로 늘면서 전체 입원환자 중 1500g미만의 초극소 저체중출생아 비율이 2009년 7.3%에서 2012년 11.2%, 2015년 11.3%로 상승세이며 중환자 및 준중환자 비율도 2009년 66%에서 2012년 69%, 2015년도 84%로 증가했다.
수술이 필요한 고위험 신생아 수 또한 2009년 20건에서 2012년 25건, 2015년 41건으로 매년 늘어난 반면 사망률은 크게 변화가 없어 진료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몇년 새 달라진 지표가 말해주듯 신생아 NICU 즉, 집중치료실 임상 현장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1명에 그치던 24시간 상시 당직전문의가 2015년도 3명으로 늘었으며 간호등급 또한 3등급에서 1등급으로 껑충 뛰어올랐다. 5년전 데이터와 비교하면 놀라운 변화다.
이밖에도 신생아 중환자실 수가 100% 인상 등 정부 정책적으로 신생아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일선 현장의 의료진들은 여전히 더 많은 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당장 당직을 서야할 전문의는 늘 피로감을 호소해야하고 수가를 100% 인상했음에도 여전히 저수가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충남대병원 소청과 한 의료진은 "신생아 특히 1500g미만의 초극소 저체중출생아일수록 의료진의 손길이 많이 필요하다"면서 "이들은 1cc의 수액, 1%의 산소공급의 차이로 후유증이 남기 때문에 24시간 늘 긴장상태를 유지해야한다"고 전했다.
한명의 소아환자를 살려내기 위해 짧게는 한달, 길게는 3~4개월씩 미세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다보면 피로감이 상당하다는 게 그의 설명.
그는 "인큐베이터 안의 소아환자는 오늘 다르고 내일 다르기 때문에 보호자도 힘들어한다. 의사 입장에서 지치고 예민한 보호자를 상대해야하는 것도 만만치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일선 현장에서 가장 절실한 것은 낮은 수가와 함께 의료인력.
당장 24시간 당직을 설 수 있는 의료진이 필요하고 극도의 집중도와 관찰이 필요한 만큼 피로도가 크기 때문에 교대 근무가 절실하지만 신생아 세부전문의 자체가 부족해 그 또한 여의치 않은 게 현실이다.
모 대학병원 신생아 전담 교수는 "24시간 전문의가 온콜 대기를 서야하고 실제로 수시로 콜을 받다보면 아예 심야에도 상근하는 경우가 많다"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소아청소년과 내부에서도 신생아 세부전문의는 힘들고 공부할 게 많아 기피대상"이라면서 "늘 의료진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병원 교수는 "의사 인력도 문제지만 간호사 부족도 아쉽다"라면서 "제도적으로 간호사 채용을 늘릴 수 있는 장치를 더 확대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남대병원은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 운영을 시작한 지난 2009년부터 최근까지의 진료실적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병상규모는 24병상에서 34병상으로 늘면서 전체 입원환자 중 1500g미만의 초극소 저체중출생아 비율이 2009년 7.3%에서 2012년 11.2%, 2015년 11.3%로 상승세이며 중환자 및 준중환자 비율도 2009년 66%에서 2012년 69%, 2015년도 84%로 증가했다.
수술이 필요한 고위험 신생아 수 또한 2009년 20건에서 2012년 25건, 2015년 41건으로 매년 늘어난 반면 사망률은 크게 변화가 없어 진료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몇년 새 달라진 지표가 말해주듯 신생아 NICU 즉, 집중치료실 임상 현장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1명에 그치던 24시간 상시 당직전문의가 2015년도 3명으로 늘었으며 간호등급 또한 3등급에서 1등급으로 껑충 뛰어올랐다. 5년전 데이터와 비교하면 놀라운 변화다.
이밖에도 신생아 중환자실 수가 100% 인상 등 정부 정책적으로 신생아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일선 현장의 의료진들은 여전히 더 많은 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당장 당직을 서야할 전문의는 늘 피로감을 호소해야하고 수가를 100% 인상했음에도 여전히 저수가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충남대병원 소청과 한 의료진은 "신생아 특히 1500g미만의 초극소 저체중출생아일수록 의료진의 손길이 많이 필요하다"면서 "이들은 1cc의 수액, 1%의 산소공급의 차이로 후유증이 남기 때문에 24시간 늘 긴장상태를 유지해야한다"고 전했다.
한명의 소아환자를 살려내기 위해 짧게는 한달, 길게는 3~4개월씩 미세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다보면 피로감이 상당하다는 게 그의 설명.
그는 "인큐베이터 안의 소아환자는 오늘 다르고 내일 다르기 때문에 보호자도 힘들어한다. 의사 입장에서 지치고 예민한 보호자를 상대해야하는 것도 만만치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일선 현장에서 가장 절실한 것은 낮은 수가와 함께 의료인력.
당장 24시간 당직을 설 수 있는 의료진이 필요하고 극도의 집중도와 관찰이 필요한 만큼 피로도가 크기 때문에 교대 근무가 절실하지만 신생아 세부전문의 자체가 부족해 그 또한 여의치 않은 게 현실이다.
모 대학병원 신생아 전담 교수는 "24시간 전문의가 온콜 대기를 서야하고 실제로 수시로 콜을 받다보면 아예 심야에도 상근하는 경우가 많다"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소아청소년과 내부에서도 신생아 세부전문의는 힘들고 공부할 게 많아 기피대상"이라면서 "늘 의료진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병원 교수는 "의사 인력도 문제지만 간호사 부족도 아쉽다"라면서 "제도적으로 간호사 채용을 늘릴 수 있는 장치를 더 확대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