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잠 자며 SCI 논문 20편 써낸 삼성서울병원 전공의 화제
잠잘 시간 조차 부족한 대학병원 외과 전공의가 SCI 논문을 발표해 화제다. 그것도 한편도 아닌 무려 스무편에 달한다.
화제의 주인공은 삼성서울병원 외과 4년차 김서기 전공의. 그는 입국하자 마자 논문을 쓰기 시작해 4년간 무려 SCI 논문만 20편을 써냈다.
잘 씻지도 못하며 잠과 씨름하는 이른바 3D과로 통하는 외과. 그 안에서 김 전공의는 어떻게 20편에 달하는 논문을 쓸 수 있었을까.
김서기 전공의는 삼성서울병원의 시스템과 주변의 도움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삼성서울병원은 데이터 정리와 통계, 논문작성, 교정, 제출, 출간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잘 갖추고 있어요. 그 덕을 많이 봤죠."
또한 그는 외과가 외부의 시선과 달리 힘든 과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삼성서울병원 외과만 하더라도 수련에 전혀 어려움이 없었다는 것이다.
김 전공의는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 외과가 거칠고 힘들 거라고 생각하지만 삼성서울병원 외과는 매우 합리적"이라며 "업무 분담이 확실하고 오프와 휴가가 철저하게 보장된다는 점에서 힘들 일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서기 전공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유방내분비외과장을 맡고 있는 김지수 교수를 만난 것이 큰 행운이라고 강조한다.
진료와 연구를 병행하는 것만으로도 눈코 뜰새 없이 바쁜 와중에도 전공의들의 논문을 하나하나 감수해 줬기 때문이다.
"논문의 '논'자도 모르던 당시 1년차인 나에게 김 교수님은 늘 관심을 가져주시며 조언과 질책을 아끼지 않으셨어요. 김지수 교수님이 없었다면 한편의 논문도 나올 수 없었을 꺼에요."
그렇다 해도 외과 전공의로서 그 많은 논문을 쓰는 것이 쉽지는 않았을 터. 대체 무슨 비결이 있는 것일까. 김 전공의는 논문 쓰는 것을 연애로 풀이했다.
"논문 쓰는 것도 연애와 같다고 생각해요. 호기심과 끈기가 없으면 힘들죠. 호기심이 있어야 상대방에게 다가갈 마음이 생기는 것처럼 논문의 시작도 주제에 대한 자연스러운 궁금증이 있어야 합니다. 물론 성취를 위한 인내심도 필수고요."
그렇기에 그는 또 한번의 도전을 앞두고 있다. 서전으로서의 미래를 확정지었지만 지금의 호기심을 잃고 싶지는 않다는 의지에서다.
연구에 대한 커다란 호기심을 유지하며 '더 완벽한외과 의사'를 꿈꾸겠다는 것.
이에 따라 그는 이달말 전공의 과정을 끝낸 후 한국과학기술원 의과학대학원(KAIST GSMSE) 박사과정(4년)으로 진학할 예정이다.
그 곳에서 전문연구요원으로서 군복무와 동시에 연구역량을 키우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과정을 마치면 다시 병원으로 돌아와 갑상선내분비외과 세부전공 전문의로 의사생활을 이어갈 겁니다.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연구를 계속하면서 갑상선암 진단과 치료의 국제적 기준을 확립하는데 기여하고 싶어요."
화제의 주인공은 삼성서울병원 외과 4년차 김서기 전공의. 그는 입국하자 마자 논문을 쓰기 시작해 4년간 무려 SCI 논문만 20편을 써냈다.
잘 씻지도 못하며 잠과 씨름하는 이른바 3D과로 통하는 외과. 그 안에서 김 전공의는 어떻게 20편에 달하는 논문을 쓸 수 있었을까.
김서기 전공의는 삼성서울병원의 시스템과 주변의 도움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삼성서울병원은 데이터 정리와 통계, 논문작성, 교정, 제출, 출간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잘 갖추고 있어요. 그 덕을 많이 봤죠."
또한 그는 외과가 외부의 시선과 달리 힘든 과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삼성서울병원 외과만 하더라도 수련에 전혀 어려움이 없었다는 것이다.
김 전공의는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 외과가 거칠고 힘들 거라고 생각하지만 삼성서울병원 외과는 매우 합리적"이라며 "업무 분담이 확실하고 오프와 휴가가 철저하게 보장된다는 점에서 힘들 일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서기 전공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유방내분비외과장을 맡고 있는 김지수 교수를 만난 것이 큰 행운이라고 강조한다.
진료와 연구를 병행하는 것만으로도 눈코 뜰새 없이 바쁜 와중에도 전공의들의 논문을 하나하나 감수해 줬기 때문이다.
"논문의 '논'자도 모르던 당시 1년차인 나에게 김 교수님은 늘 관심을 가져주시며 조언과 질책을 아끼지 않으셨어요. 김지수 교수님이 없었다면 한편의 논문도 나올 수 없었을 꺼에요."
그렇다 해도 외과 전공의로서 그 많은 논문을 쓰는 것이 쉽지는 않았을 터. 대체 무슨 비결이 있는 것일까. 김 전공의는 논문 쓰는 것을 연애로 풀이했다.
"논문 쓰는 것도 연애와 같다고 생각해요. 호기심과 끈기가 없으면 힘들죠. 호기심이 있어야 상대방에게 다가갈 마음이 생기는 것처럼 논문의 시작도 주제에 대한 자연스러운 궁금증이 있어야 합니다. 물론 성취를 위한 인내심도 필수고요."
그렇기에 그는 또 한번의 도전을 앞두고 있다. 서전으로서의 미래를 확정지었지만 지금의 호기심을 잃고 싶지는 않다는 의지에서다.
연구에 대한 커다란 호기심을 유지하며 '더 완벽한외과 의사'를 꿈꾸겠다는 것.
이에 따라 그는 이달말 전공의 과정을 끝낸 후 한국과학기술원 의과학대학원(KAIST GSMSE) 박사과정(4년)으로 진학할 예정이다.
그 곳에서 전문연구요원으로서 군복무와 동시에 연구역량을 키우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과정을 마치면 다시 병원으로 돌아와 갑상선내분비외과 세부전공 전문의로 의사생활을 이어갈 겁니다.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연구를 계속하면서 갑상선암 진단과 치료의 국제적 기준을 확립하는데 기여하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