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호 항암신약 개발 주도적 역할…6일 발인
국내 항암치료 선구자인 서울의대 김노경 명예교수(향년 77세)가 4일 오전 11시 별세했다.
그는 평생을 항암치료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수술과 방사선치료 외에는 암 치료법이 없던 1970년대에 약물로도 암을 완치시킬 수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그는 국내 1호 항암신약 개발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고, 이후 새로운 항암제 개발과 임상시험 발전에 선구적 역할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또한 그는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기획단 단장과 국립암센터 이사장을 맡아 암 정복을 위한 국가계획에 참여해, 한국인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이 70%에 이르게 하는데 크게 기여한 바 있다.
고인은 1940년 서울에서 태어나 1964년 서울대의대를 졸업하고 1972년부터 서울대병원 내과교수로 재직하며 서울대병원 교육연구부장, 임상의학연구소장, 내과학교실 주임교수를 역임하면서 한국의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
지난 1986년부터 1988년까지 대통령 주치의를 맡았으며 대한내과학회 이사장, 내과학연구지원재단 이사장, 대한암학회 이사장, 대한의사협회 학술이사 등을 맡아 사회발전에도 큰 역할을 해왔다.
이같은 공적으로 1988년 국민훈장모란장, 2005년 옥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한경희 여사와 아들 김지수, 며느리 김자영, 딸 김지연, 사위 김범준 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호실(T. 02-2072-2011)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6일 오전 9시, 장지는 곤지암 소망동산이다.

특히 그는 국내 1호 항암신약 개발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고, 이후 새로운 항암제 개발과 임상시험 발전에 선구적 역할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또한 그는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기획단 단장과 국립암센터 이사장을 맡아 암 정복을 위한 국가계획에 참여해, 한국인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이 70%에 이르게 하는데 크게 기여한 바 있다.
고인은 1940년 서울에서 태어나 1964년 서울대의대를 졸업하고 1972년부터 서울대병원 내과교수로 재직하며 서울대병원 교육연구부장, 임상의학연구소장, 내과학교실 주임교수를 역임하면서 한국의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
지난 1986년부터 1988년까지 대통령 주치의를 맡았으며 대한내과학회 이사장, 내과학연구지원재단 이사장, 대한암학회 이사장, 대한의사협회 학술이사 등을 맡아 사회발전에도 큰 역할을 해왔다.
이같은 공적으로 1988년 국민훈장모란장, 2005년 옥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한경희 여사와 아들 김지수, 며느리 김자영, 딸 김지연, 사위 김범준 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호실(T. 02-2072-2011)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6일 오전 9시, 장지는 곤지암 소망동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