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한미약품 간판 품목 격돌…아토젯 품절 악재 선방
"뛰는 약 위에 나는 약".
고지혈증 복합제의 대표 조합인 아토르바스타틴+에제티미브와 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 조합 복합제가 격돌하고 있다.
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 조합 로수젯이 한해 64.5% 성장한 가운데 아토르바스타틴 복합제인 MSD 아토젯이 80% 넘게 성장하며 재역전에 성공했다.
31일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MSD의 아토젯이 작년 409억원의 매출로 한미약품 로수젯 매출을 근소하게 앞질렀다.
고지혈증 복합제는 주로 ▲아토르바스타틴+에제티미브 ▲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 ▲심바스타틴+에제티미브 조합이 꼽힌다.
바이토린(심바스타틴+에제티미브)의 뒤를 이어 2015년 MSD가 출시한 아토젯(아토르바스타틴+에제티미브)은 출시 첫 해 299억원을 기록했지만 2016년 로수바스타틴 복합제가 대거 합류하며 매출이 226억원으로 하락, 234억원을 기록한 한미약품 로수젯(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에 덜미를 잡힌 바 있다.
아토젯은 2017년 80.9% 성장하며 409억원의 고지를 밟으며 로수젯에 설욕했다.
아토젯의 품절 이슈가 터진 11월과 12월 아토젯-로수젯의 매출은 각각 27억원-35억원, 20억원-39억원으로 로수젯의 역전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연간 전체 매출에서는 근소한 격차를 실감했다.
한미약품 로수젯은 2016년 234억원에서 2017년 386억원으로 64.5% 성장했지만 MSD 아토젯에 근소한 차로 뒤쳐졌다.
한편 MSD의 심바스타틴+에제티미브 복합제 '바이토린'은 출시 10년이 넘으면서 매출액 감소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2014년 732억원으로 정점을 찍었던 바이토린은 2015년 718억원, 2016년 489억원, 2017년 319억원으로 감소했다.
현재 아트로바스타틴+에제티미브 조합은 아토젯이 유일한 상황. 아토젯은 신약으로 시판허가를 받아 6년간의 자료독점권을 부여 받았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로수바스타틴 복합제보다 아토르바스타틴 복합제 개발이 더 어렵다는 것도 관건이다.
반면 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 조합은 다양한 제약사들이 개발에 뛰어들면서 상대적으로 시장 파이가 확대되고 있다.
유한양행 로수바미브는 2016년 70억원 매출에서 2017년 211억원으로 한해 199.6% 급증했다.
같은 기간 CJ헬스케어 로바젯 역시 30억원에서 114억원으로 274.5%, 경동제약 듀오로반은 39억원에서 89억원으로 124%, 대웅제약 크레젯은 19억원에서 70억원으로 270.9%, 휴온스 에슈바는 4억 5천만원에서 50억원으로 1007.8%, 명문제약 로젯은 24억원에서 48억원으로 102% 증가 추세를 그렸다.
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 전체 시장은 작년 1281억원을 형성했고, 이중 상위 10개사의 매출이 1083억원으로 전체의 84.5%를 차지했다.
고지혈증 복합제의 대표 조합인 아토르바스타틴+에제티미브와 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 조합 복합제가 격돌하고 있다.
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 조합 로수젯이 한해 64.5% 성장한 가운데 아토르바스타틴 복합제인 MSD 아토젯이 80% 넘게 성장하며 재역전에 성공했다.
31일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MSD의 아토젯이 작년 409억원의 매출로 한미약품 로수젯 매출을 근소하게 앞질렀다.
고지혈증 복합제는 주로 ▲아토르바스타틴+에제티미브 ▲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 ▲심바스타틴+에제티미브 조합이 꼽힌다.
바이토린(심바스타틴+에제티미브)의 뒤를 이어 2015년 MSD가 출시한 아토젯(아토르바스타틴+에제티미브)은 출시 첫 해 299억원을 기록했지만 2016년 로수바스타틴 복합제가 대거 합류하며 매출이 226억원으로 하락, 234억원을 기록한 한미약품 로수젯(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에 덜미를 잡힌 바 있다.
아토젯은 2017년 80.9% 성장하며 409억원의 고지를 밟으며 로수젯에 설욕했다.
아토젯의 품절 이슈가 터진 11월과 12월 아토젯-로수젯의 매출은 각각 27억원-35억원, 20억원-39억원으로 로수젯의 역전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연간 전체 매출에서는 근소한 격차를 실감했다.
한미약품 로수젯은 2016년 234억원에서 2017년 386억원으로 64.5% 성장했지만 MSD 아토젯에 근소한 차로 뒤쳐졌다.
한편 MSD의 심바스타틴+에제티미브 복합제 '바이토린'은 출시 10년이 넘으면서 매출액 감소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2014년 732억원으로 정점을 찍었던 바이토린은 2015년 718억원, 2016년 489억원, 2017년 319억원으로 감소했다.
현재 아트로바스타틴+에제티미브 조합은 아토젯이 유일한 상황. 아토젯은 신약으로 시판허가를 받아 6년간의 자료독점권을 부여 받았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로수바스타틴 복합제보다 아토르바스타틴 복합제 개발이 더 어렵다는 것도 관건이다.
반면 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 조합은 다양한 제약사들이 개발에 뛰어들면서 상대적으로 시장 파이가 확대되고 있다.
유한양행 로수바미브는 2016년 70억원 매출에서 2017년 211억원으로 한해 199.6% 급증했다.
같은 기간 CJ헬스케어 로바젯 역시 30억원에서 114억원으로 274.5%, 경동제약 듀오로반은 39억원에서 89억원으로 124%, 대웅제약 크레젯은 19억원에서 70억원으로 270.9%, 휴온스 에슈바는 4억 5천만원에서 50억원으로 1007.8%, 명문제약 로젯은 24억원에서 48억원으로 102% 증가 추세를 그렸다.
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 전체 시장은 작년 1281억원을 형성했고, 이중 상위 10개사의 매출이 1083억원으로 전체의 84.5%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