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공방 속 외나무다리에서 만난 의협-한의협 수장

발행날짜: 2018-09-13 12:00:49
  • 노인요양병원협회 학술세미나 두 회장 참석…최혁용 회장 의료일원화 필요성 주장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 의·한·정협의체 합의문 초안을 둘러싼 대한의사협회와 대한한의사협회 간의 진실공방이 벌이지고 있는 가운데 두 수장이 뜻하지 않게 조우했다.

특히 한의협 최혁용 회장은 의협 최대집 회장을 앞에 두고 의료일원화 논의의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주장해 주목을 받았다.

의협 최대집 회장과 한의협 최혁용 회장이 요양병원협회 학술세미나 자리에 참석해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다.
13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 추계 학술세미나'에 의협 최대집 회장과 한의협 최혁용 회장은 함께 참석했다.

노인요양병원협회 추계 학술세미나를 축하하기 위해 두 수장이 참석한 것.

이 자리에서 의협 최대집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의료일원화 논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채 새 정부 출범 이후 변화되고 있는 요양병원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의협 최대집 회장은 "새 정부 출범 이후 보건의료 분야에서도 많은 정책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의료계도 급진적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을 비롯한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지만 의료계 모든 영역이 힘을 합쳐 효과적으로 대응한다면 보다 나은 의료계 환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의협 최대집 회장의 다음 순서로 공개석상에 오른 한의협 최혁용 회장은 의료일원화 논의의 중요성을 공개적으로 주장했다.

특히 최혁용 회장의 발언 도중 청중의 항의 목소리도 존재했지만 끝까지 의료일원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의협 최혁용 회장은 "의‧한‧정협의체에서 의료일원화에 대한 가안을 만들었는데 안타깝게도 양 단체를 설득하는 데는 힘이 미치지 못했다"며 "논의를 했다는 사실만 남고 최종적 합의는 이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요양병원의 경우 한의사와 의사가 함께 개설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라며 "요양병원이 이러한 측면에서 모범을 보여준다면 의료일원화가 얼마나 효율적인 것인지 테스트 베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12일 한의사협회 최혁용 회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합의문 초안은 최대집 회장이 문구 수정을 요청하는 등 참여한 이후에 돌연 수용불가 입장을 내 황당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의협 정성균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의한정협의체와 관련해 한의협의 주장은 거짓말"이라며 진실공방 국면을 맞은 상태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5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지피지기 2020.09.09 16:04:38

    여자분들 또는 연애인들에게 좋은 제품 같네요
    남 앞에서 엉덩이 속을 깐다는게 쉽게 허락이 안되는 일이죠..
    특히 젊은 여성분들이나 사생활 보호에 민감한 연애인들에게 말이죠
    한번쯤은 받아볼만한 검사인듯 합니다.

  • 라니 2020.09.07 18:23:20

    대장검사 무서워요
    저도 아직 해본적없죠ㅜㅜ
    엉덩이까고 검사받기가...
    쉽지는 않아요
    의료보험 혜택받아 저렴히 이용했으면 좋겠네요

  • Ggfd 2020.09.07 17:19:57

    최고다
    간편 최고의 바이오

  • 도시인 2020.09.07 16:31:25

    할만하다
    미국 이그젝트사이언스 $600(원화 70만원)정도 하고요, 그에 비하면 1/3 가격, 우리나라도 빨리 의료보험 적용되어야 합니다.
    미국에 비해 우수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대장 내시경 오류가 많다고 하네요. 얼리텍이 훨씬 정확함.

  • 대한민국 2020.09.07 16:24:22

    비교표는요
    미국과 자세하게 비교하여 주세요... 그리고 의료보험 가능성도 자세하게 알고 싶습니다.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