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 인보사 허가 취소시 행정소송 식약처와 맞불 예고

발행날짜: 2019-07-03 05:00:50
  • 간담회 열고 결백 주장 근거는 '디지털 포렌식'
    이우석 대표 "세포주 변경 인지 시점, 2월 말 맞다"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최근 코오롱생명과학이 인보사 세포부 변경 인지 시점과 관련 자체 포렌식(증거물 분석) 검사를 진행, 핵심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허가 과정의 세포주 변경이 거짓이나 허위 등이 없는 '단순 착오'라는 점을 증명하는 것으로, 향후 식약처의 허가 취소 결정 시 행정소송에서 포렌식 결과가 핵심 증거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2일 이우석 코오롱생명과학은 식약처 출입 기자단과 만난 자리를 통해 인보사 사태와 관련 사측의 입장과 계획에 대해 공개했다.

이 대표는 "지난달 인보사 사태와 관련한 청문회를 진행했지만 사측의 결백을 증명할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지 않았다"며 "행정처분을 위한 청문회였기 때문에 양측의 주장을 고루 듣는 자리라는 판단이 들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내부 판단을 거쳐 회사의 결백을 증명할 자료들을 법정에서 공개하기로 결정했다"며 "만일 식약처가 허가 취소를 결정한다면 가처분신청과 함께 행정소송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세포주 변경과 그로 인해 혼란을 야기한 점에 대해서는 사과하지만 논란이 필요 이상으로 확대돼 여론재판의 형태로 흘러가고 있다는 게 이우석 대표의 판단.

수사의 핵심은 2액 세포 변경의 인지 시점과 자료와 다른 세포주를 사용한 것의 고의성 여부인데 그 점에서 대해서는 결백을 입증할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우석 대표는 "어떻게 293 세포 변경 여부를 수 년간 모를 수 있냐고 묻지만 2017년만 해도 STR 유전자 검사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다"며 "생산 기지를 론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유전자 검사를 하면서 세포주 변경 가능성이 처음 제기됐다"고 밝혔다.

그는 "론자는 생산대행기업(CMO)이기 때문에 세포주 혼입에 굉장히 민감해 자체 검사를 진행, 그 결과를 제공했다"며 "우리가 요청하지 않은 자료였고 수 백 페이지에 달하기 때문에 단순히 데이터룸에 보관했을 뿐 일일히 검토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코오롱생명과학은 디지털 포렌식 기법을 이용해 데이터룸의 자료 접근 여부를 조사했지만 이상징후는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말이 사실이라면 업로드 후 자료에 접근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실제 세포주 변경 가능성을 언급한 자료 내용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이 대표는 "수사에서 핵심이 되는 2액 세포 변경 인지 시점은 우리가 주장한 대로 올해 2월 말이 맞다"며 "세포주가 변경된 것을 알고도 허위로 허가를 진행하지 않았다"고 결백을 강조했다.

한편 293 세포의 인체 사용 여부의 안전성, 유효성에 대한 과학적 고찰도 코오롱생명과학의 여론전의 핵심 소재가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대표는 "293 세포를 통해 생산한 단백질로 신약을 만들 수 있다는 아이디어가 해외에서 두 건이 시도되고 있다"며 "이미 인보사는 초기부터 지금까지 293 세포를 사용해 안전성을 입증했는데도 정작 293 세포를 약에 사용하면 안 되는지는 과학적으로 따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와 관련한 연구 논문도 최근 발표된 것으로 안다"며 "코오롱생명과학은 임상 과정에서 성분에 이름 표를 잘못 붙인 것이지 결코 허위나 사기가 없다는 사실을 법정 공방을 통해 밝히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식약처의 인보사K주의 허가 취소 여부 결정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11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시민 2016.12.22 09:39:14

    이 글은 아무리봐도 노사간 근로문제군요.
    사측에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하세요. 아니면 부단노동으로 고발하던지. 귀하게 대접받는 의사잖아요?

  • ㅋㅋ 2016.12.17 14:00:11

    병원에서 스텝을 더 뽑아야죠
    스텝을 많이 뽑으면 해결 됩니다. 그럴 돈이 없다구요? 그럼 뭔가 잘 못된거 잖아요? 가격이 안맞는다는 소린거죠. 병원에 스텝 더 뽑아야 병원도 어렵고 병원이 어려워야 정부도 수가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겠습니까? 교수님들 당연히 지금 힘드시겟지만, 힘내시구요

  • sssss 2016.12.09 21:15:49

    그려러고 교수됐나고??
    교수자질이 있는 사람이 교수되는 한국인가?
    정년이나 바라보는 ...그런 사람들 아닌가?
    권력에 아부하고 제약회사 등처먹는 ...

  • ..... 2016.12.06 02:51:42

    목숨걸고 내시경받는 환자
    교수는의사 아닌가 수면으로 내시경하면서 기관삽관도 할줄모르고 목숨걸고 내시경받는거였네
    교수믿고 내시경받는 환자가 불쌍타

  • 이두영 2016.12.03 12:52:35

    왠 엄살입니까?
    우리 주위의 개원의들은 손님이 많아 기다려야 합니다. 의사도 능력과 환자 대하는 태도에 따라 다릅니다. 어떤 면에서든 의사답지 못한 사람은 도퇴되는 것이 맞습니다. 무뢰한 질문인지 모르겠습니만 선생님께서는 리베이트를 한 번도 받은 적이 없습니까? 약국에서는요?

  • ㅋㅋㅋㅋ 2016.12.01 21:21:34

    우리 고귀하고 고매하신 교수님들께서 만들어내신 기형적인 제도죠
    고귀하고 고매하신 교수님들께서 지금까지 어떻게해왔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기사죠... 죽는소리 그만하세요... 그만큼 전공의쥐어짜고 탱자탱자 놀고먹었으면 이제 일 하셔야죠... 꼬우면 그냥 그만두시던가... 정신들좀 차리시길~

  • 교수하다로컬 2016.11.29 12:26:20

    그럼 관둬요
    중이 절이 싫으면 나오면장땡 어디서 투정이야

  • 이런 2016.11.29 11:14:31

    의사수 증원이 답이다
    의사관련 여러 문제의 핵심은 의사수가 절대부족하다는거지.
    의사수만 일단 2배씩 뽑아봐. 모든 문제 일거에 해결된다

  • 지다가다 2016.11.29 09:15:00

    나쁜사람들아
    헐 어이없다
    그렇게 비정상이 마치 정상처럼 노예처럼 일하던 당신들의 제자라는 사람들은 뭐요
    병원의 수익을 위해서 당신들의 안위를 위해서 당신들의 잘난 눈문을 위해
    희생되어가던 소위 제자들에 복지,인권에 대해선 당신들 집의 애완용 강아지 보다 신경안쓰더니
    이제 와서 뭐라고 애라이 이사람들아 양심이 있어라
    주 60시간 까지 해라

  • 정론 2016.11.29 09:03:14

    그럼 교수님 로컬로 나오시지요
    로컬의 피눈물을 외면하고 고혈을 빨던 대학병원들! 대학병원을 때려잡아야 의료가 산다!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