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정책통 병협 차기회장의 탄생…병원계 변화 이끌까

발행날짜: 2020-04-14 05:45:55
  • 의사 수·진료 보조인력 이슈 의협과 역학관계 주목
    정영호 차기 회장 "협회 임원진 세대교체" 의지 밝혀

중소병원계 보험·정책통으로 알려진 정영호 전 중소병원협회장의 대한병원협회장 당선은 병원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특히 정영호 병원협회 차기 회장은 후보자 당시 공약으로 의료인력 수급난 개선을 거듭 강조한 만큼 대한의사협회와의 역학관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의료인력난 개선, 의협과 갈등 혹은 협업

5월 1일부터 공식 임기를 시작하는 정영호 차기 회장의 등장으로 병원협회와 의사협회의 관계에도 변화가 점쳐지고 있다.

정영호 대한병원협회 차기 회장. 임기는 2020년 5월1일부터 2년간이다.
그는 병원협회 산하 의료인력수급비상대책위 공동위원장으로 의사 수 확대 필요성을 거듭 밝혀왔다.

게다가 병원협회 부회장이자 중소병원협회장으로 진료 보조인력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만큼 의사 수 확대와 진료 보조인력 활성화에 드라이브를 걸 가능성이 높다.

즉, 의사 수 확대와 진료 보조인력 활성화에 반대 입장인 의사협회와 대립각을 세울 수 밖에 없는 입장.

정영호 차기 회장은 오는 4월 30일 임기를 마치는 의료인력수급비상대책위원회를 한시적인 조직에서 상시적인 조직으로 변화를 고민 중이다.

그는 "비상대책위원회는 연속성 측면에서 아쉬움이 있다"며 "의료인력 관련 논의는 장기전으로 사업을 이끌어 간다는 점에서 별도 조직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전했다.

다만 정영호 차기 회장은 "의사협회와의 협의를 통한 공조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며 "대립각을 세우기 보다는 윈윈전략을 세워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후보자 당시 언급한 일차의료 역할이 모호한 개원의사 1만명 대상 재교육을 실시해 대학병원이 흡수하도록 하자는 공약도 의사협회 최대집 회장의 아이디어.

정 차기회장은 "최대집 의협회장은 금융지원 즉, 개원 당시 대출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전제로 약1만명의 개원의는 대학병원으로 이동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며 "그래서 자신있게 공약으로 내걸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의협회장과 의견 일치하는 부분이 상당히 있다"며 "특히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국가적으로 의료인력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 바 있어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병원협회 세대교체 기대감 솔솔

또 다른 관전 포인트는 의사협회 대비 연령이 높은 병원협회 주요 임원진의 세대교체.

현재 병원협회장인 임영진 회장은 1953년생이며 김갑식 회장은 이보다 1살 더 많은 1952년생. 반면 정영호 회장은 1958년생으로 전직 회장보다 6년, 경선에 나선 김갑식 후보보다 7년 젊다.

의사협회 최대집 회장이 1972년생으로 40대 후반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상당한 격차가 있는 셈이다.

실제로 이번 선거에서 정영호 차기 회장은 젊은 중소병원장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는 향후 정영호 회장이 임원진 구성에 상당 부분 반영될 것이라는 게 병원계 전망이다.

정영호 차기 회장도 "나를 회장으로 선출한 배경에는 세대교체에 대한 갈증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이후 조직 구성에도 회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기여한 병원계, 그들이 바라는 병협의 미래는?

병원계의 또 다른 관심은 코로나19 사태 이후의 병원협회의 대응 전략.

코로나 사태에서 의료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유휴 병상확보가 얼마나 필요한지 정부는 물론 국민적 공감대를 얻은만큼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게 병원계 시각이다.

병원계 인사들은 차기 병원협회장에게 과거의 틀에서 벗어나 새롭고 미래지향적인 협회 운영을 주문했다. 혼란스러운 시점에서 병협이 중심을 잡자는 것.

병원협회 유인상 보험위원장은 "앞서는 병원협회 차원에서 의사 수 확대 등을 주장하면서 오히려 역효과가 났을 수 있다"며 "의료인력 수를 늘리는 것은 병협이 아닌 국민 혹은 국회의원이 요구해야할 일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의료계 내부 갈등으로 이슈화하기 보다는 사회적, 국민적 이슈로 만들자는 얘기다.

유 위원장은 이어 "병협의 정책도 닥친 이슈를 처리하는 것에 머물 게 아니라 미래지향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며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도 어디까지 산업화와 공공성 분야를 구분하는 논의를 시작할 때가 됐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