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매병원 한미선 교수팀, 소아환자 대상 연구 결과
감염 2~3주 이후 많은 양 검출…감염 진단에 효과적
소아환자의 코로나19 검사는 타액보다 분변 검사의 신뢰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한미선 교수(소아청소년과) 연구팀이 소아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코속(비인두), 타액보다 분변에서 오랜 기간 많은 양으로 검출이 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고 보라매병원에 입원한 18세 미만(생후 27일~16세로 평균나이 6.5세) 환자 12명(9명 경증, 3명 무증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대상인 소아환자 12명의 검사 결과 92%는 분변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타났으며 타액에서는 73%로 양성 반응을 보였다.
연구팀은 코속과 타액, 분변에서의 바이러스 검출량을 시기별로 측정해 비교분석했다. 분변에서는 경증과 무증상의 환자 모두에서 초기 바이러스 양이 가장 많았으며 2~3주 후에도 꾸준히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코속과 타액 검사에서의 바이러스 양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했다.
분변에서 채취한 검체 검사결과 초기 바이러스 양은 7.68 log10 copies/mL이었고, 장기간 많은 양을 유지했다. 샘플에서의 양성반응 비율은 전 기간에 80%를 넘었다.
반면, 코 속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확인한 초기 바이러스 양은 초기에 7.56 log10 copies/mL으로 정점을 기록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수치가 감소했다. 샘플에서의 양성반응 비율은 2주차 75%, 3주차 55%로 감소했다.
2주차와 3주차 두 시기 모두 분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양은 콧속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양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타액에서의 바이러스는 코 속 검사 결과보다 바이러스 소멸 속도가 빨랐는데, 타액에서 채취한 샘플 확인 결과 1주차에는 80%가 양성 반응을 보였지만, 2주차 33%, 3주차 11%를 기록하며 급격히 감소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한미선 교수는 "코로나19 진단 시에는 코 속을 면봉으로 긁어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지만 소아환자의 경우 분변이 또 하나의 신뢰도 높은 진단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팀은 해당 연구에서 분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가 전염력을 갖는지에 대한 내용은 확인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바이러스를 배양하지 않아 감염성에 대해서는 알 수 없지만, 감염성이 바이러스 양과 연관성이 있고 분변과 타액에서도 바이러스가 배양된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고려할 때 기저귀 교체시 손을 잘 씻고, 화장실에서도 적절한 위생조치를 취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타액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되므로 등교하는 학생들의 경우 마스크를 잘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해당 논문 ‘Viral RNA Load in Mildly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Children with COVID-19, Seoul’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신종감염병 저널인 EID(Emerging Infectious Diseases)에 실렸다.
서울대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한미선 교수(소아청소년과) 연구팀이 소아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코속(비인두), 타액보다 분변에서 오랜 기간 많은 양으로 검출이 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고 보라매병원에 입원한 18세 미만(생후 27일~16세로 평균나이 6.5세) 환자 12명(9명 경증, 3명 무증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대상인 소아환자 12명의 검사 결과 92%는 분변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타났으며 타액에서는 73%로 양성 반응을 보였다.
연구팀은 코속과 타액, 분변에서의 바이러스 검출량을 시기별로 측정해 비교분석했다. 분변에서는 경증과 무증상의 환자 모두에서 초기 바이러스 양이 가장 많았으며 2~3주 후에도 꾸준히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코속과 타액 검사에서의 바이러스 양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했다.
분변에서 채취한 검체 검사결과 초기 바이러스 양은 7.68 log10 copies/mL이었고, 장기간 많은 양을 유지했다. 샘플에서의 양성반응 비율은 전 기간에 80%를 넘었다.
반면, 코 속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확인한 초기 바이러스 양은 초기에 7.56 log10 copies/mL으로 정점을 기록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수치가 감소했다. 샘플에서의 양성반응 비율은 2주차 75%, 3주차 55%로 감소했다.
2주차와 3주차 두 시기 모두 분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양은 콧속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양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타액에서의 바이러스는 코 속 검사 결과보다 바이러스 소멸 속도가 빨랐는데, 타액에서 채취한 샘플 확인 결과 1주차에는 80%가 양성 반응을 보였지만, 2주차 33%, 3주차 11%를 기록하며 급격히 감소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한미선 교수는 "코로나19 진단 시에는 코 속을 면봉으로 긁어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지만 소아환자의 경우 분변이 또 하나의 신뢰도 높은 진단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팀은 해당 연구에서 분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가 전염력을 갖는지에 대한 내용은 확인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바이러스를 배양하지 않아 감염성에 대해서는 알 수 없지만, 감염성이 바이러스 양과 연관성이 있고 분변과 타액에서도 바이러스가 배양된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고려할 때 기저귀 교체시 손을 잘 씻고, 화장실에서도 적절한 위생조치를 취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타액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되므로 등교하는 학생들의 경우 마스크를 잘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해당 논문 ‘Viral RNA Load in Mildly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Children with COVID-19, Seoul’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신종감염병 저널인 EID(Emerging Infectious Diseases)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