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연구팀 의사 928명, 일반인 1005명 대상 설문
의사 대비 일반인 말기 예후 전달하겠다 답변 낮게 나타나
암 이외 중증질환자도 말기 상태가 됐을 때, 상황을 알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오시내, 윤영호 교수팀은 전국 의사 928명과 일반인 1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그 결과 본인이 환자라고 가정해 말기 예후를 알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설문에 답한 의사는 장기부전(심부전, 만성폐쇄성질환, 만성콩팥병, 간경변 등) 환자의 경우 99% 알려줘야 한다고 답했다. 치료불가능한 유전성 또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같은 신경계질환자의 경우 98.5% 알리는 편이 낫다고 봤다.
후천성면역결핍증후근(AIDS)의 경우 98.4%, 뇌경색 또는 파킨슨병 환자는 96%, 치매 환자의 경우 86.9% 환자에게 직접 상태를 알려야한다고 봤다.
일반인은 의사의 답변과 비교해 예후 공개를 원하는 비율이 낮았다. 각각 질환별로 장기부전은 92%, 유전성/신경계질환 92.5%, AIDS 91.5%, 뇌경색/파킨슨병 92.1% 치매 86.9%가 환자에게 말기상태를 알리는 편이 낫다고 답했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본인이 환자일 때보다 가족이 환자라면 알려야한다는 비율은 더 감소해 10%차이를 보였다.
환자에게 말기 예후를 알릴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의사와 일반인 설문 전체에서 '환자가 본인의 상태를 알 권리'가 31.6%로 가장 높았다.
여기서도 일반인들은 '환자의 불안, 우울 등 심리적 부담(35.8%), 환자의 희망 상실(21.2%) 등으로 말기 예후를 알리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
서울대병원 오시내 교수는 "말기 예후를 미리 알려 환자가 직접 연명의료 계획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 등 향후 치료 관련 결정에 참여하도록 도울 수 있다"며 "환자와 적절하게 의논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과 시기를 찾기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SCI-E국제학술지인 '대한의학회 학술지'에 7일 발표했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오시내, 윤영호 교수팀은 전국 의사 928명과 일반인 1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그 결과 본인이 환자라고 가정해 말기 예후를 알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설문에 답한 의사는 장기부전(심부전, 만성폐쇄성질환, 만성콩팥병, 간경변 등) 환자의 경우 99% 알려줘야 한다고 답했다. 치료불가능한 유전성 또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같은 신경계질환자의 경우 98.5% 알리는 편이 낫다고 봤다.
후천성면역결핍증후근(AIDS)의 경우 98.4%, 뇌경색 또는 파킨슨병 환자는 96%, 치매 환자의 경우 86.9% 환자에게 직접 상태를 알려야한다고 봤다.
일반인은 의사의 답변과 비교해 예후 공개를 원하는 비율이 낮았다. 각각 질환별로 장기부전은 92%, 유전성/신경계질환 92.5%, AIDS 91.5%, 뇌경색/파킨슨병 92.1% 치매 86.9%가 환자에게 말기상태를 알리는 편이 낫다고 답했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본인이 환자일 때보다 가족이 환자라면 알려야한다는 비율은 더 감소해 10%차이를 보였다.
환자에게 말기 예후를 알릴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의사와 일반인 설문 전체에서 '환자가 본인의 상태를 알 권리'가 31.6%로 가장 높았다.
여기서도 일반인들은 '환자의 불안, 우울 등 심리적 부담(35.8%), 환자의 희망 상실(21.2%) 등으로 말기 예후를 알리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
서울대병원 오시내 교수는 "말기 예후를 미리 알려 환자가 직접 연명의료 계획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 등 향후 치료 관련 결정에 참여하도록 도울 수 있다"며 "환자와 적절하게 의논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과 시기를 찾기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SCI-E국제학술지인 '대한의학회 학술지'에 7일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