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성 충북의대 교수(전 한국보건의료연구원장)
건강 문제를 얘기할 때 ‘건강의 장 이론’(Health Field Concept)을 자주 설명한다. 건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흔히 병원의 도움을 받아야만 해결되는 생의학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그 이외 환경적 요인이나 개인의 습관적 요인, 환자가 속한 나라의 제도와 문화도 중요하고 이들이 조화롭게 구성이 되어야만 건강이 유지된다는 개념이다.
보건정책을 전공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병원 이외의 요인을 강조하고자 이 개념을 자주 이용한다. 이번 코로나를 통해서 우리는 바이러스의 작용 기전을 이해하고 개발된 백신이나 치료제의 병원단계에서의 이용만큼 이나 어쩌면 더 중요한 비중으로 방역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병원 전 단계 즉 사회 속에서 대응의 중요성을 새삼 실감하고 있다.
과학으로서의 의학(medicine)과 건강의 장 이론에서 언급하는 모든 요인을 포괄하는 통합적 의미인 의료(health) 둘 모두가 중요함을 말한다.
30년 전 저혈당 쇼크나 고혈당 쇼크로 응급실을 찾는 당뇨병 환자가 많았다. 병원에서는 이 환자의 칼로리 소모 정도와 몸속의 인슐린 용량을 정밀하게 모니터링 하고 그 균형을 맞추어 주면 금새 환자는 정상을 회복하고 퇴원하였다.
이제는 실시간 수준으로 운동량과 칼로리, 인슐린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니 이런 환자들도 응급실 신세지는 일 없이 거리를 활보하며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모두 의학적 기술발전의 결과다. 하지만 여전히 당뇨병을 포함 만성질환자들의 관리가 큰 부담이다. 환자수도 줄지 않고 있고, 의료비를 포함 의료자원의 소모량에서도, 삶의 질 지표에서도 개선이 되지 않고 있다. 과거와 비교할 때는 분명 좋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환자 체감의 질병관리는 저만치 뒤떨어져있다. 이런 건강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통합적 의료로서 이 문제를 쳐다보는 지역단위 의료체계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고자한다.
지역에서는 통합적 의료가 과학으로서의 의학보다 더 중요하다. 중앙단위에서 건강문제는 보건복지부를 포함 개별 부처들에서 관련 지침을 만들고, 관련 연구비나 산업을 활성화하는 예산을 책정하고 정책을 시행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중앙 정책을 집행하고 피드백의 과정을 거치는 지역단위에서는 개별 부처의 이 모든 정책들이 융합되어 돌아가야 한다. 중앙지침이 현장으로 가면 현장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여기에는 지역의 정보체계가 필수로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이번 코로나 환자가 대량으로 발생한 한 지역의 상황실장의 인터뷰에서 이를 증명한다. 당시 상황실장은 “‘매일 매일 현장대응정보시스템’을 만들어 놓고 각각에서 작성한 것이 모여야 효율적으로 관리도 되는데 실제는 그러지 못하고 쪼가리 DB가 하루에 100개씩 만들어지는 거다. 매일 이렇게 하니까 2주 전에 어떤 자료가 있었는지도 모른다”, “저는 많이 열 때는 30개씩 카카오톡 방을 열고 퍼 나르고 있었다. 모든 정보는 카톡 방에 있다. 중요한 것은 지금 다운받아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면 똑같은 상황을 그대로 당 할 수밖에 없다면서 지역정보체계의 구축이 가장 급하다고 했다.
지역의 이슈는 항상 해당 지역에 해답이 있다. Real world data에 기반한 지역 문제를 다룰 정보 인프라information infrastructure 즉, 정보체계를 구축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코로나 대응에서 이러한 성과에는 이런 시스템적 뒷받침이 작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 코로나를 계기로 한국의 정보화 인프라 역량을 확인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포스트코나 혹은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위해서는 다음에 기술하는 몇 단계 과정을 더 강화해야 한다.
우선 그 첫 단계로 지역의 모든 활동자료를 모으는 단계다. 사회문제를 어떻게 정의하고 정의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집할 정보를 결정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은 이미 질병관리 지침이라는 형태로 정리되어 있다.
이를 디지털 솔루션화 하는 단계가 첫 단계의 일이다. 지역마다 역점을 두는 활동이나 캠페인과 결합할 필요가 있다. 의료에서 한정해서 본다면 지역정보의 표준화영역, 진단부문정보화, 영상부문정보화, 임상의사 결정시스템, 진료정보교류 등 많은 요소 학문과 그 응용기술에 대한 고민들이 있어왔다. 이제는 이런 개별 정보학을 지역사회 통합서비스의 각 활동유형 혹은 질병관리 프레임에 맞게 적용하고 개별 지역에서 실제로 해보는 실증단계로 이어져야 할 시점이다.
두 번째 단계는 1단계의 개별 지역별 서비스(예, 아토피천식 프로그램)가 하나의 플랫폼 화 되어 가는 단계다. 코로나를 포함 호흡기 플랫폼 등이 그 사례이다. 이미 질병관리청이나 보건복지부 혹은 개별 호흡기 관련 학회에서 감염병 모두에 해당되는 공통사안을 지침으로 개발해 두었다. 이런 지침들은 공통형이라서 개별 질환인 코로나19, 메르스, 사스 , 신종플루, 아프리카돼지열병, 결핵, 에이즈, 말라리아, 간염 등 을 수용할 수 있다. 이제 개별 지역별로 이런 플랫폼을 가지고 지역자료를 축적해나가야 할 시점이다.
지역정보체계의 마지막 단계로 사회 재난의 다양한 이슈별로 구동하는 플랫폼이 최종적으로는 해당 지역사회(시군구, 마을 단위) 전체 체계로서 즉, 지역의 인프라로서 서비스가 작동할 수 있을 때다. 이 단계에서는 마을 이장, 군수, 시장, 도지사 등 지자체 장이 나서야 한다. 일반 시민이 주도적으로 움직이는 사회적 기업이나 사회협동체까지 참여해서 지역 주민 체감형으로 사업이 구동되도록 해야 한다.
코로나19에 필요한 이런 일련의 전 과정이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일반 시민의 스마트폰에서도 작동되고, 이동구급차의 차량 내 정보기기에서도 연계되고, 병원 진료실에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주민들이 평소에 자주 산책하는 개천 길, 운동장, 체육관, 등산길, 맛 집, 유명 관광지 등에서도 생성되는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시설이 생활형으로 설치되는 단계이다. 우선은 실증을 위한 시험적 지역을 지정하고 해마다 관련 예산을 늘려나가면서 주민이 체감하는 지역건강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야할 것이다.
코로나19와 같은 지구적 재난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한 국가 내부에서 뿐만 아니라 글로벌하게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한 작은 중소 도시의 실증사례와 실증자료에 기반한 지침은 우리나라 KOICA ODA 사업과 연계되어 세계로 나갈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비정부기구 등에서 코로나 관련 자료의 구축과 공유를 위한 노력들을 지역의 핵심역량과 연결할 때 진정한 한국형 뉴딜사업이 구현 될 수 있을 것이다.
보건정책을 전공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병원 이외의 요인을 강조하고자 이 개념을 자주 이용한다. 이번 코로나를 통해서 우리는 바이러스의 작용 기전을 이해하고 개발된 백신이나 치료제의 병원단계에서의 이용만큼 이나 어쩌면 더 중요한 비중으로 방역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병원 전 단계 즉 사회 속에서 대응의 중요성을 새삼 실감하고 있다.
과학으로서의 의학(medicine)과 건강의 장 이론에서 언급하는 모든 요인을 포괄하는 통합적 의미인 의료(health) 둘 모두가 중요함을 말한다.
30년 전 저혈당 쇼크나 고혈당 쇼크로 응급실을 찾는 당뇨병 환자가 많았다. 병원에서는 이 환자의 칼로리 소모 정도와 몸속의 인슐린 용량을 정밀하게 모니터링 하고 그 균형을 맞추어 주면 금새 환자는 정상을 회복하고 퇴원하였다.
이제는 실시간 수준으로 운동량과 칼로리, 인슐린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니 이런 환자들도 응급실 신세지는 일 없이 거리를 활보하며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모두 의학적 기술발전의 결과다. 하지만 여전히 당뇨병을 포함 만성질환자들의 관리가 큰 부담이다. 환자수도 줄지 않고 있고, 의료비를 포함 의료자원의 소모량에서도, 삶의 질 지표에서도 개선이 되지 않고 있다. 과거와 비교할 때는 분명 좋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환자 체감의 질병관리는 저만치 뒤떨어져있다. 이런 건강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통합적 의료로서 이 문제를 쳐다보는 지역단위 의료체계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고자한다.
지역에서는 통합적 의료가 과학으로서의 의학보다 더 중요하다. 중앙단위에서 건강문제는 보건복지부를 포함 개별 부처들에서 관련 지침을 만들고, 관련 연구비나 산업을 활성화하는 예산을 책정하고 정책을 시행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중앙 정책을 집행하고 피드백의 과정을 거치는 지역단위에서는 개별 부처의 이 모든 정책들이 융합되어 돌아가야 한다. 중앙지침이 현장으로 가면 현장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여기에는 지역의 정보체계가 필수로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이번 코로나 환자가 대량으로 발생한 한 지역의 상황실장의 인터뷰에서 이를 증명한다. 당시 상황실장은 “‘매일 매일 현장대응정보시스템’을 만들어 놓고 각각에서 작성한 것이 모여야 효율적으로 관리도 되는데 실제는 그러지 못하고 쪼가리 DB가 하루에 100개씩 만들어지는 거다. 매일 이렇게 하니까 2주 전에 어떤 자료가 있었는지도 모른다”, “저는 많이 열 때는 30개씩 카카오톡 방을 열고 퍼 나르고 있었다. 모든 정보는 카톡 방에 있다. 중요한 것은 지금 다운받아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면 똑같은 상황을 그대로 당 할 수밖에 없다면서 지역정보체계의 구축이 가장 급하다고 했다.
지역의 이슈는 항상 해당 지역에 해답이 있다. Real world data에 기반한 지역 문제를 다룰 정보 인프라information infrastructure 즉, 정보체계를 구축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코로나 대응에서 이러한 성과에는 이런 시스템적 뒷받침이 작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 코로나를 계기로 한국의 정보화 인프라 역량을 확인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포스트코나 혹은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위해서는 다음에 기술하는 몇 단계 과정을 더 강화해야 한다.
우선 그 첫 단계로 지역의 모든 활동자료를 모으는 단계다. 사회문제를 어떻게 정의하고 정의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집할 정보를 결정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은 이미 질병관리 지침이라는 형태로 정리되어 있다.
이를 디지털 솔루션화 하는 단계가 첫 단계의 일이다. 지역마다 역점을 두는 활동이나 캠페인과 결합할 필요가 있다. 의료에서 한정해서 본다면 지역정보의 표준화영역, 진단부문정보화, 영상부문정보화, 임상의사 결정시스템, 진료정보교류 등 많은 요소 학문과 그 응용기술에 대한 고민들이 있어왔다. 이제는 이런 개별 정보학을 지역사회 통합서비스의 각 활동유형 혹은 질병관리 프레임에 맞게 적용하고 개별 지역에서 실제로 해보는 실증단계로 이어져야 할 시점이다.
두 번째 단계는 1단계의 개별 지역별 서비스(예, 아토피천식 프로그램)가 하나의 플랫폼 화 되어 가는 단계다. 코로나를 포함 호흡기 플랫폼 등이 그 사례이다. 이미 질병관리청이나 보건복지부 혹은 개별 호흡기 관련 학회에서 감염병 모두에 해당되는 공통사안을 지침으로 개발해 두었다. 이런 지침들은 공통형이라서 개별 질환인 코로나19, 메르스, 사스 , 신종플루, 아프리카돼지열병, 결핵, 에이즈, 말라리아, 간염 등 을 수용할 수 있다. 이제 개별 지역별로 이런 플랫폼을 가지고 지역자료를 축적해나가야 할 시점이다.
지역정보체계의 마지막 단계로 사회 재난의 다양한 이슈별로 구동하는 플랫폼이 최종적으로는 해당 지역사회(시군구, 마을 단위) 전체 체계로서 즉, 지역의 인프라로서 서비스가 작동할 수 있을 때다. 이 단계에서는 마을 이장, 군수, 시장, 도지사 등 지자체 장이 나서야 한다. 일반 시민이 주도적으로 움직이는 사회적 기업이나 사회협동체까지 참여해서 지역 주민 체감형으로 사업이 구동되도록 해야 한다.
코로나19에 필요한 이런 일련의 전 과정이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일반 시민의 스마트폰에서도 작동되고, 이동구급차의 차량 내 정보기기에서도 연계되고, 병원 진료실에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주민들이 평소에 자주 산책하는 개천 길, 운동장, 체육관, 등산길, 맛 집, 유명 관광지 등에서도 생성되는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시설이 생활형으로 설치되는 단계이다. 우선은 실증을 위한 시험적 지역을 지정하고 해마다 관련 예산을 늘려나가면서 주민이 체감하는 지역건강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야할 것이다.
코로나19와 같은 지구적 재난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한 국가 내부에서 뿐만 아니라 글로벌하게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한 작은 중소 도시의 실증사례와 실증자료에 기반한 지침은 우리나라 KOICA ODA 사업과 연계되어 세계로 나갈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비정부기구 등에서 코로나 관련 자료의 구축과 공유를 위한 노력들을 지역의 핵심역량과 연결할 때 진정한 한국형 뉴딜사업이 구현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