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당조절기능 우수, 접근성 낮아졌지만 환자 교육에 발목
의료현장은 부담감 여전...진료시간에 따른 별도 보상 강조
최근 당뇨병학회가 연속혈당측정기(CGM) 활용을 강조하는 동시에 관련 업체들도 기기 가격을 인하하면서 당뇨 관리의 패러다임 전환이 예고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의료현장에서는 제도적 걸림돌로 인해 연속혈당측정기를 적극 활용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존재한다고 지적하는 모습이다.
21일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당뇨병학회는 연속혈당측정기 및 인슐린펌프 등 최신 기술 적극 활용을 골자로 한 개정 진료 지침을 발표했다.
특히 올해 바뀐 당뇨병 진료지침 중 눈에 띄는 대목은 모든 1형 당뇨병 성인에게 혈당을 조절하고 저혈당 위험을 낮추기 위해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의 사용을 권장하는 부분이다.
또 다회 인슐린 주사요법을 하는 2형 당뇨병 성인은 혈당조절을 위해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을 권고했다.
다회 인슐린 주사가 아닌 다른 형태의 인슐린 치료, 혹은 인슐린 치료 없이 경구약만 사용하는 2형 당뇨병 성인도 혈당 조절을 위해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하도록 주문했다.
여기에 진료지침 개정과 맞물려 연속혈당측정기 판매 업체들도 가격을 인하하기로 결정하면서 환자 접근성을 개선해 시장 확대를 엿보고 있다.
현재 연속혈당측정기 시장의 경우 '덱스콤G6'(국내 공급사 휴온스)와 '프리스타일 리브레'(애보트), '가디언커넥트 시스템'(메드트로닉) 등이 경쟁하고 있다.
이 가운데 휴온스가 최근 '덱스콤G6'의 가격을 1형 당뇨 환자들의 건강보험 급여 지원 기준가 수준으로 인하하면서 경쟁에 불을 붙이고 있는 모양새다.
경쟁 제품인 프리스타일 리브레와 가디언커넥트 시스템의 경우, 덱스콤G6보다 20~30%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으나 가격인하 결정으로 시장에 출시된 연속혈당측정기의 가격 차이가 사라진 셈이다.
결국 학계에서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 적극 사용 권고와 제품 가격인하 결정으로 해당 시장 확대 가능성을 점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정작 이를 사용해야 하는 의료진들은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에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가 연속혈당측정기를 활용해 관리하기 위해선 의료진이 일정 시간을 투자해 교육을 해야 하는데 현재 의료 환경 상 어렵다는 뜻이다.
연속혈당측정기가 건강보험 대상으로 적용되며 환자부담은 일정수준 줄어들었지만 아직 개선해야 할 부분들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별도의 환자 상담 및 교육에 따른 수가가 책정되지 않았기 때문. 여건 상 30분 안팎에 연속혈당측정기 관련 환자 교육이 필요하지만 별도의 수가적 보상이 따르지 않기에 의료진 입장에서는 학회 권고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활용이 어렵다는 하소연이다.
삼성서울병원 등 일부 의료진들의 경우 특정 외래시간을 배정해 연속혈당측정기 활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진료를 하고 있지만 이를 전체 의료계까지 일반화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당뇨병학회 부회장을 지낸 부산백병원 박정현 교수(내분비‧대사내과)는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을 권고한 진료지침은 상당히 잘한 것이다. 진일보해서 학회가 기술을 빨리 수용했다"며 "다만 일선 의료현장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제도적으로 풀어야 할 숙제들이 산재해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선 20~30분이 시간이 걸린다. 의사들은 기본적으로 다른 환자 진료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부담감이 존재한다"며 "삼성서울병원 등은 오후 외래시간을 할애해 해당 환자만 진료하고 있는데 이를 전국의 전체 병원에 일반화해선 안 된다. 정부가 그 만큼의 진료시간에 대한 보상에 대한 고민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작 의료현장에서는 제도적 걸림돌로 인해 연속혈당측정기를 적극 활용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존재한다고 지적하는 모습이다.
21일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당뇨병학회는 연속혈당측정기 및 인슐린펌프 등 최신 기술 적극 활용을 골자로 한 개정 진료 지침을 발표했다.
특히 올해 바뀐 당뇨병 진료지침 중 눈에 띄는 대목은 모든 1형 당뇨병 성인에게 혈당을 조절하고 저혈당 위험을 낮추기 위해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의 사용을 권장하는 부분이다.
또 다회 인슐린 주사요법을 하는 2형 당뇨병 성인은 혈당조절을 위해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을 권고했다.
다회 인슐린 주사가 아닌 다른 형태의 인슐린 치료, 혹은 인슐린 치료 없이 경구약만 사용하는 2형 당뇨병 성인도 혈당 조절을 위해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하도록 주문했다.
여기에 진료지침 개정과 맞물려 연속혈당측정기 판매 업체들도 가격을 인하하기로 결정하면서 환자 접근성을 개선해 시장 확대를 엿보고 있다.
현재 연속혈당측정기 시장의 경우 '덱스콤G6'(국내 공급사 휴온스)와 '프리스타일 리브레'(애보트), '가디언커넥트 시스템'(메드트로닉) 등이 경쟁하고 있다.
이 가운데 휴온스가 최근 '덱스콤G6'의 가격을 1형 당뇨 환자들의 건강보험 급여 지원 기준가 수준으로 인하하면서 경쟁에 불을 붙이고 있는 모양새다.
경쟁 제품인 프리스타일 리브레와 가디언커넥트 시스템의 경우, 덱스콤G6보다 20~30%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으나 가격인하 결정으로 시장에 출시된 연속혈당측정기의 가격 차이가 사라진 셈이다.
결국 학계에서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 적극 사용 권고와 제품 가격인하 결정으로 해당 시장 확대 가능성을 점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정작 이를 사용해야 하는 의료진들은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에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가 연속혈당측정기를 활용해 관리하기 위해선 의료진이 일정 시간을 투자해 교육을 해야 하는데 현재 의료 환경 상 어렵다는 뜻이다.
연속혈당측정기가 건강보험 대상으로 적용되며 환자부담은 일정수준 줄어들었지만 아직 개선해야 할 부분들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별도의 환자 상담 및 교육에 따른 수가가 책정되지 않았기 때문. 여건 상 30분 안팎에 연속혈당측정기 관련 환자 교육이 필요하지만 별도의 수가적 보상이 따르지 않기에 의료진 입장에서는 학회 권고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활용이 어렵다는 하소연이다.
삼성서울병원 등 일부 의료진들의 경우 특정 외래시간을 배정해 연속혈당측정기 활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진료를 하고 있지만 이를 전체 의료계까지 일반화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당뇨병학회 부회장을 지낸 부산백병원 박정현 교수(내분비‧대사내과)는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을 권고한 진료지침은 상당히 잘한 것이다. 진일보해서 학회가 기술을 빨리 수용했다"며 "다만 일선 의료현장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제도적으로 풀어야 할 숙제들이 산재해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선 20~30분이 시간이 걸린다. 의사들은 기본적으로 다른 환자 진료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부담감이 존재한다"며 "삼성서울병원 등은 오후 외래시간을 할애해 해당 환자만 진료하고 있는데 이를 전국의 전체 병원에 일반화해선 안 된다. 정부가 그 만큼의 진료시간에 대한 보상에 대한 고민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