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이 대세" 마지막 비급여 분야 현실 반영

발행날짜: 2021-12-10 05:45:59
  • 분석22년도 전공의 지원율 현황…통증 치료 전문과 열기 뜨거워
    개원가는 이미 통증의원 개원이 트렌드 "4년 뒤는 장담 못 해"

대세는 '통증'이다. 내년도 레지던트 모집에서 젊은의사들의 관심은 통증을 주로 다루는 진료과목으로 대거 쏠렸다.

정형외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가 그 주인공.

통증 치료에 대한 주 수요층인 노인 환자가 해마다 늘고 있으며, 비급여 수입이 많이 남아 있는 영역 중 하나라 의료계에서도 '블루오션'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분야다. 이런 분위기가 젊은의사들에게도 그대로 전달된 것.

메디칼타임즈가 2022년도 전기 레지던트 모집을 마감한 전국 수련병원 65곳의 통증 관련 진료과목의 전공의 지원 현황을 분석했다.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신경외과 2022년도 레지던트 1년차 모집 결과
그 결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는 전통 인기과목인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의 뒤를 이어 자리를 잡았다.

정형외과는 166명 모집에 265명이 지원하면서 159%의 지원율을 기록했으며 재활의학과는 86명 모집에 135명이 지원해 157%의 지원율을 보였다. 마취통증의학과 지원율 역시 150%를 기록했는데, 180명 모집에 270명이 원서를 냈다. 통증 치료와 관련 있는 또 다른 진료과목인 신경외과 역시 90명 모집에 101명이 원서를 내며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들 진료과는 병원 크기, 위치와 상관없이 모두 정원을 채우거나 경쟁을 기록했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마취통증의학과에는 3명을 뽑는데 10명이 몰렸고 부산의료원 정형외과는 1명 모집에 5명이 원서를 냈다. 전남대병원 정형외과도 5명 모집에 3배에 가까운 14명이 지원했고 재활의학과에도 1명 모집에 4명이 원서를 접수했다.

이 같은 현상은 최근 개원 트렌드와도 연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신경외과를 비롯해 일반의의 개원 주제는 '통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올해 1분기 진료비 통계지표를 보면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신경외과 개원가 급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대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급여 매출만 잡히는 것으로 비급여 매출까지 더하면 성장률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이는 등 통증 등 척추 및 관절 질환에 대한 요양급여비 명세서 건수가 증가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통증 치료가 늘었다는 소린데, 올해 1분기 등 통증(M54) 치료를 받은 환자는 181만6944명으로 외래 다발생 순위 6위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172만6301명 보다 약 9만명 증가한 수치로 순위도 한 단계 더 올라갔다.

16위에 있던 무릎관절증(M17) 환자도 올해 1분기 11윌까지 상승했다. 환자 수도 7만2000여명이 늘어 120만4943명을 기록했다.

통증 치료를 주로 호소하는 연령층인 노인 인구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2070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 1000만명을 넘고, 2049년에는 1901만명까지 증가해 정점을 찍을 것이다.

통증을 앞세워 개원하는 게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노인환자 증가 마지막 비급여 분야라는 현실 반영" 추측

'통증' 치료 트렌드는 이미 일선 개원가에서는 대세로 자리 잡은 상황이라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서울 A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통증치료가 대세다"라며 "외과계 중에서도 신경외과, 정형외과 지원율이 높지만 진짜 외과적 수술을 하고 싶다는 것 보다는 수술도 하면서 통증으로 개원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신경외과를 전공하고도 통증클리닉으로 개원을 하는 것"이라며 "비급여가 살아있는 부분이 체외충격파, 도수치료, 물리치료 등 통증 분야밖에 없다"라고 덧붙였다.

실제 정형외과와 신경외과는 외과계 진료과임에도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법 영향을 받지 않은 유일한 진료과이기도 하다.

이 원장은 "통증 분야가 적은 비용을 들여서도 수입이 좋으니 젊은의사들의 기대 심리도 클 것"이라며 "병실이 없고 수술장도 없으니 큰 비용을 투자하지 않아도 된다. 수술과 입원에 활용할 간호인력 구하기도 하늘에 별 따기인데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라고 말했다.

서울 J병원 원장(재활의학과 전문의)도 "최근 4~5년 사이 병원보다 통증의원 간판을 걸고 개원을 하는 분위기다. 아예 인테리어도 고급스럽게 해서 예약제로 특수치료 위주 통증치료 의원을 개원하는 게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라며 "고퀄리티 통증치료에 대한 국민 수요도 있고, 이를 실손보험이 뒷받침해 주고 있는 형국"이라고 귀띔했다.

문제는 전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4년의 수련 과정을 겪어야 한다는 것. 4년 후 통증 시장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는 고개를 갸웃했다.

대한정형외과의사회 이태연 회장은 "5년, 10년 뒤 통증 분야에 대한 전망이 어떨지는 모르겠다"라며 "정통적인 치료를 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후배들에게도 이야기하는데 눈앞에 잘 되는 곳이 뻔히 보이니 쉽지 않을 것"이라고 고개를 저었다.

대한재활의학과의사회 고위 임원도 "보장성 강화는 현 정부 뿐만 아니라 이전 정부에서도 추진했던 사안으로 시대적 흐름"이라며 "앞으로는 급여의 시대가 올 것이다. 여기에 빠르게 적응하는 진료과들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련 기간을 거쳐 4년 뒤 나가서 통증 치료 시장에 뛰어든다고 했을 때 양질의 치료는 상당히 제한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