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진기 칼럼]“연봉은 얼마나 받아야 행복할까?"(28편)

백진기 한독 대표
발행날짜: 2023-08-31 05:30:00

연봉은 얼마나 받아야 만족할까?

아무리 많이 받아도 충분하지 않다?(never enough) 그게 '봉급쟁이' 인 것 같다.

인사업무를 40여년을 하면서 한번도 "그 정도면 충분합니다"라고 말한 직원을 본 적이 없다.

속내는 '돈'이면서 연봉 운운하면 마치 장사치?로 보여지는게 싫어서 금기시한다.

실제는 그렇지 않다.

경력사원을 채용할 때마다 'C급리더'든 3년짜리 경력사원이든 모두 연봉협상에 올인한다.

전에는 MNC multi national company에 다니는 분일수록 2,3년 단위로 회사를 옮긴 분들이 많았다.

리쥬메를 받아보면 화려했다. 이제는 로컬회사출신도 마찬가지다.

회사가 정거장이고, 평생살 것처럼 말은 하지만 세입자처럼 행동한다.

약 40여년을 한직장?(중간 2년간 금융회사 다니다가 재입사)을 다닌 사람의 눈에는 그 이유가 궁금했다.

"왜 이렇게 자주 옮겼느냐(실은 이렇게 물으면 위법가능성이 있다-자세한 것은 제가 쓴 [면접의 힘]이나 [면접관을 위한 면접의 기술]을 참고)" 하고 물으면 백이면 백 모두 이유가 있다.

겉으로는 대부분이 커리어 개발이다.(CDP, Job enlargement, job enrichment)

속으로는 '연봉인상'이다.

두가지 이유가 섞여있고 그 비중은 지원자마다 다 다르다.

간혹, 근무지 때문에 옮기는 분도 있는데 이분도 연봉인상은 초미의 관심사다

"옮기지 않으면 오르지 않는다."가 세입자의 경험철학이다.

몇년전에 만난 친한 CEO는 "전직원 다같이, 똑같이 연봉을 주면 직원들 만족도가 올라가서 생산성도 오를 것 같은데 왜 안할까?"

나는 반문을 했다.

"왜 모든 회사가 차별화된 pay system을 갖고 성과,역량,경험,노동시장,공헌 등을 고려하여 개별적 차별적 임금을 줄까요?"

그분과 나는 Equality와 Equity의 차이 만큼 그 Gap이 컷다. 공정,공평하다는 것은 평등하게 똑같이 대우를 해주는 것이 아니라 성과에 따라 달리 대접하는 것이다.

그것이 인간의 본성이다.

본래로 돌아가서 질문을 약간 바꿔본다. 연봉을 적어도 얼마나 받아야 행복할까?

이를 어느 정도 설명해 줄 연구가 몇개 있다.

1) 돈과 행복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가 ‘2023 세계행복보고서’를 내놓았다.
이 보고서에 나온 한국인의 주관적 행복도는 10점 만점에 5.95점으로 조사 대상 137개국 중 57위였다.
이번 행복도 조사에서 7.8점으로 1위에 오른 핀란드는 1인당 GNI가 5만1178달러로 한국의 1.5배다.
2~5위로 집계된 덴마크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네덜란드도 1인당 GNI가 5만~7만달러에 이르는 고소득 국가다.
반면 저소득 국가가 많은 아프리카에서는 행복도가 6점을 넘은 나라가 하나도 없었다.

2) Easterlin paradox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 기본 욕구가 충족되면 소득이 증가해도 행복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이론이다. 미국 경제사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이 1974년 주장한 개념이다. 그는 1946년부터 빈곤국과 부유한 국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국가 등 30개 국가의 행복도를 연구했는데,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행복도와 소득이 비례하지 않는다는 현상을 발견했다(네이버 지식백과 발췌)

3) 돈이 있어야 행복할 가능성이 더 크다.

200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의 베시 스티븐슨 교수팀은 이스털린의 설문보다 더 광범위한 실증조사를 통해 이스털린의 주장이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스티븐슨은 “132개국을 대상으로 지난 50년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유한 나라의 국민이 가난한 나라의 국민보다 더 행복하고,국가가 부유해질수록 국민의 행복수준은 높아졌다"고 말했다. ‘돈이 있어야 행복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해준 셈이다.

4) 돈이 많다고 해서 무한정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다.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이 작용한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Kahneman 과 Deaton(2010)교수는 삶의 평가(life evaluation)와 정서적
안녕(emotional well-being)을 구분하면서, 후자는 연간 소득 7만5천 달러를 넘어서면 소득 증가와 관련이 없어짐을 밝혔다.(2023년 7월현재 약 0.98억 약 1억)

일정한 소득, 자산 수준까지는 증가한 소득이 하고 싶은 일에 시간 사용하기, 고통과 질병 피하기, 여가 즐기기와 같은 정서적 안녕에 필요한 요소를 늘리지만, 그 이상의 고소득은 오히려 인생의 작은 즐거움을 찾는 능력(향유경험, savoring)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Quoidbach, Dunn, Petrides & Mikolajczak, 2010).

5) 연봉이 많아지면 행복감은 커진다.

그런데 카너먼이 최근 조금 다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봉 10만달러 이상~50만달러 미만 구간에서도 소득이 증가할수록 행복감이 커진다는 것이다. 단, 소득이 높아도 ‘불행한 소수’가 있었다. 사랑하는 가족•친지를 잃었거나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이었다. 돈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불행이 있는 것이다.(한경 2023.4.3기사참조)

돈과 행복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기는 하지만 돈에도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이 작용한다.

100만원을 일시에 준다고 하면 주니어에게는 상대적으로 적지 않은 돈이지만 수억대 연봉자에게는 큰 의미가 없다.
돈이 많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지지만,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돈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나는 이스털린의 또 다른 실험을 지지한다.

1) 자기는 10만달러를 벌고 친구들은 20만달러를 버는 것과
2) 자기는 5만달러를 벌고 친구들은 2.5만달러를 버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니 실험참가의 60%가 2)번을 선택했다.

소득의 절대 금액보다 친구와 비교한 상대적 수준이 행복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한경 2023.4.3기사참조)

행복의 반대말은? 불행이 아니고 '비교'다

연봉비교가 불행의 시작이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