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상 통해 화학요법 대비 사망위험 36% 감소 등 확인
서울성모병원 김인호 교수, 모든 환자에서 일관적 결과
고령화로 요로상피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재발, 전이에 따라 다양한 치료 옵션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FGFR 변이 표적치료제인 발베사 허가를 계기로 치료 기회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6일 서울성모병원 김인호 교수(종양내과)는 발베사 기자간담회에서 그간 진행된 임상 결과의 의의 등을 설명했다.
이날 김 교수는 발베사의 최신 임상 연구인 'THOR' 임상연구와 발베사정의 허가 근거가 된 2상 임상연구(BLC2001)의 주요 데이터를 소개했다.
이와 관련해 김인호 교수는 "최근 고령 환자에서 요로상피암 환자가 많이 생기고 있고 빈도도 늘고 있다"며 "특히 해당 암종의 경우 재발하고 변이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 것을 체감하고 있다"고 전했다.
즉 원격 전이 된 방광암 등의 증가에 따라 추가적인 옵션이 필요했고, 발베사가 그런 대안 중 하나라는 것.
또한 FGFR변이의 경우 요로상피암에서 발견되는 흔한 변이 중 하나로 요로상피암 환자에서 약 20% 빈도로 나타나며 특히 FGFR3의 발현빈도가 높다는 점도 설명했다.
발베사정은 FGFR에 결합해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키나아제 억제제로 FGFR 인산화 및 신호 전달을 억제하고 세포 생존력을 감소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국내에서는 지난 2022년 식약처 허가를 획득했으며, 지난 9월 THOR 임상 연구 결과를 근거로 허가 사항이 변경됐다.
현재 발베사정은 '이전에 최소 한 가지 이상의 PD-1 또는 PD-L1 억제제를 포함한 전신 요법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에 질병이 진행된 FGFR3 유전자 변이가 있는 수술적으로 절제불가능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성인 환자의 치료'에 사용 가능하다.
이에 관련 임상 결과와 관련해서 김인호 교수는 "발베사와 연구를 살펴보면 2상인 'BLC2001' 연구의 경우 그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당시 객관적 반응률 40% 기록했는데 당시 이정도의 약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었고 이에 다음 과정으로 나아갈 수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진 'THOR'는 다국가, 무작위 3상 임상연구로 전이성 또는 수술적으로 절제불가능한 요로상피암 환자 중 FGFR3 변이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발베사정과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를 비교한 임상 시험이다.
해당 연구는 이전에 적어도 1회의 PD-1 또는 PD-L1 억제제를 포함해 2차 이하의 전신항암요법을 받은 환자(코호트 1)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코호트 1 연구 결과, 발베사정은 항암화학요법 대비 사망 위험을 36% 감소시키고, 항암화학요법 전체 생존 중앙값(mOS) 7.8개월 대비 약 55.13% 증가한 12.1개월의 유의미한 생존 혜택 개선을 입증했다(HR 0.64; 95% CI, 0.47~0.88; p=0.005).
특히 발베사정의 전체 생존 혜택은 하위 그룹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무진행 생존 중앙값(mPFS)은 발베사정이 5.6개월로 항암화학요법(2.7개월) 보다 2배 이상 연장됐다(HR 0.58; 95% CI, 0.44~0.78; p<0.001).
김인호 교수는 "해당 연구를 살펴보면 임상 3상임에도 불구하고 예전 치료보다 분명 나은 결과를 보여줬다"며 "특히 이런 연구 결과가 특정 환자에 쏠린 것이 아니라 서브그룹에서 일관적인 결과를 보여줬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특히 부작용의 경우에도 이전 연구들과 비슷했기에 의사들이 염두에 두고 있다면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김인호 교수는 "요로상피암은 시중 치료제 간에 기전이 다르고 허가사항도 조금씩 다른 상황으로 환자 치료 여정에 맞게 조기부터 말기까지 다양한 치료 옵션이 필요하다"며 "발베사정은 항암화학요법과 면역항암제 옵션을 모두 사용한 요로상피암 환자에서 생존율 개선과 추가 치료의 기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