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급여 주사치료비 전년 대비 213% 증가…급여 경구치료비는 감소
독감 치료주사제 다양화 및 보험사 '독감보험' 판매 증가 등 영향
독감의 비급여 주사치료비가 지난 2018년 626억원에서 2023년 3103억원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급여 경구치료비는 같은 기간 180억원에서 142억원으로 감소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은 2023년도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2023년도 상급종합‧종합병원‧병원‧의원의 독감 관련 검사 및 치료주사 비급여 진료비는 각각 2350억원 및 3103억원으로 전년 대비 113%, 213% 증가했다.

독감 검사와 치료주사 비급여 진료비 증가는 주로 의원급에서 나타났다.
2023년도 의원 비급여 독감 검사와 치료주사 진료비는 각각 2064억원과 2498억원으로, 전체 비급여 독감 검사의 87.8%, 비급여 치료주사의 80.5%를 차지했다.
증가율 역시 의원급 비급여 독감 검사는 116%, 치료주사는 231%로, 전체 증가율(검사 113%, 치료주사 213%)을 상회했다.
독감 비급여 검사 및 치료주사 급증은 2023년도 의원의 건강보험 보장률 하락(57.3%, 전년 대비 3.4%p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3년도 의원의 독감 질환 비급여율은 71.0%로, 2022년(59.4%), 2018년(54.0%) 대비 각각 11.6%p, 17.0%p 증가했다.
의원 비급여 진료비 중 독감 진료비 비중도 7.2%로 전년 대비 4.5%p 상승했다.

독감 비급여 증가 원인은 민간보험사의 '독감보험' 판매 증가와 주사치료제의 공급 및 수요 증가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독감 진단 확정 후 항바이러스제 처방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독감보험의 판매 증가 및 보장 한도 증액으로 관련 비급여가 증가한 것이다.
이외에도 독감 주사치료제가 다양화되고, 경구치료제는 5일간 복용해야 하는 반면 주사치료제는 1회 투약만으로 치료가 가능하다는 편의성이 수요 증가의 요인으로 파악된다.
건강보험공단은 "전문의들에 따르면 독감과 관련해 급여인 경구치료제와 비급여인 주사치료제의 효과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두 가지 치료 모두 설사, 오심, 구토, 간수치 상승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치료 전 전문가와 상담해 부작용과 주의사항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반적으로 경구치료제의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자료가 더 많아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건강보험이 보장하는 급여 경구치료제 사용을 우선 권장한다"며 "다만, 오심 및 구토로 인해 경구치료제의 복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주사치료제를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