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추계 세미나서 요양병원 업계 경영상 어려움 진단
"정책 방향성 찬성하지만 수가 등 속도조절 필요" 당부
"앞으로 요양병원 절반 이상은 사라질 위기다."
한국만성기의료협회 김덕진 회장은 16일 열린 추계 세미나에서 기자들과 만나 요양병원계 경영적 위기감을 전했다.

김 회장은 과거 대한요양병원협회 초대 회장을 지낸 요양병원계 큰 어른. 그가 바라본 최근 요양병원 업계 닥친 위기는 어떤 것일까.
그는 "지금까지 분위기와는 전혀 다르다"라며 "정부는 요양병원의 의료정도를 '고도' '최고도'만 구분하려는 듯 하다. 결국 절반이상은 위태로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결국 의료적 필요도가 높은 환자는 요양병원에서, 돌봄 필요도가 높은 환자는 요양원에서 케어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게 정부의 정책 의도라고 봤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과거 정부가 정책적으로 우후죽순 개설을 허용한 요양병원들이 폐업 위기에 내몰릴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김 회장은 "사실 요양병원을 많이 개설하도록 한 것도 정부 정책이었다"라며 "이제와서 정책 방향을 바꾸니 병원을 경영하는 입장에선 어렵게 됐다"고 덧붙였다.
또한 통합돌봄 시범사업도 일선 요양병원들에게는 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통합돌봄이란 환자가 자신의 집에서 재택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정책으로 경증환자 위주의 요양병원 입장에선 경영상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김 회장은 해당 시범사업이 정착을 하면 문을 닫게 될 요양병원이 또 늘어날 것이라고 봤다.
수십년 째 요양병원을 운영 중인 김 회장은 정부의 고강도 요양병원 정책에 대해 "방향성은 맞다"면서도 "속도조절은 해야한다"고 말했다.
의료기관 내 인건비,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할 때 수가 인상 등을 동반하면서 함께 가야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정부가 수가로 지원을 하면서 일선 요양병원이 따라올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얘기다.
그는 "요양병원들이 의료적 중증도를 높여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속도를 조절하는 것도 필요하다. 오히려 이 방법이 연착륙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