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07년부터 도입...응급환자 소생율 높여
내년부터 서울시 5개년 사업으로 119구급차에 원격화상시스템을 구축한다.
서울시 소방방재본부는 응급상황에서 구급지도의사와 현장의 구급대원간에 환자 증상을 동영상으로 전송, 전문의가 응급처치 지도를 실시해 환자 소생율을 높이는 원격 화상응급의료 지도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007년부터 5개년 사업으로 서울시내 모든 구급차에 도입할 예정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현재 115개대 732명의 구급대원이 현장에서 전문의에 의한 응급의료지도가 무선망(구두)에 의한 판단으로 응급처치를 함에 따라 전문적 응급의료지도가 한계에 봉착하고 있으며, 교통지체 등으로 신속하게 병원이송이 안되는 현장 상황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 획기적인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급성질환(60%) 및 사고부상(24%) 환자에 대한 신속, 정확한 정보전달 및 응급의료판단이 절실해지고 있지만 종합방재센타에 상주 하고 있는 구급 전문의와 현장의 구급대원간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해 응급처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원격화상 응급의료시스템은 2007년도 4개대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2011년까지 115개 구급차에 75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예정이다.
서울시 소방방재본부는 응급상황에서 구급지도의사와 현장의 구급대원간에 환자 증상을 동영상으로 전송, 전문의가 응급처치 지도를 실시해 환자 소생율을 높이는 원격 화상응급의료 지도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007년부터 5개년 사업으로 서울시내 모든 구급차에 도입할 예정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현재 115개대 732명의 구급대원이 현장에서 전문의에 의한 응급의료지도가 무선망(구두)에 의한 판단으로 응급처치를 함에 따라 전문적 응급의료지도가 한계에 봉착하고 있으며, 교통지체 등으로 신속하게 병원이송이 안되는 현장 상황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 획기적인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급성질환(60%) 및 사고부상(24%) 환자에 대한 신속, 정확한 정보전달 및 응급의료판단이 절실해지고 있지만 종합방재센타에 상주 하고 있는 구급 전문의와 현장의 구급대원간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해 응급처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원격화상 응급의료시스템은 2007년도 4개대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2011년까지 115개 구급차에 75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