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품목 대거 퇴출...정부주도 구조조정 불만
"일반약 복합제 비급여 전환과 생동성 불일치 파문으로 주력제품이 대거 퇴출돼 매출의 절반에 가까운 타격이 우려된다"
매출 100억 이상의 중견제약사 상당수가 이번 식약청의 생동성 시험 최종결과 발표와 이에 앞선 일반약 비급여 전환의 직격탄을 맞아, 사실상 퇴출의 위기까지 맞이했다.
주요 상장제약사들의 경우 매출감소 피해에도 불구 불확실성의 해소라는 주식시장 애널리스트들의 긍정적인 진단과 달리 중소제약사는 생존의 위협까지 느낄 정도로 심각한 매출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 J사과 C제약은 자사의 생동성 불일치로 허가취소 및 생동공고 삭제된 품목이 전체 전문약의 절반에 육박했고 주력품목이 대거 포함됐다. 이미 일반약 복합제 비급여 전환시 매출감소액을 포함하면 매출이 반토막날 상황이다.
A제약은 지난해 전체매출 300억중 100억대 매출감소가 불가피하며 일반약 복합제로 40억, 생동으로 60억정도가 매출감소액으로 추산됐다.
또 일반약 복합제 비급여와 생동성 허가취소 및 생동공고 삭제와 상한가 조정이 겹치면서 이들 제약사는 당장 유동성 자금 확보에 초비상이 걸렸다.
M제약사는 비급여 전환품목 반품에 이어 생동성 불일치 품목군 반품과 상한가 보상까지 더해지면서 줄어드는 매출 걱정보다 현금확보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100억 매출타격을 받은 A제약 관계자는 "비급여로 10품목, 생동으로 5품목 등 주력 15품목이 타격을 입어 매출상위 제품은 1,2개 정도만 남았다" 며 "비급여 판매방법과 대체품목 준비 등으로 매출타격을 막아갈 계획이자만 적젆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주도의 인위적인 제약업계의 구조조정이 적절한지는 따져봐야할 할 부분이 있다" 며 "유시민 장관을 독대해서라도 국내 제약업계의 현실에 대해 논의를 하고 싶은 심정" 이라고 덧붙였다.
또다른 제약사 관계자는 "가장 큰 불확설성인 한미FTA외 생동위탁품목 가격조정우려, 일반약 비급여 확대, 정액제 논란, 생동위탁품목 가격인하 등 업계의 우려하는 내용은 끝이 없다" 며 "무작위적인 중소제약 퇴출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신빙성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상장사 등 대형제약사의 상황도 극복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간단한 진단으로는 설명이 어렵다. 일반약 비급여와 생동성 파문에 따른 피해액을 더할 경우 대형사도 매출에 2~7% 정도의 타격을 받았다.
다만 중소제약사 품목 공백발생 시장에 대한 공략으로 만회가 가능하다는 진단이지만 대부분 타격을 완전 극복할 만한 수준까지 어렵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매출 100억 이상의 중견제약사 상당수가 이번 식약청의 생동성 시험 최종결과 발표와 이에 앞선 일반약 비급여 전환의 직격탄을 맞아, 사실상 퇴출의 위기까지 맞이했다.
주요 상장제약사들의 경우 매출감소 피해에도 불구 불확실성의 해소라는 주식시장 애널리스트들의 긍정적인 진단과 달리 중소제약사는 생존의 위협까지 느낄 정도로 심각한 매출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 J사과 C제약은 자사의 생동성 불일치로 허가취소 및 생동공고 삭제된 품목이 전체 전문약의 절반에 육박했고 주력품목이 대거 포함됐다. 이미 일반약 복합제 비급여 전환시 매출감소액을 포함하면 매출이 반토막날 상황이다.
A제약은 지난해 전체매출 300억중 100억대 매출감소가 불가피하며 일반약 복합제로 40억, 생동으로 60억정도가 매출감소액으로 추산됐다.
또 일반약 복합제 비급여와 생동성 허가취소 및 생동공고 삭제와 상한가 조정이 겹치면서 이들 제약사는 당장 유동성 자금 확보에 초비상이 걸렸다.
M제약사는 비급여 전환품목 반품에 이어 생동성 불일치 품목군 반품과 상한가 보상까지 더해지면서 줄어드는 매출 걱정보다 현금확보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100억 매출타격을 받은 A제약 관계자는 "비급여로 10품목, 생동으로 5품목 등 주력 15품목이 타격을 입어 매출상위 제품은 1,2개 정도만 남았다" 며 "비급여 판매방법과 대체품목 준비 등으로 매출타격을 막아갈 계획이자만 적젆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주도의 인위적인 제약업계의 구조조정이 적절한지는 따져봐야할 할 부분이 있다" 며 "유시민 장관을 독대해서라도 국내 제약업계의 현실에 대해 논의를 하고 싶은 심정" 이라고 덧붙였다.
또다른 제약사 관계자는 "가장 큰 불확설성인 한미FTA외 생동위탁품목 가격조정우려, 일반약 비급여 확대, 정액제 논란, 생동위탁품목 가격인하 등 업계의 우려하는 내용은 끝이 없다" 며 "무작위적인 중소제약 퇴출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신빙성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상장사 등 대형제약사의 상황도 극복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간단한 진단으로는 설명이 어렵다. 일반약 비급여와 생동성 파문에 따른 피해액을 더할 경우 대형사도 매출에 2~7% 정도의 타격을 받았다.
다만 중소제약사 품목 공백발생 시장에 대한 공략으로 만회가 가능하다는 진단이지만 대부분 타격을 완전 극복할 만한 수준까지 어렵다는 분석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