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교수 45% 모교근무 '혈통주의' 심각

박진규
발행날짜: 2004-02-19 12:00:30
  • 서울의대 이윤성 교수, 전남의대 100% 모교출신

국내 의대중 모교에서 근무하는 교수의 비율이 44.7%로 나타나는 등 이른바 혈통주의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교 40년이 넘는 '고참'의대는 교수의 9할 이상이 모교 출신인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의대 이윤성 교수가 2002~2003년도 의과대학 교육현황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41개 의대 교수 7,867명 가운데 44.7%인 3,255명이 모교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전체 의대 교수중 92.5%(7,511명)가 의사면허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비의사 교수는 7.5%(587명)로 나타났다.

모교출신 의사 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90%를 넘는 대학은 전남의대(100%), 서울의대(98.8%), 경북의대(97.3%), 부산의대(93.9%), 연세원주의대(93%), 고려의대(91.1%) 등으로 파악됐다.

이들 대학은 대부분 설립한지 40년이 넘는 대학들이었는데 이 가운데 가톨릭의대(84.4%)와 이화여대(51.5%)는 9할대 미만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이와 관련, 1955년 이전에 설립한 8곳 출신으로 의대에서 근무하는 교수는 5,355명으로 전체 교수의 76.2%를 차지했으며 65년 부터 82년 사이에 설립한 이른바 '중견의대' 14곳 출신 교수는 1,830명으로 전체의 25.1%로 나타났다.

중견의대 출신의 모교 재직 비율은 55.8%(1,022명)로 파악됐다.

학교별로는 순천향의대가 88.4%로 기록한 것을 비롯해 인제의대(87%) 한림의대 (80.4%), 고신의대(76.3%), 경상의대(74.2%), 원광의대(72.2%), 전북의대(66.7%), 조선의대(65.7%) 등이 모교출신 비율이 평균치보다 높은 대학으로 나타났다.

전체 교수를 출신교별로 보면 서울의대 출신이 1,709명으로 전체의 23.5%를 차지, 압도적으로 많았고 다음으로 연세의대 14.8%(원주 포함 1,077명), 가톨릭의대 9.8%(711명), 경북의대 7.0%(509명), 고려의대 6.7%(491명), 한양의대 5.2% (380명), 부산의대 4.6%(337명), 전남의대 4.1%(302명), 경희의대 3.2%(234명), 이화의대 3.0%(219명) 순이었다.

이 교수는 "의과대학에서 모교 출신을 교수로 채용하는 비율은 매우 높다"고 전제하고 "이런 현상은 설립한지 비교적 오랜 의과대학에서 뚜렸했고, 중견 대학에서도 점차 '혈통주의'가 심해지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말했다.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