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슬관절팀 연구결과 재활운동 없이도 결과 양호
인공관절수술 후 운동각도를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무릎꺾기 재활운동이 극심한 고통을 가져오지만 실제로 큰 효과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슬관절팀(김태균, 장종범 교수)은 인공관절 수술 후 무릎꺾기 운동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양측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하는 5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쪽 무릎은 수술 후 물리치료사에 의한 무릎꺾기 운동을 시행하고 반대쪽 무릎은 환자 스스로 관절 운동을 하도록 교육한 후 6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또 환자들의 객관적인 관절 운동 범위와 기능회복 정도를 1주, 2주, 3개월, 6개월째 측정하고, 환자 스스로 어느 쪽 치료가 더 만족스러운지 만족도 조사를 시행했다.
연구 결과 수술 후 물리치료사가 수동적으로 무릎꺾기 운동을 시행한 쪽과 환자 스스로 운동을 시행한 반대쪽 무릎간의 관절 운동 범위, 기능 점수 모두에서 차이가 없었다.
환자들은 통증 면에서 무릎꺾기를 시행하지 않은 쪽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자들의 최종 운동 각도는 무릎꺾기의 시행 여부와 상관없이 양쪽 무릎에서 모두 평균 130도 이상의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김태균 교수는 “과거에는 수술 후 관절을 90도 정도만 구부릴 수 있으면 대단히 성공한 것으로 여겼지만 인공관절 치환술과 수술기법이 발달하면서 동양인의 특성에 맞춘 초굴곡형 인공관절도 등장해 관절 운동범위가 많이 커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교수는 “수술기법과 인공관절 치환물이 발달하면서 이제는 더 이상 수동적인 무릎꺾기와 같은 고통을 동반하는 무리한 운동을 하지 않더라도 평균 130도 이상의 만족스러운 관절운동 범위를 얻을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앞으로는 인공관절 수술 후 재활치료의 방향이 단순한 관절꺾기 보다는 환자가 수술 후 일상생활이 더 잘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적, 기능적 재활에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 연구결과는 저명한 유럽슬관절 및 스포츠학회 공식학술지인 KSSTA(Knee Surgery Sports Trauma Arthroscopy)에 게재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슬관절팀(김태균, 장종범 교수)은 인공관절 수술 후 무릎꺾기 운동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양측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하는 5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쪽 무릎은 수술 후 물리치료사에 의한 무릎꺾기 운동을 시행하고 반대쪽 무릎은 환자 스스로 관절 운동을 하도록 교육한 후 6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또 환자들의 객관적인 관절 운동 범위와 기능회복 정도를 1주, 2주, 3개월, 6개월째 측정하고, 환자 스스로 어느 쪽 치료가 더 만족스러운지 만족도 조사를 시행했다.
연구 결과 수술 후 물리치료사가 수동적으로 무릎꺾기 운동을 시행한 쪽과 환자 스스로 운동을 시행한 반대쪽 무릎간의 관절 운동 범위, 기능 점수 모두에서 차이가 없었다.
환자들은 통증 면에서 무릎꺾기를 시행하지 않은 쪽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자들의 최종 운동 각도는 무릎꺾기의 시행 여부와 상관없이 양쪽 무릎에서 모두 평균 130도 이상의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김태균 교수는 “과거에는 수술 후 관절을 90도 정도만 구부릴 수 있으면 대단히 성공한 것으로 여겼지만 인공관절 치환술과 수술기법이 발달하면서 동양인의 특성에 맞춘 초굴곡형 인공관절도 등장해 관절 운동범위가 많이 커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교수는 “수술기법과 인공관절 치환물이 발달하면서 이제는 더 이상 수동적인 무릎꺾기와 같은 고통을 동반하는 무리한 운동을 하지 않더라도 평균 130도 이상의 만족스러운 관절운동 범위를 얻을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앞으로는 인공관절 수술 후 재활치료의 방향이 단순한 관절꺾기 보다는 환자가 수술 후 일상생활이 더 잘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적, 기능적 재활에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 연구결과는 저명한 유럽슬관절 및 스포츠학회 공식학술지인 KSSTA(Knee Surgery Sports Trauma Arthroscop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