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회, OTC 약국 외 판매 '사면초가' 빠지나

발행날짜: 2011-01-07 06:47:34
  • 시민단체 "일부 OTC 한정"…슈퍼 판매 시범사업 주장도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일반의약품 약국 외 판매를 두고 대한약사회가 사면초가에 빠졌다.

시민단체, 의료계가 전면적인 허용 촉구 목소리를 높이는 한편 약사회가 주장해온 의약품 오남용 우려에도 허점이 많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약사회의 입장은 일반의약품이든 전문의약품이든 약은 약국에서 판매돼야 한다는 것이 원칙이었다. 또 일반의약품의 오남용을 막기 위해서는 슈퍼 판매는 불가하다는 입장이었다.

반면 25개 시민단체 연합은 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모든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고 분명한 선을 그었다.

25개 시민단체 연합은 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를 허용해 국민 불편을 해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남용 우려가 없고 충분히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해열제, 소화제와 같은 몇 가지 가정 상비약은 허용해야한다는 것이다.

모든 일반의약품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만큼, 일각에서 제기되는 것처럼 OTC의 약국 외 판매에 따른 심각한 오남용이나 약화 사고는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약국에서도 일반의약품은 쉽게 구할 수 있는데 굳이 약사회가 오남용을 이유로 약국 외 판매 불가 방침을 고수하는 것은 설득력이 약하다는 지적이다.

약사회로서는 미국, 유럽 등에서 안전성이 입증된 일반의약품이 슈퍼에서 구매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 되고 있다.

게다가 약사회가 불가 방침 고수를 지속할 경우 국민들의 여론 악화 '역풍'을 맞을 것이라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국민의 불만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는데도 불가 방침만 고수하는 것은 자칫 일반의약품 시장을 뺏기지 않으려는 것으로 비칠 우려도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반의약품이 차지하는 시장은 2조원대에 이르고 있어 약사들의 입장에서는 놓치기 아쉬운 게 사실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약사들이 소매점과 가격 경쟁을 해야하는 상황을 우려해 OTC의 약국 외 판매를 반대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한편 국회에서 열린 '의약분업 시행 10년 평가와 발전방안 모색' 토론회에서도 일반의약품 약국외 판매 시범사업 주장도 제기되는 등 상황이 약사회에 불리하게 전개되고 있다.

또 시민연대는 특별 위원회를 구성해 안전성이 확보된 약을 선별하는 작업을 제안하고 있어 약사회가 무조건적인 반대 입장을 고수하기에는 힘이 부칠 전망이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12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답답하다 2011.01.08 16:39:25

    전문약광고 약사는 반대한다.
    국민보건관점이 아니라 철저하게 이익의 관점으로 보면 전문의약품 광고허용은 약사에게 나쁜게 아니다. 어짜피 광고보고 한번이라도 더 병원와서 처방받아가면 그만큼 이익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사회가 반대하는 것은 그것이 결코 국민보건에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의사협회와 동조하는 것 아닌가. 그런데 의사협회는 왜 허구헌날 약사회를 못잡아 먹어서 안달인가. 결국에는 공멸인데 나도 죽겠지만 제만 죽이면 되는 무대포 정신에 혀를 내둘른다.

  • ttg 2011.01.07 23:28:00

    좋아좋아
    - 일반의약품이 정말 안전해??? 그럼 안전한 일반의약품으로 우리 직접조제 하게 해줘~
    - 의약정책에서 편의성이 더 중요해??? 그럼 처방전 리필해줘, 그리고 성분명처방해줘~ 그래야 환자들이 덜 돌아다니지.
    - 미국식이 그렇게 좋아??? 그럼 의약품도 미국식으로 재분류해줘~

  • 시민 2011.01.07 18:39:03

    이제는 막을수 없다
    이제는 의사약사도 못 막는다
    서로 싸우든 뭉치든 상관없다
    이제는 국민이 우선이다
    국민이 원하면 무엇이던지 해야 한다

  • 닥터지바고 2011.01.07 17:12:15

    제안을 하자면
    이 문제는 신중을 기해야 하지만 일반인이 약국에 가서 고객이 달라는 약을 커운터가 집어 주는 것과 슈퍼에서 일반약을 사는 것이 크게 다르지 않고, 또 약국에서 일반 물건을 취급하는 것은 소비자의 편의를 위해서라면, 아주 제한된 몇 몇 약 이를테면 소화제의 일부, 진통제의 일부 그리고 외용제(예, 파스 등)등 극히 일부만이라도 슈퍼에서 취급해도 되지 않을까?(개인 생각)

  • 슈퍼25시 2011.01.07 17:03:16

    제발 좀, 약 외에는 취급을 하지 마세요.
    제발 약 이외에는 약국에서 취급 좀 하지 마세요. 치약은 약 자가 들어가니 그렇다고 치고 치솔이며.신발이며, 아세톤이며 제 옆 건물의 대형 약국에서는 심지어 담배까지 팔고 있더군요.

  • 복지부 2011.01.07 16:25:55

    어차피 의사, 약사 권한은 점점 없어지는것을.. 이건 흐름이다.
    몇몇 일반약이 몇년전부터 의약외품화 되어 편의점에서 팔고있다. 이제 일반약 대부분이 약사의 아무런 권한없이 누구나 쉽게 구매할수있을것이다. 항생제야 내성문제가 있으나, 나머지 전문약도 굳이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가? 비급여되며 책임은 환자에서 있다면 약국에서 또는 슈퍼에서 직접 구매하게 될것이다. 이건 큰 흐름으로 의료비절감차원에서도 바람직하다.

  • 현실의 2011.01.07 13:48:37

    처방전리필제를 들고나오고있다...
    처방전리필제를 들고나오기시작했다. 거기다가 전문의약품의 대거 일반의약품으로의 전환을 시도하고있다는 속보가있다.
    이중 가장 시급한건 처방전리필제다.이거 뚫리면 게임아웃이다.

  • ffff 2011.01.07 13:47:55

    오로지 약사들이 활개치는 복지부가 한국의 의료를 주물르고있다.
    현재 한국만 모든약을 약국에서 취급한다.전세계 어디든 일반 상비약은 슈퍼에서 판다.

  • 의사 2011.01.07 13:42:16

    시민단체가 나서서 약을 수퍼로 풀어달라는데...
    글쎄요... 의약분업때 의사들이 약사들한테 가지게 되었던 분노와 박탈감, 피해의식, 자존심의 상처를 현재 약사들도 고스란히 가지게 될 것 같군요..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원칙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전문가란 무엇인지를 자꾸 생각하게 만드는 일이 생겨서 너무 안타깝습니다. 만일 약사들이 충실하게 조제에 전념해서 일반약을 팔면서 병의원에 가야할 환자의 병을 황당하게 키우는 일만 없었어도 의사들은 절대 반대 했을 겁니다. 하지만 현재 어떤가요?
    의약분업이 되었어도 약국에서는 조제방식만 바뀌었지 환자들이 어디 어디 아프다고 하면 관련된 약들을 꺼내주더군요. 바로 엎어지면 코닿을 때 의원이 있는데도 말이지요. 그런 환자들이 약을 어디에서 팔든 행태는 별로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어찌보면 자업자득입니다.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자업자득이요.

  • 진짜의사 2011.01.07 13:31:07

    대찬성입니다
    약사의 본분은 조제에 있습니다.
    서구의 약국은 대부분 마트 안에 있죠. 그곳에서도 약사는 조제에 전념합니다.
    어차피 약매출도 얼마안되는 OTC는 마트에 줘버리고, 의사는 전문/일반의약품을 처방하고 약사는 조제에만 전념하는 식으로 역할이 제대로 자리 잡아야 합니다.
    약사가 환자에게 문진하고 복잡하게 머리 굴려서 매약할 궁리를 하는 것 보다는 처방약에 대한 복약지도를 철저히 하고 꼼꼼하고 위생적인 조제에 전념하는 것이 옳습니다.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