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익부 빈익빈 가속화…"문도 마음대로 못 닫는다"
올해로 개원한지 만 2년째가 된 의사 A씨는 요즘 폐업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보험진료를 주로 하는 그의 하루 환자는 평균 30명 정도. 비급여 부분을 포함해도 월 매출이 1000만원을 넘기가 힘든 수준이다.
결국 수입은 간호조무사 2명의 임금과 건물 임대료, 그리고 대출금과 각종 공과금을 제하면 400만원 안팎이다. 자영업을 하지만 실상은 봉직의 급여수준에도 한참을 못 미치는 것이 현실이다.
지난해 동네의원 1559곳 폐업
동네의원이 문을 닫는 현상은 이미 현실이다. 많은 의원들이 폐업을 고민하고 또 많은 의원들이 실제 폐업을 하고 있다.
지난해 폐업한 동네의원은 총 1559곳이다.(심평원 자료) 전체 의원의 5.7%에 이른다. 2009년 5.6%에 비해 0.1% 늘었다.
폐업기관을 진료과별로 보면 그 과가 처한 현실이 잘 드러난다. 일반과 의원의 경우 지난해 786곳이 문을 닫았는데 폐업률도 10.2%로 단연 최고였다.
봉직의 급여가 급등한 영상의학과 의원의 폐업률이 5.7%(19곳), 저출산의 직격탄을 맞은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는 각각 5.9%(22곳), 4.5%(98곳)로 폐업률이 높은 편이었다.
동네의원의 주된 폐업 이유는 경영상의 어려움이다. 특히 소규모 동네의원들의 경쟁력이 급속히 약화되고 있다.
전문화된 네트워크의원, 대형 의원, 전문병원들의 틈바구니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
이비인후과개원의협의회 신광철 공보이사는 "최근 주변 이비인후과 개원의 3명이 폐업했다"면서 "임대료가 상승하고 정부의 압박이 심해져 개원 이외에 다른 방법을 모색하는 것 같다. 더 문제는 신규 개원의의 시장 진입은 더 어렵다는 것이다"고 말했다.
폐업 후 봉직의로 취업한 한 의사는 "현재의 수가와 치열한 개원환경을 보면 상당수의 개원의는 미래를 대비한 비용은 커녕 개원할 당시의 빚 탕감마저도 어려운 현실"이라면서 "문을 닫는 고민은 당연한 수순이다"고 말했다.
월 청구액 500만원 미만 의원 2065곳, 1000만원 미만 4588곳
하지만 문제는 여기가 끝이 아니다. 현재 경영상의 위기에 몰린 동네의원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월 요양급여비용 청구액이 500만원 미만인 동네의원은 2065곳(전체의 8.1%), 1000만원 미만인 동네의원은 4588곳으로 전체의 17.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동네의원 월 평균 요양급여비용 2888만원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미치는 금액이다.
진료과별로 보게 되면 가정의학과는 전체의 20.8%인 228곳이 1000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부인과의 경우 무려 54.2%(903곳)가 월 청구액이 1000만원 미만이었으며, 소아청소년과는 15.1%(328곳), 일반의는 28.3%(1555곳)가 이에 해당됐다.
비급여 진료 수입이 많은 의원도 있겠지만, 건강보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큰 의원의 형태로 볼때 이들의 상당수는 경영상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한 개원의는 "폐업을 하려고 해도 의료기기 리스비에, 건물 계약기간 등에 묶여 울며겨자먹기식으로 버티고 있다"면서 "폐업을 해도 나이 때문에 봉직의 취업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고 현실을 토로했다.
보험진료를 주로 하는 그의 하루 환자는 평균 30명 정도. 비급여 부분을 포함해도 월 매출이 1000만원을 넘기가 힘든 수준이다.
결국 수입은 간호조무사 2명의 임금과 건물 임대료, 그리고 대출금과 각종 공과금을 제하면 400만원 안팎이다. 자영업을 하지만 실상은 봉직의 급여수준에도 한참을 못 미치는 것이 현실이다.
지난해 동네의원 1559곳 폐업
동네의원이 문을 닫는 현상은 이미 현실이다. 많은 의원들이 폐업을 고민하고 또 많은 의원들이 실제 폐업을 하고 있다.
지난해 폐업한 동네의원은 총 1559곳이다.(심평원 자료) 전체 의원의 5.7%에 이른다. 2009년 5.6%에 비해 0.1% 늘었다.
폐업기관을 진료과별로 보면 그 과가 처한 현실이 잘 드러난다. 일반과 의원의 경우 지난해 786곳이 문을 닫았는데 폐업률도 10.2%로 단연 최고였다.
봉직의 급여가 급등한 영상의학과 의원의 폐업률이 5.7%(19곳), 저출산의 직격탄을 맞은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는 각각 5.9%(22곳), 4.5%(98곳)로 폐업률이 높은 편이었다.
동네의원의 주된 폐업 이유는 경영상의 어려움이다. 특히 소규모 동네의원들의 경쟁력이 급속히 약화되고 있다.
전문화된 네트워크의원, 대형 의원, 전문병원들의 틈바구니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
이비인후과개원의협의회 신광철 공보이사는 "최근 주변 이비인후과 개원의 3명이 폐업했다"면서 "임대료가 상승하고 정부의 압박이 심해져 개원 이외에 다른 방법을 모색하는 것 같다. 더 문제는 신규 개원의의 시장 진입은 더 어렵다는 것이다"고 말했다.
폐업 후 봉직의로 취업한 한 의사는 "현재의 수가와 치열한 개원환경을 보면 상당수의 개원의는 미래를 대비한 비용은 커녕 개원할 당시의 빚 탕감마저도 어려운 현실"이라면서 "문을 닫는 고민은 당연한 수순이다"고 말했다.
월 청구액 500만원 미만 의원 2065곳, 1000만원 미만 4588곳
하지만 문제는 여기가 끝이 아니다. 현재 경영상의 위기에 몰린 동네의원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월 요양급여비용 청구액이 500만원 미만인 동네의원은 2065곳(전체의 8.1%), 1000만원 미만인 동네의원은 4588곳으로 전체의 17.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동네의원 월 평균 요양급여비용 2888만원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미치는 금액이다.
진료과별로 보게 되면 가정의학과는 전체의 20.8%인 228곳이 1000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부인과의 경우 무려 54.2%(903곳)가 월 청구액이 1000만원 미만이었으며, 소아청소년과는 15.1%(328곳), 일반의는 28.3%(1555곳)가 이에 해당됐다.
비급여 진료 수입이 많은 의원도 있겠지만, 건강보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큰 의원의 형태로 볼때 이들의 상당수는 경영상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한 개원의는 "폐업을 하려고 해도 의료기기 리스비에, 건물 계약기간 등에 묶여 울며겨자먹기식으로 버티고 있다"면서 "폐업을 해도 나이 때문에 봉직의 취업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고 현실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