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진료인원 분석…1·2월 골절 환자 5명 중 1명은 '아래팔 골절'
겨울철 미끄러운 빙판길에서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골절'로 진료를 받은 인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2일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골절 진료인원을 분석·발표했다.
골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교통사고, 낙상, 추락, 타박 등이 원인이 된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9년 약 187만 2000명에서 2013년 약 221만 2000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34만명(18.2%)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증가율은 4.3%다.
이로 인한 총 진료비는 2009년 약 9912억원에서 2013년 약 1조 4053억원으로 5년전에 비해 약 4141억원(41.8%)이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은 9.1%를 기록했다.
최근 5년간 골절 진료인원을 성별로 비교해보면 2009년 여성 대비 남성 진료인원의 비율은 1.27로 남성 진료인원이 많았으나, 해가 지날수록 그 격차가 좁아져 2013년에는 1.10으로 나타났다.

골절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추이 (2009년~2013년)
남성의 연평균 증가율은 2.5%, 여성은 6.3%로 해가 지날수록 여성 진료인원이 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골절의 연령별 진료인원을 보면 2013년 기준으로 7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18.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50대 17.9%, 10대 13.5% 순으로 높았다.
특히 70대 이상은 2013년 진료인원이 2009년에 비해 약 55% 증가해 노인들은 골절을 예방하기 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겨울철에는 진료인원 5명 중 1명이 '아래팔의 골절'로 진료를 받아 특히 겨울철 빙판길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심평원 조석현 심사위원은 "저연령층은 야외활동 시 보호장구 착용, 안전수칙 지키기 등 주의가 필요하며, 고연령층은 꾸준한 운동과 영양섭취를 통해 근력을 향상시키고 골다공증 등의 질환에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골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교통사고, 낙상, 추락, 타박 등이 원인이 된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9년 약 187만 2000명에서 2013년 약 221만 2000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34만명(18.2%)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증가율은 4.3%다.
이로 인한 총 진료비는 2009년 약 9912억원에서 2013년 약 1조 4053억원으로 5년전에 비해 약 4141억원(41.8%)이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은 9.1%를 기록했다.
최근 5년간 골절 진료인원을 성별로 비교해보면 2009년 여성 대비 남성 진료인원의 비율은 1.27로 남성 진료인원이 많았으나, 해가 지날수록 그 격차가 좁아져 2013년에는 1.10으로 나타났다.

골절의 연령별 진료인원을 보면 2013년 기준으로 7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18.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50대 17.9%, 10대 13.5% 순으로 높았다.
특히 70대 이상은 2013년 진료인원이 2009년에 비해 약 55% 증가해 노인들은 골절을 예방하기 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겨울철에는 진료인원 5명 중 1명이 '아래팔의 골절'로 진료를 받아 특히 겨울철 빙판길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심평원 조석현 심사위원은 "저연령층은 야외활동 시 보호장구 착용, 안전수칙 지키기 등 주의가 필요하며, 고연령층은 꾸준한 운동과 영양섭취를 통해 근력을 향상시키고 골다공증 등의 질환에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