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심포지엄서 논의 구체화…정부 수가지원 기정사실화
내과 주도로 추진되던 호스피탈리스트 제도가 내과계 뿐만 아니라 외과계도 함께 가는 구도가 형성되면서 논의에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또한 각 병원 내 인력난이 시급한 현안인 만큼 가능한 빠른 시일내에 모형을 만들고 시범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정부의 수가 지원은 기정사실화 되는 모양새다.
20일 서울대병원 대외협력실은 '호스피탈리스트 제도의 도입 현황과 정책과제'를 주제로 춘계 병원의료정책심포지엄을 열고 이 제도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발표에 나선 연자들은 호스피탈리스트는 장기적인 논의를 거칠 사안이 아니라 신속하게 현실 가능한 모형을 도출, 각 병원에 적용하는 게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함께 했다.
이어 호스피탈리스트는 별도의 분과 전문의가 아닌 병원 내 기존에 없던 역할이 생기는 것으로 '고용'의 문제라고 봤다.
보건복지부 임을기 과장(의료자원정책과)은 "지금까지는 내과 중심으로 모형을 구체화했지만 외과계도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내과계와 외과계가 함께 모여 쟁점을 정리해 모형화할 것"이라며 "도출된 모형을 토대로 시범사업을 실시, 한국 의료현실에 적합한 지 여부를 따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임 과장은 앞서 국회 공청회에 이어 호스피탈리스트에 대한 별도의 수가지원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임을 밝혔다.
그는 "입원 전담전문의라는 새로운 제도에 대해 환자들과 갈등은 없는지도 검토해야한다"며 "복지부는 별도의 수가를 마련하는 부분은 긍정적"이라고 했다.
관건은 합리적이고 현실에 맞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
이날 서울대병원 허대석 교수(종양내과)는 호스피탈리스트 제도 도입을 3단계로 나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초기 단계인 1단계에선 내과계 응급환자를 전담하는 역할을 맡는다. 2단계에선 내과 병동 즉, 입원환자 관리를 전담하고 3단계에선 내과계 이외 외과계 입원환자를 전담하는 것까지 확대하는 식이다.
허 교수는 "한국의 경우 입원환자 의학관리료가 없다보니 특이하게도 1단계, 3단계는 도입한 병원이 있는제 2단계로 진행하는 사례는 없다"며 이 부분에 대한 수가신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3월부터 호스피탈리스트 2명을 채용, 운영 중인 분당서울대병원 장학철 과장(내과)은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호소하며 신분이 보다 명확해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내과 교수 중 15~20%는 호스피탈리스트로 확보하고 그밖에 교수진은 일반 외래진료에 집중하도록 해야한다"며 "현재 진료교수 직위로 인정해주지만 급여, 학술활동지원 등 측면에서 아직까지는 신분이 불확실한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호스피탈리스트 제도가 정착하려면 교수들의 당직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그는 "현실적으로 야간, 휴일 중 내과급성기병상(AMU)에서 탄력적 인력 운영에 어려움이 많다"며 "전공의와의 관계설정도 쉽지 않은 문제"라고 했다.
또한 각 병원 내 인력난이 시급한 현안인 만큼 가능한 빠른 시일내에 모형을 만들고 시범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정부의 수가 지원은 기정사실화 되는 모양새다.
20일 서울대병원 대외협력실은 '호스피탈리스트 제도의 도입 현황과 정책과제'를 주제로 춘계 병원의료정책심포지엄을 열고 이 제도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발표에 나선 연자들은 호스피탈리스트는 장기적인 논의를 거칠 사안이 아니라 신속하게 현실 가능한 모형을 도출, 각 병원에 적용하는 게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함께 했다.
이어 호스피탈리스트는 별도의 분과 전문의가 아닌 병원 내 기존에 없던 역할이 생기는 것으로 '고용'의 문제라고 봤다.
보건복지부 임을기 과장(의료자원정책과)은 "지금까지는 내과 중심으로 모형을 구체화했지만 외과계도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내과계와 외과계가 함께 모여 쟁점을 정리해 모형화할 것"이라며 "도출된 모형을 토대로 시범사업을 실시, 한국 의료현실에 적합한 지 여부를 따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임 과장은 앞서 국회 공청회에 이어 호스피탈리스트에 대한 별도의 수가지원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임을 밝혔다.
그는 "입원 전담전문의라는 새로운 제도에 대해 환자들과 갈등은 없는지도 검토해야한다"며 "복지부는 별도의 수가를 마련하는 부분은 긍정적"이라고 했다.
관건은 합리적이고 현실에 맞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
이날 서울대병원 허대석 교수(종양내과)는 호스피탈리스트 제도 도입을 3단계로 나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초기 단계인 1단계에선 내과계 응급환자를 전담하는 역할을 맡는다. 2단계에선 내과 병동 즉, 입원환자 관리를 전담하고 3단계에선 내과계 이외 외과계 입원환자를 전담하는 것까지 확대하는 식이다.
허 교수는 "한국의 경우 입원환자 의학관리료가 없다보니 특이하게도 1단계, 3단계는 도입한 병원이 있는제 2단계로 진행하는 사례는 없다"며 이 부분에 대한 수가신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3월부터 호스피탈리스트 2명을 채용, 운영 중인 분당서울대병원 장학철 과장(내과)은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호소하며 신분이 보다 명확해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내과 교수 중 15~20%는 호스피탈리스트로 확보하고 그밖에 교수진은 일반 외래진료에 집중하도록 해야한다"며 "현재 진료교수 직위로 인정해주지만 급여, 학술활동지원 등 측면에서 아직까지는 신분이 불확실한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호스피탈리스트 제도가 정착하려면 교수들의 당직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그는 "현실적으로 야간, 휴일 중 내과급성기병상(AMU)에서 탄력적 인력 운영에 어려움이 많다"며 "전공의와의 관계설정도 쉽지 않은 문제"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