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학병원 의료진은 물론 환자와 직접 접촉이 없는 행정직원들 사이에서도 "가족, 친지, 친구들로부터 왕따가 됐다"는 '웃픈'(웃기면서 슬픈) 이야기가 있다.
평소 자주 술자리를 갖던 친구들의 연락이 뜸해지고 자주 왕래하던 친척들이 발길이 끊겼다고들 한다.
나 또한 병원 출입기자라는 이유로 가까운 친척에게 "당분간 원룸이라도 얻어서 나가야 하는 게 아니냐"는 농반진반 섞인 안부인사를 받았다.
'메르스에 대한 공포심이 이 정도인가'라는 생각에 헛웃음과 함께 섭섭함이 스쳤다.
기자가 이 정도인데 환자의 치료에 매달리고 있는 의사라면 얼마나 씁쓸할까. 게다가 병원이 메르스 감염의 숙주로 취급되는 것을 지켜보면 억울함마저 들 것이다.
어쩌면 이들이 메르스 사태의 숨겨진 피해자가 아닐까.
사실 따지고 보면 일을 키운 것은 정부였다. 투명하게 공개하고 대책을 모색하기 보다는 일단 덮고 보자는 식의 안일하고 대처가 사태를 키웠다.
메르스 사태가 걷잡을 수 없어지자 정부는 민-관대책 세미나를 여는 등 의료 전문가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실제로 전문가들이 대책 마련에 뛰어들면서 일선 현장에선 변화가 시작됐다.
의료기관명 공개를 통해 국민 스스로 격리대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적어도 의심환자가 여러 병원을 떠돌지 않게 됐으며 메르스 전담 의료기관 구축을 검토하게 됐다.
또한 여전히 부족하지만 그나마 의료기관에 메르스 의심환자 대응을 위한 구체적인 메뉴얼이 제시됐다.
왜 정책을 추진하는데 왜 전문가 필요한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의사들은 늘 말한다.
보건의료 정책을 세우기 전에 의료 전문가인 의사들과 상의해달라고. 왜 의료계와 협의조차 없이 책상머리 정책으로 일선 의료기관들의 혼란만 가중시키느냐고.
평소 의료계가 수 없이 제기한 의료정책의 구멍이 메르스 사태를 통해 그대로 드러났음을 부인하기 어렵게 됐다.
평소 자주 술자리를 갖던 친구들의 연락이 뜸해지고 자주 왕래하던 친척들이 발길이 끊겼다고들 한다.
나 또한 병원 출입기자라는 이유로 가까운 친척에게 "당분간 원룸이라도 얻어서 나가야 하는 게 아니냐"는 농반진반 섞인 안부인사를 받았다.
'메르스에 대한 공포심이 이 정도인가'라는 생각에 헛웃음과 함께 섭섭함이 스쳤다.
기자가 이 정도인데 환자의 치료에 매달리고 있는 의사라면 얼마나 씁쓸할까. 게다가 병원이 메르스 감염의 숙주로 취급되는 것을 지켜보면 억울함마저 들 것이다.
어쩌면 이들이 메르스 사태의 숨겨진 피해자가 아닐까.
사실 따지고 보면 일을 키운 것은 정부였다. 투명하게 공개하고 대책을 모색하기 보다는 일단 덮고 보자는 식의 안일하고 대처가 사태를 키웠다.
메르스 사태가 걷잡을 수 없어지자 정부는 민-관대책 세미나를 여는 등 의료 전문가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실제로 전문가들이 대책 마련에 뛰어들면서 일선 현장에선 변화가 시작됐다.
의료기관명 공개를 통해 국민 스스로 격리대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적어도 의심환자가 여러 병원을 떠돌지 않게 됐으며 메르스 전담 의료기관 구축을 검토하게 됐다.
또한 여전히 부족하지만 그나마 의료기관에 메르스 의심환자 대응을 위한 구체적인 메뉴얼이 제시됐다.
왜 정책을 추진하는데 왜 전문가 필요한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의사들은 늘 말한다.
보건의료 정책을 세우기 전에 의료 전문가인 의사들과 상의해달라고. 왜 의료계와 협의조차 없이 책상머리 정책으로 일선 의료기관들의 혼란만 가중시키느냐고.
평소 의료계가 수 없이 제기한 의료정책의 구멍이 메르스 사태를 통해 그대로 드러났음을 부인하기 어렵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