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심사실적 통계 발표…의원급 심사 진료비 12조원
지난해 표시과목별 의원급 의료기관 중 요양급여비용 증가율이 가장 높은 표시과목은 안과, 비뇨기과, 산부인과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치과 및 한방병원의 진료비 증가가 두드러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4일 심사실적을 기준으로 한 '2015년 진료비 심사실적 통계'를 공개하고, 심사한 총 진료비는 66조원(6.46%증가)이라고 밝혔다.
공개된 통계에 따르면, 입원진료비는 25조1186억원, 외래진료비는 40조839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8.27%와 5.37%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 중 건강보험 진료비는 58조170억원으로, 전년 대비 6.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의료기관 진료비는 44조9220억원으로 전년 대비 6.89% 증가했으며, 입원진료비 20조7099억원(8.67% 상승)과 외래진료비 24조2121억원(5.41% 상승)로 구성된 것으로 집계됐다.
약국 진료비의 경우 13조950억원으로 전년 대비 4.76%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추이(단위 : 억원, %)
의료기관 종별로 살펴보면, ▲의원 11조7916억원 ▲병원 9조7376억원 ▲상급종합병원 9조1596억원 순이며, 전년 대비 증가율은 치과병원 25.0%, 치과의원 18.2%, 한방병원 17.6%, 요양병원 12.4% 순이었다.
한방병원 진료비는 386억원이 증가해 2582억원, 요양병원 진료비는 4632억원이 증가해 4조2112억원으로 집계됐다.
의원급 요양급여비 증가율, 안과 두드러져
이에 따른 의원급 요양급여비용의 경우 4782억원이 증가한 11조791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4.2% 증가한 수치다.
특히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은 표시과목은 안과 10.5%, 비뇨기과 9.9%, 산부인과 7.9%, 내과 5.5% 순으로 나타났다.
내과는 1085억원이 증가한 2조653억원으로 진료비 증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의원 표시과목별 요양급여비용(단위 : 억원)
진료수가유형별 총진료비는 행위별수가가 92.91%(53조9064억원), 정액수가가 7.09%(4조 1106억원)로 구성되며, 행위별수가는 기본진료료가 26.79%, 진료행위료가 43.40%, 약품비가 26.15%, 재료대가 3.65%의 구성비를 보였다.
아울러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의료기관 이용일수는 19.6일로, 의료기관 입원일수는 2.7일, 의료기관 외래 이용일수는 16.9일, 약국 방문일수는 9.6일로 나타났다.
1인당 진료비는 115만원으로 전년 대비 6.03% 증가했으며, 1인당 진료비는 남성은 105만원으로 전년대비 6.23%가 상승하였으며, 여성은 125만원으로 전년대비 5.86%가 상승하였다.
심평원 측은 "70세 이상 진료비는 16조2326억원으로 건강보험 진료비의 27.98%를 점유했다"며 "전년 대비 11.3%의 증가율을 보여 1인당 진료비는 392만원(전체 평균의 3.4배)으로 8.21%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치과 및 한방병원의 진료비 증가가 두드러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4일 심사실적을 기준으로 한 '2015년 진료비 심사실적 통계'를 공개하고, 심사한 총 진료비는 66조원(6.46%증가)이라고 밝혔다.
공개된 통계에 따르면, 입원진료비는 25조1186억원, 외래진료비는 40조839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8.27%와 5.37%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 중 건강보험 진료비는 58조170억원으로, 전년 대비 6.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의료기관 진료비는 44조9220억원으로 전년 대비 6.89% 증가했으며, 입원진료비 20조7099억원(8.67% 상승)과 외래진료비 24조2121억원(5.41% 상승)로 구성된 것으로 집계됐다.
약국 진료비의 경우 13조950억원으로 전년 대비 4.76%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방병원 진료비는 386억원이 증가해 2582억원, 요양병원 진료비는 4632억원이 증가해 4조2112억원으로 집계됐다.
의원급 요양급여비 증가율, 안과 두드러져
이에 따른 의원급 요양급여비용의 경우 4782억원이 증가한 11조791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4.2% 증가한 수치다.
특히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은 표시과목은 안과 10.5%, 비뇨기과 9.9%, 산부인과 7.9%, 내과 5.5% 순으로 나타났다.
내과는 1085억원이 증가한 2조653억원으로 진료비 증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의료기관 이용일수는 19.6일로, 의료기관 입원일수는 2.7일, 의료기관 외래 이용일수는 16.9일, 약국 방문일수는 9.6일로 나타났다.
1인당 진료비는 115만원으로 전년 대비 6.03% 증가했으며, 1인당 진료비는 남성은 105만원으로 전년대비 6.23%가 상승하였으며, 여성은 125만원으로 전년대비 5.86%가 상승하였다.
심평원 측은 "70세 이상 진료비는 16조2326억원으로 건강보험 진료비의 27.98%를 점유했다"며 "전년 대비 11.3%의 증가율을 보여 1인당 진료비는 392만원(전체 평균의 3.4배)으로 8.21%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