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기술 수준 양호, 의약품 탐색 기술 등 원천 기술 저조
국내 의약품 개발 기술 수준이 최고 기술 보유국 미국과 대비해 4.1년 뒤쳐진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 기술 수준은 양호한 데 반해 저분자 의약품 탐색기술, 생물의약품 탐색기술 등 원천 기술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16년 보건의료·산업 기술수준 조사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기술수준 조사는 보건의료·산업 내 주요 분야의 핵심기술을 정의하고, 국가간 비교를 통해 각 기술별 수준과 위상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번 조사는 737명의 델파이 설문을 통해 전반적 기술 수준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묻는 '전문가 판단법'을 활용, 논문 및 특허의 정량적 조사를 병행했다.
보건의료·산업 전체 기술격차를 보면 보건의료·산업 전체 기술을 기준으로 주요 국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순위는 미국 1위, EU 2위, 일본 3위, 한국 4위, 중국 5위로 집계됐다.
최고 기술 보유국인 미국 대비 EU와 일본의 기술수준은 각각 87.3%, 85.5%이며, 한국은 76.1%로 기술수준 격차가 발생했다.
응답자들은 최고 기술 보유국인 미국에 대한 EU와 일본의 기술격차는 2년 이하, 한국은 3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의약품 개발 기술수준은 71.4%로 나왔다.
의약품 개발 분야 최고기술 보유국 미국 대비 기술수준은 EU 87.6%, 일본 85.0%, 한국 71.4%, 중국 63.8%이었다.
한국은 대상기술 중 의약품 제조 기술수준이 74.2%, 기술격차 3.6년으로 양호하게 나타난 데 반해, 저분자 의약품 탐색기술 69.1%(4.5년), 생물의약품 탐색기술 70.6%(4.3년), 의약품 개발기술 71.8%(4년) 등은 기술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됐다.
신약개발을 위한 정부차원의 육성에도 불구하고 주요국과의 기술수준 격차가 여전히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때, 중장기적 투자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줄기세포 개발 분야 최고기술 보유국 미국 대비 기술수준은 일본 89.2%, EU 85.1%, 한국 73.0%, 중국 70.8%으로 나타났다.
줄기세포 개발 분야 치료법개발 기술과 비임상·임상시험기술활용 기술격차는 모두 3.6년이었다.
한국은 대상 기술 중 치료법개발 기술수준이 비임상·임상시험 기술활용 수준보다 다소 높은 편이었다.
질환 유전체 임상응용 분야, 유전체 기반기술 개발 분야를 포함한 유전체 개발 분야의 최고기술 보유국 미국 대비 기술수준은 EU 88.2%, 일본 83.7%, 한국 70.6%, 중국 70.0%이었다.
질환유전체 임상응용 분야 기술수준이 69.3%, 기술격차 3.7년, 유전체 기반기술 개발 분야 기술수준 71.8%, 기술격차 3.1년 등으로 낮게 나타났다.
질환 유전체 임상응용 분야 최고기술 보유국 미국 대비 기술수준은 EU 87.6%, 일본 83.3%, 한국 69.3%, 중국 64.4%이었다.
한국은 대상기술 중 암 유전체 임상응용 기술수준이 71.4%, 기술격차 3.3년으로 양호하게 나타난 반면, 희귀질환 유전체 임상응용 기술수준 68.8%, 복합질환 유전체 임상응용 기술수준은 67.7%로 낮게 나타났다.
유전체 기반기술 개발 분야 최고기술 보유국 미국 대비 기술수준은 EU 88.7%, 일본 84.0%, 중국 75.5%, 한국 71.8% 등으로 한국이 중국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 한국은 대상기술 중 유전체정보 통계분석 기술이 기술수준 73.2%, 기술격차 3.0년으로 가장 양호하며, 유전체 서열분석 기술 72.2%, 기능유전체 기술 71.6%, 빅데이터기술 70.2% 등으로 조사됐다.
제조 기술 수준은 양호한 데 반해 저분자 의약품 탐색기술, 생물의약품 탐색기술 등 원천 기술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16년 보건의료·산업 기술수준 조사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기술수준 조사는 보건의료·산업 내 주요 분야의 핵심기술을 정의하고, 국가간 비교를 통해 각 기술별 수준과 위상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번 조사는 737명의 델파이 설문을 통해 전반적 기술 수준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묻는 '전문가 판단법'을 활용, 논문 및 특허의 정량적 조사를 병행했다.
보건의료·산업 전체 기술격차를 보면 보건의료·산업 전체 기술을 기준으로 주요 국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순위는 미국 1위, EU 2위, 일본 3위, 한국 4위, 중국 5위로 집계됐다.
최고 기술 보유국인 미국 대비 EU와 일본의 기술수준은 각각 87.3%, 85.5%이며, 한국은 76.1%로 기술수준 격차가 발생했다.
응답자들은 최고 기술 보유국인 미국에 대한 EU와 일본의 기술격차는 2년 이하, 한국은 3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의약품 개발 분야 최고기술 보유국 미국 대비 기술수준은 EU 87.6%, 일본 85.0%, 한국 71.4%, 중국 63.8%이었다.
한국은 대상기술 중 의약품 제조 기술수준이 74.2%, 기술격차 3.6년으로 양호하게 나타난 데 반해, 저분자 의약품 탐색기술 69.1%(4.5년), 생물의약품 탐색기술 70.6%(4.3년), 의약품 개발기술 71.8%(4년) 등은 기술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됐다.
신약개발을 위한 정부차원의 육성에도 불구하고 주요국과의 기술수준 격차가 여전히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때, 중장기적 투자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줄기세포 개발 분야 최고기술 보유국 미국 대비 기술수준은 일본 89.2%, EU 85.1%, 한국 73.0%, 중국 70.8%으로 나타났다.
줄기세포 개발 분야 치료법개발 기술과 비임상·임상시험기술활용 기술격차는 모두 3.6년이었다.
한국은 대상 기술 중 치료법개발 기술수준이 비임상·임상시험 기술활용 수준보다 다소 높은 편이었다.
질환 유전체 임상응용 분야, 유전체 기반기술 개발 분야를 포함한 유전체 개발 분야의 최고기술 보유국 미국 대비 기술수준은 EU 88.2%, 일본 83.7%, 한국 70.6%, 중국 70.0%이었다.
질환유전체 임상응용 분야 기술수준이 69.3%, 기술격차 3.7년, 유전체 기반기술 개발 분야 기술수준 71.8%, 기술격차 3.1년 등으로 낮게 나타났다.
질환 유전체 임상응용 분야 최고기술 보유국 미국 대비 기술수준은 EU 87.6%, 일본 83.3%, 한국 69.3%, 중국 64.4%이었다.
한국은 대상기술 중 암 유전체 임상응용 기술수준이 71.4%, 기술격차 3.3년으로 양호하게 나타난 반면, 희귀질환 유전체 임상응용 기술수준 68.8%, 복합질환 유전체 임상응용 기술수준은 67.7%로 낮게 나타났다.
유전체 기반기술 개발 분야 최고기술 보유국 미국 대비 기술수준은 EU 88.7%, 일본 84.0%, 중국 75.5%, 한국 71.8% 등으로 한국이 중국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 한국은 대상기술 중 유전체정보 통계분석 기술이 기술수준 73.2%, 기술격차 3.0년으로 가장 양호하며, 유전체 서열분석 기술 72.2%, 기능유전체 기술 71.6%, 빅데이터기술 70.2% 등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