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 길병원 전영우 교수, 실험쥐 대상으로 연구 발표
최저 20%에 불과한 지방이식의 생착률을 인슐린으로 80% 수준으로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생착률은 이식한 지방이 체내로 흡수되지 않고 정착하는 비율을 말한다.
가천대 길병원은 27일 성형외과 전영우 교수(사진) 주도로 실험용 쥐 30마리를 이용해 지방조직과 식염수, 지방유래 줄기세포, 인슐린 등 각종 재료를 혼합해 이식한 결과, 인슐린을 이식한 군에서 지방 조직의 생존율과 분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실험은 30마리 쥐의 등을 A~D까지 4개 구역으로 나눠 진행했다. A군(대조군)에는 지방조직과 인산염완충식염수, B군은 지방조직과 지방유래 줄기세포, C군은 지방조직과 지방유래 줄기세포, 인산염완충식염수, D군에는 지방조직과 지방유래 줄기세포, 인슐린을 주입했다.
그런 다음 생체 내 영상시스템으로 이식된 줄기세포의 녹색형광단백질발현을 관찰했다.지방의 부피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인슐린이 투입된 D군의 지방부피가 가장 컸고 A군이 가장 작았다.
A군은 183.3mL, B군은 208.2mL, C군은 212.1mL, D군은 233.4mL이었다. 최초로 이식된 지방과 비교한 부피의 비율의 경우 A군 61.1%, B군 69.41%, C군 70.68%, D군 77.8%로 D군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분석은 최초로 지방이 이식된 후 지방세포가 충분히 생착할 수 있는 기간인 8주가 된 시점에 이뤄졌다.
전영우 교수는 "인슐린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성숙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인슐린을 피하에 반복적으로 투여하면 인슐린 유발 지방 비대증 같은 합병증이 생기곤 했다"고 밝혔다.
이어 "인슐린은 외부 성장 및 분화 신호를 분화중인 지방세포에 전달한다"며 "결국 일부 지방유래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방이식된 세포는 모든 쥐의 등에 덩어리로 존재했고 이들 모두에게서 급성 염증이나 괴사와 같은 이상 반응이 없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성형외과 학술지인 PRS(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에 실렸다.
가천대 길병원은 27일 성형외과 전영우 교수(사진) 주도로 실험용 쥐 30마리를 이용해 지방조직과 식염수, 지방유래 줄기세포, 인슐린 등 각종 재료를 혼합해 이식한 결과, 인슐린을 이식한 군에서 지방 조직의 생존율과 분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실험은 30마리 쥐의 등을 A~D까지 4개 구역으로 나눠 진행했다. A군(대조군)에는 지방조직과 인산염완충식염수, B군은 지방조직과 지방유래 줄기세포, C군은 지방조직과 지방유래 줄기세포, 인산염완충식염수, D군에는 지방조직과 지방유래 줄기세포, 인슐린을 주입했다.
그런 다음 생체 내 영상시스템으로 이식된 줄기세포의 녹색형광단백질발현을 관찰했다.지방의 부피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인슐린이 투입된 D군의 지방부피가 가장 컸고 A군이 가장 작았다.
A군은 183.3mL, B군은 208.2mL, C군은 212.1mL, D군은 233.4mL이었다. 최초로 이식된 지방과 비교한 부피의 비율의 경우 A군 61.1%, B군 69.41%, C군 70.68%, D군 77.8%로 D군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분석은 최초로 지방이 이식된 후 지방세포가 충분히 생착할 수 있는 기간인 8주가 된 시점에 이뤄졌다.
전영우 교수는 "인슐린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성숙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인슐린을 피하에 반복적으로 투여하면 인슐린 유발 지방 비대증 같은 합병증이 생기곤 했다"고 밝혔다.
이어 "인슐린은 외부 성장 및 분화 신호를 분화중인 지방세포에 전달한다"며 "결국 일부 지방유래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방이식된 세포는 모든 쥐의 등에 덩어리로 존재했고 이들 모두에게서 급성 염증이나 괴사와 같은 이상 반응이 없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성형외과 학술지인 PRS(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