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협·협회, 국회 기자회견 "이송 체제 정립과 건강보험 적용 시급"
민간 이송업체 인증, 질 관리 필요 "응급구조사 업무범위 개선해야"
응급구조사 협회와 응급구조학과 대학 교수들이 허술한 중증 응급환자 병원 간 전원 체계 개선을 국회에 강력히 요청했다.
전국 응급구조학과 교수협의회와 응급구조사협회, 병원응급구조사회는 7일 오후 2시 국회 정문 앞에서 '병원 간 중증 응급환자 및 중증 외상환자 방치 상태 관련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날 응급구조사 관련 단체는 "2013년 이후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 전, 이송 조정, 병원 간 전원업무를 담당하고 있지만 역할이 유명무실하다"면서 "정부와 응급의료기관 간 정보 연계가 불가능하고,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의료기관 이해가 부족하다. 구급차 의무 배치기준을 완화해 민간이송업자에게 떠넘긴 부분도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이들은 환자 상태별 특화된 이송 체제 모델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중증 응급환자 이송의 경우, 의사 1명과 응급구조사 또는 간호사 1명 구급차 탑승을, 준중증 응급환자는 응급구조사 또는 간호사 등 총 2명 구급차 탑승 모델이다.
응급구조사들은 새로운 이송체계 모델을 위해 지역 거점 중증응급의료센터 구축과 이송인력 건강보험 편입 등 국가적 책무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민간이송단 관리 감독과 재난 대응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지역 보건소 응급의료 인력을 확충하고, 시도 응급의료위원회 활성화와 전문성 강화를 통해 지역 완결형 응급의료체게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응급구조사협회 관계자는 "민간 이송단의 경우 정부와 지자체 주도 엄정한 인증을 통해 전체 질 향상이 필요하다"면서 "전원체계 개선과 함께 국가 재난상황에서 응급구조사가 적극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업무범위 개정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전국 응급구조학과 교수협의회와 응급구조사협회, 병원응급구조사회는 7일 오후 2시 국회 정문 앞에서 '병원 간 중증 응급환자 및 중증 외상환자 방치 상태 관련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날 응급구조사 관련 단체는 "2013년 이후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 전, 이송 조정, 병원 간 전원업무를 담당하고 있지만 역할이 유명무실하다"면서 "정부와 응급의료기관 간 정보 연계가 불가능하고,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의료기관 이해가 부족하다. 구급차 의무 배치기준을 완화해 민간이송업자에게 떠넘긴 부분도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이들은 환자 상태별 특화된 이송 체제 모델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중증 응급환자 이송의 경우, 의사 1명과 응급구조사 또는 간호사 1명 구급차 탑승을, 준중증 응급환자는 응급구조사 또는 간호사 등 총 2명 구급차 탑승 모델이다.
응급구조사들은 새로운 이송체계 모델을 위해 지역 거점 중증응급의료센터 구축과 이송인력 건강보험 편입 등 국가적 책무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민간이송단 관리 감독과 재난 대응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지역 보건소 응급의료 인력을 확충하고, 시도 응급의료위원회 활성화와 전문성 강화를 통해 지역 완결형 응급의료체게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응급구조사협회 관계자는 "민간 이송단의 경우 정부와 지자체 주도 엄정한 인증을 통해 전체 질 향상이 필요하다"면서 "전원체계 개선과 함께 국가 재난상황에서 응급구조사가 적극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업무범위 개정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