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항생제 사용량 OECD 3번째…의사들도 "과하다"

발행날짜: 2021-10-20 09:24:59
  • 2019년 기준 그리스·터키에 이어 3위로 높아
    남인순 의원 "항생제 내성위기 극복 앞장서야"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한국이 여전히 인체 항생제 사용량이 OECD국가 평균보다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20일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국내 인체 항생제 사용량이 26.1DID(DID: DDD/1,000명/일)로 OECD 29개국 중 그리스와 터키에 이어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 의원은 "지난 2016년 영국에서 발표한 항생제 내성 관련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항생제 내성으로 2050년이 되면 3초마다 1명이 슈퍼박테리아로 목숨을 잃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 바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원이 올해 항생제내성 감시 등 WHO 협력센터로 지정된 만큼 항생제 내성 감시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항생제 내성 위기 극복을 위해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료: 질병관리청. 그래픽: 메디칼타임즈 재구성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WHO의 '항생제 내성 표준 및 원헬스 연구 협력센터'로 지정돼 올해 3월 현판식을 실시, 2025년 2월까지 4년 간 항생제내성 감시 및 품질평가분야 WHO 협력센터로 활동할 예정이다.

남인순 의원은 "질병관리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연구결과 75개 병원에서 처방한 항생제 중 26.1%가 부적정 처방(치료목적 처방 22.3%, 내과적 예방적 항생제 25.8%, 수술전 예방적 항생제 37.7%가 부적정 처방)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지난해 10월부터 12월 의료기관 의사를 대상으로 '항생제 내성 인식·실천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과도한 항생제 사용에 대해 34.9%가 '약한긍정', 45.%가 '강한긍정'이라고 답했다.

즉, 의사들도 절반 가까이 항생제 사용이 과도하다고 생각한다는 얘기다.

의료기관의 부실한 감염관리에 대해서도 '약한긍정' 34.4%, '강한긍정' 32.8%로 나타났고, 항생제 사용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나 정보의 부족에 대해 '약한긍정' 39.0%, '강한긍정' 34.4%을 보였다.

항생제 사용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수립 및 실행에 대해 '약한긍정' 26.2%, '강한긍정' 34.4%로 집계됐다.

남인순 의원은 "대부분의 의사들이 항생제를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반면, 항생제 사용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나 정보가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면서 "이와 관련 교육 및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질병관리청뿐만 아니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차원에서도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억제하고 합리적으로 처방할 수 있도록 심사평가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0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