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학술팀 이인복 기자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해 한시적으로 인정됐던 온라인 학술대회 지원 방안이 또 다시 변곡점을 맞고 있다.
지난 2020년 말 그대로 한시적 예외 규정으로 인정됐던 제도가 1차례 연장 끝에 오는 6월 30일 그 효력이 끝나기 때문이다.
현재 보건복지부와 대한의학회 등이 논의를 거쳐 재연장을 추진중에 있다는 점에서 또 다시 1년간 이 효력은 연장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하지만 여전히 한시적 예외조치를 연장할 뿐이라는 점에서 한계는 여전하다.
지난 2020년 코로나가 전 세계를 덮치면서 의학계는 정상적인 학술 활동이 불가능할 정도의 위기를 맞은 것이 사실이다.
코로나 초기 예정됐던 춘계학술대회는 줄줄이 취소되거나 연기됐고 결국 복지부와 의학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등 산업계는 결국 온라인 학회에서 그 해법을 찾기 시작했다.
시행 초기 많은 시행착오와 논란에도 온라인 학회는 2년간 이어지며 학술 활동의 중심축으로 자리잡았다.
정부의 엔데믹 선언으로 사실상 일상 회복이 이뤄지고 있는 현재도 상당수 학회들은 온라인 학회 플랫폼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그 방증이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학회는 여전히 불안정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를 인정하는 근거가 코로나 대유행 초기에 마련된 '한시적 예외 조항'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학회들이 올해 초 추계학술대회 계획을 제대로 확정하지 못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과연 6월말로 끝나는 한시적 지원 방안이 연장될지 여부가 불투명했기 때문이다.
이는 비단 올해에 특정해 일어난 일도 아니다. 지난해에도 1년으로 한정됐던 온라인 학회 지원 방안이 연장될지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각 학회들은 추계학술대회를 준비해야 했다. 1년 연장안이 발표된 것이 종료일을 얼마 남기지 않은 6월 말이었다.
올해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온라인 학회 인정 방안이 불과 10일 후면 효력이 끝나지만 아직까지 연장 여부는 결정되지 못한 상태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각 학회들은 불투명한 상황속에서 플랜B, 플랜C를 고민하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는 상태다.
이러한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지적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 배경도 여기에 있다. 언제까지 이러한 불안한 상황속에서 학술대회를 준비해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 의구심이다.
코로나는 비단 학계 뿐 아니라 수많은 일상과 산업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오프라인에 익숙했던 환경은 온라인으로 급속도로 전환됐고 많은 시행착오 끝에 이미 상당 부분은 온라인 환경으로 고착화된 상태다.
그만큼 이를 뒷받침하는 기술들도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상상속의 기술로만 여겨졌던 가상현실이나 메타버스와 같은 환경은 이미 생활 곳곳에 적용되고 있다. 말 그대로 격변이다.
이에 수십년간 이어진 학술활동을 어떠한 방식으로 정착시킬지에 대한 고민은 피할 수 없는 시대 흐름으로 다가오고 있다.
미봉책이라고 여겼던 온라인 학회는 물리적, 시간적 한계를 뛰어넘는 장점을 기반으로 여전히 주류가 되고 있고 이제는 하이브리드학회 방식이 대두되며 온·오프라인의 장점을 취합하는 중이다.
하지만 여전히 온라인 학회, 하이브리드 학회는 한시적이라는 제한에 걸려 1년씩 생명을 연장하는 중이다. 이미 시대가 눈부시게 변화하고 있는데도 여전히 망설이고 있는 셈이다.
그렇기에 이제는 과연 어떠한 방식이 가장 이상적인 학술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대승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과 같이 1년씩 '한시적'으로 지원 방안을 연장하는 방식으로는 혼란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온라인 학회를 몇명까지 인정하느냐, 광고 갯수를 몇개 늘리느냐에 대한 부분이 아니다. 이미 2년간 시험한 제도에 여전히 '한시적'이라는 꼬리표를 달아둔 채 1년씩 생명만 연장하며 세부 조항만 다듬는 것이 올바른지 돌아봐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