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이호영 교수, 국내 생태계 한계 지적
글로벌 진출 필수 요소로 제시…"사업 모델 명확해야"
현재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한계가 분명한 만큼 세계적 수요에 맞춘 글로벌 진출을 필수 요소로 생각하지 않으면 성장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한 현재 주목받고 있는 의료 인공지능(AI)의 경우 사업 모델 자체가 불투명한 만큼 이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는 기업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의 주장이다.
이호영 분당서울대병원 정보화실장(핵의학과)은 29일부터 3일간 코엑스에서 진행중인 국제병원의료산업박람회(K-HOSPITAL FAIR 2022)에서 이같은 의견을 내놨다.
GE헬스케어가 주최한 '지속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에코시스템 파트너쉽' 세션에서 주제 발표를 맡은 이호용 실장은 우선 현재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한계과 가능성을 지적했다.
이호영 실장은 "디지털헬스케어, 특히 AI 기술이 상당한 수준으로 성숙해지고 있고 전망 또한 매우 유망하게 내다보고 있다"며 "특히 코로나 펜데믹으로 예상보다 가파를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그는 "특히 AI에 대한 대대적 투자가 이어지고 있고 이에 대한 사업 보멜 또한 다양화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AI를 도입한 의료기관과 아닌 의료기관 사이에 평판과 신뢰에 영향을 줄 만큼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그는 현재 AI 모델들이 분명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기술은 충분히 무르익었지만 실제 임상 현장의 수요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술을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도 산업의 전망을 불투명하게 하고 있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이호영 실장은 "기술은 충분하지만 임상 현장과의 괴리로 인해 불과 51%만이 실제 파일럿 제품에서 상용화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의료기관이 필요로 하는 제품을 만드는 곳은 더욱 적은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AI 기술을 의료기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용과 시간이 투자되는데 과연 어떤 가치를 줄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며 "결국 인력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가, 비용을 얼마나 아낄 수 있는가를 제시하는 모델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그는 앞으로 AI 기술을 평가하는데 이러한 부분이 매우 중요해 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임상시험 단계부터 이를 요구할 수 밖에 없는 시점이 왔다고 정의했다.
이호영 실장은 "지금까지 AI 모델은 이미지나 영상을 통해 진단을 도와주는 솔루션에 머물러 있으며 이 또한 일부 질환이나 이미지에 한정돼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병원에 도입하기에 수많은 제한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현재 AI 모델들은 후향적 연구가 대부분이지만 앞으로 전향적 임상 검증 요구가 늘어나며 수준 높은 근거를 요구하게 될 것"이라며 "결국 어떠한 가치를 만들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 없는 모델들은 모두 사장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한 면에서 그는 앞으로의 AI 모델들은 세계 시장의 수요를 맞출 수 있는 수준으로 성장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렵다는 전망을 내놨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GE헬스케어의 에디슨 액설러레이터 프로그램 등의 도구를 활용해 설계 단계부터 세계 시장을 노려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호영 실장은 "솔직히 현재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은 산업이라고 볼수도 없다"며 "산업은 시장이 존재해야 하고 비지니스 모델이 분명해야 하는데 지속가능한 모델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으로 허상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시장을 바라보며 모델 개발을 해서는 절대로 살아남을 수 없다"며 "좋은 기술을 가진 기업들이 국제 표준에 맞춰 제품을 개발해 미국과 유럽으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으로 GE헬스케어와 진행중인 에디슨액설러레이터 프로그램 등이 매우 좋은 인큐베이팅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