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토닌 새 효용…청소년기 자해 위험 감소

발행날짜: 2023-03-29 11:51:41
  • 스웨덴 솔나 카롤린스카 연구소, 2만 5천여명 코호트
    투약 후 100인년당 여성 자해 발생률 18.2→11.1로 감소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멜라토닌이 수면 장애 개선 및 우울증, 불안감 감소를 통해 의도적인 자해 위험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솔나 카롤린스카 연구소 마리카 리온 등 연구진이 진행한 청소년에 대한 멜라토닌 투약과 자해의 상관성 연구 결과가 아동심리학 및 정신의학 저널에 23일 게재됐다(doi.org/10.1111/jcpp.13785).

멜라토닌은 인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수면을 유도하고 성장호르몬 분비를 돕는 역할을 한다.

자료사진

연구진은 청소년기의 수면 장애는 자살 행동을 포함한 부상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점에 착안, 실제 멜라토닌 처방이 수면 장애 개선 및 부상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는지 조사에 착수했다.

6~18세 사이 멜라토닌 치료를 시작한 2만 5575명의 스웨덴 청소년을 대상으로 회귀 분석을 사용해 멜라토닌 치료 시작 전후의 부상률을 추정했다. 부상은 입원 또는 외래 방문, 부상 진단은 ICD-9 및 ICD-10 시스템에 따라 식별 분류했다.

이어 신체 부상, 낙상, 고의적인 자해, 의도치 않은 중독와 같은 특정 유형의 부상도 조사했다.

분석 결과 멜라토닌 치료 개시 전후에 신체 부상, 낙상, 이동중 사고율은 비슷했지만, 약물 투여 직전 수개월 동안 자해 위험이 높았던 반면 투약 이후는 위험이 감소했다.

이런 경향은 우울증 및/또는 불안감이 있는 청소년에게서 두드러졌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절대적인 위험도가 더 높았다.

약물 투여 전 100인년당 자해 발생률(incidence rates, IR)은 여성에서 18.2, 남성에서 2.9였지만 멜라토닌 처방 후 IR은 각 11.1, 1.4로 감소했다.

연구진은 "우울증과 불안감을 가진 청소년 중 특히 여성에서 멜라토닌 치료를 시작한 후 의도적인 자해 위험이 감소했다"며 "이는 해당 집단의 자해 위험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수면 개입을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학술 기사

댓글 2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아이고 2019.12.22 13:40:25

    뭐하는 짓입니까
    무슨 물건취급을 ㅋ
    어그로기사가 따로없네요ㅋ

    평생 삼교대해야하는 삶을 살기전에 쉬는 신규 간호사에게 무슨짓입니까
    몇개월이라고 하면 당연히 계약직으로 계약할거고
    그럼 최저시급단위로 계산할텐데 박봉으로 의미있게 숫자나 채우며 부려먹겠다는 의미로밖에 ㅎ
    무슨 라이센스를 껌값으로 부려먹나요. 안그래도 박봉인데
    아님 상생이라고 하던데 그 시기부터 본 병원 근무로 쳐줍니까? ㅋ
    숙소는 주나 모르겠다..
    바로 가자마자 일이라는걸 해야되는데
    중소병원에 들어가기전에 실무오티를 대형병원이 대신해주나요?
    더불어 신규를 2번이나 겪는 신규 간호사는 뭔 잘못이고
    아무것도 모르는 신규 간호사와 계속 가르쳐주며 일해야하는 중소병원에 근무하시는 간호사는 뭔 잘못이고
    마음이 이미 떠버린 간호사에게 출근을 독려해야하는 관리자는 뭔 잘못이며
    그 간호사에게 간호를 받아야되는 환자는 뭔 잘못이죠?
    저 논의안에 간협이 들어가서 이야기했나 싶네요
    그거에 동의한 간협이라면 노답이고 ㅎ

    정책에 대해 이끌어갈 자신이 없으면 하지말아야죠
    그걸 어떻게든 하려고 하지말고
    더불어 그걸 힘없는 집단 핑계에 손해안보려고 하지말고
    정신 좀 차리세요 ㅋ

  • 간호사 2019.12.21 15:42:44

    웃기고있네
    누가 일해준다고 하니? 기가막혀서 ㅋㅋㅋㅋ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