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등 34개 시·군 응급의료기관 순차적 설치 및 운영
수용 병원 확정 시 타 병원 신호 자동 소등…의료현장 효율성 강화
경상남도가 전국 최초로 119 구급대가 응급환자를 이송할 때 수용 가능 병원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광등 알림 시스템'을 도입했다.
경남도는 9일, 119구급스마트시스템과 이송정보시스템을 연동한 이 시스템을 지난달부터 창원시를 포함한 도내 34개 시·군 응급의료기관에 순차적으로 설치해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구급대원이 환자의 상태에 맞는 응급의료기관을 119구급스마트시스템에 입력하면, 선택된 병원의 경광등이 즉시 점멸하는 방식이다.
경광등이 켜진 병원에서는 환자 정보를 이송정보시스템을 통해 확인한 뒤 수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한 병원이 '수용' 버튼을 누르면, 동시에 다른 병원들의 경광등은 자동으로 꺼지며, 수용 병원이 최종 확정된다.
경남도의 경광등 알림 시스템 도입은 응급환자 이송 과정에서 병원 선택과 수용 여부를 보다 신속하고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돼, 골든타임 확보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앞서 경남도는 '응급실 뺑뺑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24시간 365일 운영하는 '경상남도 응급의료상황실'을 가동한 바 있다.
응급의료상황실은 병원의 수술가능 여부와 가용 병상, 치료가능 과목 등이 표출되는 상황실 상황판을 통해 응급환자에게 맞는 적정한 병원을 선별해 구급대원에게 더 빠르게 이송병원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맡는다.
응급의료상황실 가동 후 시행 1개월 만에 총 21건의 응급의료상황을 해소하고 9건의 환자 불수용 사례를 관리하는 등 응급의료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했다.
구체적으로 2023년 12월 양산에 거주하는 30대 임산부가 진통이 시작되었으나 도내 병원은 전문의 부재 등으로 이송병원 선정 어려움이 있어 상황실에서 부산에 있는 병원을 신속히 선정해 이송 조치한 사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