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스-에드워즈라이프사이언시스, 3D 초음파 맞손
지멘스-보스톤사이언티픽 파트너쉽 등 이합집산 활발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들이 심장 분야에서 연이어 연합 전선을 구축하며 새로운 영역을 찾아나서고 있다.
지멘스헬시니어스와 보스톤사이언티픽이 새로운 연합을 구성한데 이어 곧바로 필립스와 에드워즈라이프사이언시스가 힘을 합치며 새로운 전선을 구축한 것이다.

25일 의료산업계에 따르면 필립스와 에드워즈라이프사이언시스가 인공지능을 활용해 TEER 시술을 시각화하는 기술에 대한 공동 개발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TEER 시술은 심장판막 질환의 치료법으로 승모판 역류가 일어나는 환자의 판막을 클립 등으로 집어 혈액 역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현재 에드워즈라이프사이언시스는 TAVI 시술에 사용되는 사피엔3와 함께 TEER 시술에 활용하는 파스칼(PASCAL) 제품을 가지고 있는 상태.
문제는 TEER 시술을 진행할 경우 엑스레이와 초음파 이미지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장기는 3차원으로 움직이지만 2차원 이미지를 보면서 이를 해부학적 지식에 의존해 찾아나가야 한다는 의미다.
이번에 필립스와 에드워즈라이프사이언시스가 내놓은 기술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2차원 영상 데이터를 결합해 3D로 시각화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이 골자다.
시술에 필요한 카테터가 움직이는대로 3D 이미지를 보여줘 의사가 보다 쉽게 카테터를 넣게 해주는 셈이다.
특이할만한 점은 이러한 기술이 지멘스헬시니어스와 보스톤사이언티픽이 차세대 이미징 기술에 대한 공동 개발을 알린지 몇 일만에 공개됐다는 점이다.
앞서 지멘스와 보스톤사이언티픽은 심장의 움직임과 혈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AcuNav 4D' 공동 개발 소식을 알린 바 있다.
이 기술 또한 지금까지 엑스레이 등에 의존했던 심장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보여줘 의사의 시술을 돕는 것이 골자다.
파트너쉽에 따라 지멘스는 좌심방 폐쇄술에 활용하는 보스톤사이언티픽의 워치맨(Watchman)과 심방세동 치료에 사용하는 펄스장 절제술(PFA) 기기인 파라펄스(Farapulse)에 이 기술을 독점 제공하게 된다.
심장 시술에 활용하는 하드웨어를 가진 기업은 차세대 이미징 기술을 확보하고 영상 기업은 안정적 판매처를 가져가는 윈윈 전략이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들간에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필립스 최고의학책임자(CMO) 아툴 굽타(Atul Gupta)는 "이 신기술을 활용하면 이전에 불가능했던 깊이와 방향에서 시술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