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1~6월 조사 결과…"성공적 정착" 평가
올 1월부터 시행된 의약품코드 일원화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기관의 '국가 의약품표준코드' 사용률이 99.99%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는 지난 6월중 조사한 결과 요양기관이 청구한 요양급여비용 청구명세서의 의약품 신코드 사용율이 99.99%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의약품코드는 요양기관의 보험청구 분야에서는 '의약품제품코드(EDI)'를 사용하는 반면, 제약회사, 도매상 등 유통분야에서는 '국가 의약품표준코드(KD코드 : Korea Drug Code)'를 각각 사용함으로서 일원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보험 청구분야에서도 '국가 의약품표준코드(KD코드)'를 사용하기 위해 지난해 준비작업을 거쳐 올 1월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심평원 조사결과에 따르면 1월부터 요양기관에서 변경된 "국가 의약품표준코드'로 보험급여 청구함에 있어 신코드 사용율이 98.90%에 달했다.
이후 구코드를 사용하는 요양기관에 대한 계도․안내를 지속해 올 6월 청구 약제비의 신코드 청구율이 99.99%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이러한 제도 정착의 성공요인으로 요양기관과 청구SW업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가장 큰 요인이었다고 밝혔다.
심평원은 의약품의 제조(생산·수입), 유통(도매), 사용(병·의원, 약국), 보험(청구,심사)에 이르는 의약품산업 전 분야에서 '국가 의약품표준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의약품 물류 관리의 효율성 제고 및 시범사업 중인 처방조제지원시스템(DUR)과 같이 업계간 정보 연계업무 확대와 병원정보화의 발전을 위한 기반 조성으로 의료선진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는 지난 6월중 조사한 결과 요양기관이 청구한 요양급여비용 청구명세서의 의약품 신코드 사용율이 99.99%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의약품코드는 요양기관의 보험청구 분야에서는 '의약품제품코드(EDI)'를 사용하는 반면, 제약회사, 도매상 등 유통분야에서는 '국가 의약품표준코드(KD코드 : Korea Drug Code)'를 각각 사용함으로서 일원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보험 청구분야에서도 '국가 의약품표준코드(KD코드)'를 사용하기 위해 지난해 준비작업을 거쳐 올 1월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심평원 조사결과에 따르면 1월부터 요양기관에서 변경된 "국가 의약품표준코드'로 보험급여 청구함에 있어 신코드 사용율이 98.90%에 달했다.
이후 구코드를 사용하는 요양기관에 대한 계도․안내를 지속해 올 6월 청구 약제비의 신코드 청구율이 99.99%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이러한 제도 정착의 성공요인으로 요양기관과 청구SW업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가장 큰 요인이었다고 밝혔다.
심평원은 의약품의 제조(생산·수입), 유통(도매), 사용(병·의원, 약국), 보험(청구,심사)에 이르는 의약품산업 전 분야에서 '국가 의약품표준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의약품 물류 관리의 효율성 제고 및 시범사업 중인 처방조제지원시스템(DUR)과 같이 업계간 정보 연계업무 확대와 병원정보화의 발전을 위한 기반 조성으로 의료선진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