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업체 데이터 제공 활성화 위해 시스템 고도화 추진
"정부가 민간 업계를 뒷받침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해 개설해 운영 중인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이하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민간업계의 빅데이터 제공 활성화에 나선다.
심평원 이태선 의료정보융합실장은 지난 27일 출입기자협의회와 가진 간담회를 통해 현재 추진 중인 시스템 고도화 계획을 공개했다.
지난 2015년부터 심평원은 시스템 가동을 통해 ▲진료내역 및 의료자원정보 ▲환자데이터셋 등 공공데이터와 Open API(개방형 환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빅데이터센터 이용 및 관리를 위한 의료빅데이터 ▲진료정보·의약품·청구경향·의료자원 등의 정보를 개인정보보호법에 저촉되지 않도록 비식별화해 통해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일선 민간업체들에선 심평원의 시스템 활용이 시간적인 면이나 활용적인 면에서 뒤떨어진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실제로 A의과대학 교수는 "심평원 등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는 질적인 면에서 상당히 활용가치가 높다"며 "하지만 필요한 데이터를 받기 위해선 절차적인 면에서 상당히 까다롭다. 더구나 개인정보보호법 문제로 필요한 데이터를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다.
심평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스템의 고도화를 추진키로 했다.
이른바 '데이터셋 자동 추출 시스템' 적용 등을 통해 민간업체들이 원하는 빅데이터 활용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태선 실장은 "시스템의 클라우드 환경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그동안은 민간업체들이 일정 보건·의료 데이터를 요구할 경우 일정 직원들이 이를 할당해 주는 시스템이었는데 데이터셋 활성화가 이뤄진다면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동적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실장은 "향후에는 민간업체와 함께 시스템에서 함께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만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방침"이라며 "민간업체들의 개발에 공공기관이 뒷받침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을 듣지 않도록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기본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바탕으로 심평원은 시스템을 이른바 '빅데이터 프리존'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 실장은 "최근 많은 정부기관들이 축적한 데이터를 융합해 민간에 제공하려는 방안을 추진했었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 문제로 인해 이러한 데이터를 비식별화로 처리해야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 같은 문제를 고민하다 심평원은 2015년 시스템을 개발해 제공해 주는 방안을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즉 시스템을 마련해 그 안에 있는 데이터는 민간업체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프리존을 제공한 것"이라며 "최근 서울시와 통계청도 심평원이 도입한 방안을 도입하려고 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프리존 개념인 시스템을 더욱 활성화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해 개설해 운영 중인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이하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민간업계의 빅데이터 제공 활성화에 나선다.
심평원 이태선 의료정보융합실장은 지난 27일 출입기자협의회와 가진 간담회를 통해 현재 추진 중인 시스템 고도화 계획을 공개했다.
지난 2015년부터 심평원은 시스템 가동을 통해 ▲진료내역 및 의료자원정보 ▲환자데이터셋 등 공공데이터와 Open API(개방형 환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빅데이터센터 이용 및 관리를 위한 의료빅데이터 ▲진료정보·의약품·청구경향·의료자원 등의 정보를 개인정보보호법에 저촉되지 않도록 비식별화해 통해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일선 민간업체들에선 심평원의 시스템 활용이 시간적인 면이나 활용적인 면에서 뒤떨어진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실제로 A의과대학 교수는 "심평원 등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는 질적인 면에서 상당히 활용가치가 높다"며 "하지만 필요한 데이터를 받기 위해선 절차적인 면에서 상당히 까다롭다. 더구나 개인정보보호법 문제로 필요한 데이터를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다.
심평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스템의 고도화를 추진키로 했다.
이른바 '데이터셋 자동 추출 시스템' 적용 등을 통해 민간업체들이 원하는 빅데이터 활용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태선 실장은 "시스템의 클라우드 환경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그동안은 민간업체들이 일정 보건·의료 데이터를 요구할 경우 일정 직원들이 이를 할당해 주는 시스템이었는데 데이터셋 활성화가 이뤄진다면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동적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실장은 "향후에는 민간업체와 함께 시스템에서 함께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만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방침"이라며 "민간업체들의 개발에 공공기관이 뒷받침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을 듣지 않도록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기본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바탕으로 심평원은 시스템을 이른바 '빅데이터 프리존'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 실장은 "최근 많은 정부기관들이 축적한 데이터를 융합해 민간에 제공하려는 방안을 추진했었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 문제로 인해 이러한 데이터를 비식별화로 처리해야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 같은 문제를 고민하다 심평원은 2015년 시스템을 개발해 제공해 주는 방안을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즉 시스템을 마련해 그 안에 있는 데이터는 민간업체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프리존을 제공한 것"이라며 "최근 서울시와 통계청도 심평원이 도입한 방안을 도입하려고 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프리존 개념인 시스템을 더욱 활성화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