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김효수 교수, 매직셀 치료법 의료현장 도입 촉구
신의료기술 인가 행정절차로 치료받아야 할 환자 포기 우려
서울대병원 김효수 교수가 자신이 개발한 치료법으로 환자를 살릴 수 있음에도 제도적 한계로 환자가 치료를 포기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13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지난달 18일 심근경색으로 내원한 최모 씨(남·38)는 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로 목숨은 건졌지만 심장 괴사로 50%기능밖에 못하는 상태다. 이로 인해 심부전에 빠져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하는 걱정뿐 아니라 언제 또 다시 심장이 멈출지 모르는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은 심근경색 스텐트 치료 후 심장 괴사를 막기 위한 연구를 해 왔다. 그 결과, 환자의 줄기세포를 심장 근육에 주입하면 심장을 재생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환자를 살리는 마술같은 효과라는 의미에서 '매직셀' 치료법. 지난 12년에 걸쳐서 이미 란셋(Lancet)과 같은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은 국제 저널에 16편의 논문이 게재될 정도로 전 세계 전문가들로부터는 검증을 받았았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
국내에서도 약 500명의 환자에게서 효과가 뛰어나고 안정성이 있다고 확인돼 '제한적 신의료기술'로 선정됐다. 현재 영구적인 신의료기술로 인가 신청을 해 둔 상태로 이를 통과하면 의료 현장에서 환자에게 치료할 수 있다.
문제는 그 과정에서 최씨와 같이 당장 수술이 시급한 환자들은 혜택을 누릴 수 없다는 점이다. 현재는 이 치료법을 시행하면 '불법'이기 때문이다.
최씨의 경우는 다음주 18일까지 이 시술을 시행해야 치료가 가능하다. 12일 현재부터 1주일이 채 남지 않은 것. 하지만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신의료기술 평가위원회가 이달 말에 열린다.
이에 대해 서울대병원 김효수 교수(순환기내과)는 "연구팀이 15년이라는 오랜 기간 몰두해 온 연구가 결실을 맺게됐다"며 "지금 이 순간에도 매직셀 치료법이 필요한 환자가 나오고 있는데 행정적인 절차로 시행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당장 치료가 시급한 최씨는 복지부에 청원서를 제출, 신의료기술 행정절차의 한계점을 짚었다.
13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지난달 18일 심근경색으로 내원한 최모 씨(남·38)는 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로 목숨은 건졌지만 심장 괴사로 50%기능밖에 못하는 상태다. 이로 인해 심부전에 빠져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하는 걱정뿐 아니라 언제 또 다시 심장이 멈출지 모르는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은 심근경색 스텐트 치료 후 심장 괴사를 막기 위한 연구를 해 왔다. 그 결과, 환자의 줄기세포를 심장 근육에 주입하면 심장을 재생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환자를 살리는 마술같은 효과라는 의미에서 '매직셀' 치료법. 지난 12년에 걸쳐서 이미 란셋(Lancet)과 같은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은 국제 저널에 16편의 논문이 게재될 정도로 전 세계 전문가들로부터는 검증을 받았았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
국내에서도 약 500명의 환자에게서 효과가 뛰어나고 안정성이 있다고 확인돼 '제한적 신의료기술'로 선정됐다. 현재 영구적인 신의료기술로 인가 신청을 해 둔 상태로 이를 통과하면 의료 현장에서 환자에게 치료할 수 있다.
문제는 그 과정에서 최씨와 같이 당장 수술이 시급한 환자들은 혜택을 누릴 수 없다는 점이다. 현재는 이 치료법을 시행하면 '불법'이기 때문이다.
최씨의 경우는 다음주 18일까지 이 시술을 시행해야 치료가 가능하다. 12일 현재부터 1주일이 채 남지 않은 것. 하지만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신의료기술 평가위원회가 이달 말에 열린다.
이에 대해 서울대병원 김효수 교수(순환기내과)는 "연구팀이 15년이라는 오랜 기간 몰두해 온 연구가 결실을 맺게됐다"며 "지금 이 순간에도 매직셀 치료법이 필요한 환자가 나오고 있는데 행정적인 절차로 시행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당장 치료가 시급한 최씨는 복지부에 청원서를 제출, 신의료기술 행정절차의 한계점을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