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J에 35만명 대상 대규모 대조 임상 연구 결과 게재
공기 수준인 21% 초과 공급시 급성 신장 손상 26%↑
전신 마취 수술 시 산소 공급을 위해 호흡기를 착용하지만 이에 대한 면밀한 관리 없이는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산소가 조금만 더 들어가도 급성 신장 손상 위험이 26%나 높아지는 등 악화 확률이 있다는 것. 따라서 이에 대한 철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현지시각으로 1일 영국의사협회지(BMJ)에는 수술 중 산소 투여 비율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규모 연구 결과가 게재됐다(10.1136/bmj-2022-070941).
현재 세계보건기구(WHO) 등에서는 수술 중 환자의 산소포화도 유지를 위해 자유롭게 산소를 공급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수술방에서는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마취 상태에서 수술을 받는 거의 모든 환자에게 산소호흡기를 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
하지만 일부 보고에서 이같은 산소 공급이 환자의 예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나오면서 이에 대한 논란이 생기고 있는 상태다.
미국 밴더필트 의과대학 프레드릭(Frederic T Billings IV)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를 진행한 배경도 여기에 있다.
아직까지 산소 공급이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준다는 임상적 관련성이 불확실하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찾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미국 42개 의료기관에서 전신 마취 수술을 받은 35만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수술 전후 심장과 신장, 폐 손상에 대한 예후를 추적 관찰했다.
알고리즘을 활용해 수술 내내 산소포화도가 92% 이상을 유지한다고 가정했을때 실제 공기중에 있는 산소 수준(21%)를 넘어서는 비율과 시간을 계산해 환자별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실제로 공기 중에 있는 산소 수준인 21%를 넘어서는 산소가 공급되는 시간이 길 수록 환자의 상태는 악화되는 것이 분명했다.
산소 수치 상단(상위 25%)에 해당하는 환자가 산소 수치 하단(하위 25%)에 들어간 환자보다 급성 신장 손상 위험이 26%나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한 상위 25%의 환자는 하위 25%의 환자에 비해 심장 손상 위험이 12%나 증가했고 폐 손상 위험도 14%나 커졌다.
이는 치명적 위험에도 영향을 미쳤다. 상위 25%의 환자가 하위 25% 환자에 비해 뇌졸중 위험이 9%나 높았고 30일 이내에 사망할 확률이 6%나 증가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가 현재 자유롭게 산소를 공급하고 있는 임상적 관행에 경종을 울리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프레드릭 교수는 "산소 공급이 절대적 위험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현재 자유롭게 산소량을 결정하는 관행은 재고해야 할 부분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적정한 산소 투여량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