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교수 사직행렬의 이유

발행날짜: 2023-07-27 05:35:00
  • 의료경제팀 이지현 기자

대학병원 교수의 사직행렬 취재는 지방 대학병원 교수의 수도권 이동에서 시작했다. 수도권 대학병원의 빈자리를 지방 대학병원 교수들이 채우면서 지금까지 버텨온 지방 의료체계가 공동화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그런데 이들의 우려는 지방에서 끝나지 않았다. 지방 대학병원 교수들이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이유를 따라가보면 수도권 대학병원을 지켜온 교수들의 사직이 있었다. 지방의 공동화 현상에 대한 우려만 언급하고 마치기에는 교수들의 사직행렬은 전방위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한 취재원이 "지금 나타나는 의대교수 사직 현상은 지역·진료과 불문이다"라는 말에 '설마'했지만 취재를 이어가면 갈수록 사실임을 확인했다. 빅5병원·인기과·비인기과 불문, 교수들의 사직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심지어 이미 개원을 택한 젊은의사들은 "놀랍지도 않은 일"이라는 반응이었다.

다양한 사례가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나온 얘기는 '가오(폼을 속되게 이르는 말)'를 잃었다는 것이었다. '우리가 돈이 없이 가오가 없냐'라며 한국의 의료 질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이고 있다는 자긍심으로 버텨온 이들에게 끝도 없이 요구된 '희생'은 한계에 달한 듯했다.

대학병원 교수 연봉이 낮은 것은 알지만 개원시장과의 격차가 너무도 현격하고, 이를 상쇄할 만큼의 보람과 자긍심을 챙길 수 있는 의료환경은 더구나 아니었다.

그러고 보면 지난 몇년 간 만난 의대교수들은 "진료에 치여 연구할 시간이 없다"며 개인 연구는 주말에 출근해서 하는 것은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였다. SCI급 논문을 발표하고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연구성과를 낸 교수였지만 해당 병원에선 진료실적을 강요 받는 의료진 중 한명일 뿐이었다.

윤석열 정부는 연구중심병원을 육성하겠다, 진료실적이 아닌 연구실적으로 대학병원을 유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며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고 있지만 정작 의료현장 의료진들은 자괴감에 시달리다 결국 사직을 택하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정부는 수년 째 대학병원 경증환자를 줄이기 위한 의료전달체계 개선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늘 공급자 즉, 병원에 패널티를 적용하는 방식이었다. 그에 비해 수요자 즉, 국민의 본인부담금 늘리는 방법은 매우 소극적이었다. 어쩌면 답이 정해진 대책 아니었을까.

대학병원 사직행렬은 생각보다 깊고 심각했다. 10년후 한국 의료체계를 붕괴하지 않으려면 즉각적이고 파격적인 대책이 필요해보였다.

한줄기 희망은 현재 개원시장에 있지만 의료환경이 바뀌면 언제라도 뛰어들어 중증환자의 생명을 살리고 싶은 열정 넘치는 의사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들이 말하는 의료환경이란, 고난도 중증의료를 책임지는 의사에 대한 현실적인 보상과 의료전달체계 정상화와 그들에 대한 사회적 위상 변화 등이었다.

해외에서 의사 수입 필요성을 거론하는 목소리가 계속 들려온다. 더 늦기 전에 의료현장을 바꿀 수 있는, 대학병원 교수들의 마음을 돌릴 수 있는 대책을 바람해 본다.

관련기사

오피니언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